대표사진
아그네스
  1. 성격과 심리

이미지

스티그마 효과

Stigma effect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심리편

부정적으로 낙인찍히면 실제로 그 대상이 점점 더 나쁜 행태를 보이고, 또한 대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심리학에서 인간의 일탈 행동 혹은 부적응 행동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된다.

‘스티그마’는 빨갛게 달군 인두를 가축의 몸에 찍어 소유권을 표시하는 낙인을 가리킨다. 그래서 스티그마 효과를 ‘낙인 효과’라도 한다.

 

ⓒDerek Gavey

하워드 S. 베커(Howard S. Becker)가 낙인 이론(Labelling theory)을 제창

베커는 1960년대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도시문제학 교수였다.

 

하워드 베커 ⓒThierry Caro

처음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으면 결국 스스로 범죄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재범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그의 이론이다.

스티그마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사례로는

· 구직 활동에서
기업에서 인재를 채용할 때, 동일 조건이라면 미취업 경험만을 근거로 응시자에게 결격사유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또 응시자는 미취업 경험 때문에 구직 활동에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어 취업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 선별적 무상급식 대상 아동에 대해서
무상급식에 대한 논란은 복지정책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다.

저소득 계층에 대한 선별적 무상급식을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보편적 복지의 확대를 주장하면서 선별적 무상급식을 실시할 경우 저소득 계층에 대한 낙인 효과가 생길 위험이 있다고 주장한다.

· 비행청소년에 대해서
범죄를 저지른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은 그들이 새로운 삶을 살아갈 의지를 꺾어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편견은 결국 그들을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사람으로 낙인찍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우리 사회에서 낙인이 찍힐 수 있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대말은?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타인의 긍정적인 기대나 믿음이 있을 때, 그 기대에 부응하는 쪽으로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로젠탈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한다.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하쿠버드

    작성일
    2016. 7. 4.

  2. 대표사진

    아그네스

    작성일
    2016. 7. 4.

    @하쿠버드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5
    좋아요
    댓글
    258
    작성일
    2025.4.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4
    좋아요
    댓글
    243
    작성일
    2025.4.2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4.23
    좋아요
    댓글
    99
    작성일
    2025.4.2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