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ver of Life..Books

하늘과 바다 사이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5.5.5
생물이라면 모름지기 번식을 하는 것이 존재의 이유이거늘 우리 인간은 언제부터인가 자식을 낳지 않기 위해 산아제한을 하고 있으며.. 다른 생물들에게는 생식능력의 마감이 대부분 죽음을 의미하는 데 반하여, 인간은 번식기가 지나서도 상당 기간 생명을 유지하는 참으로 유별난 동물이다.
이 책의 주제인 고령사회에 대한 기준을 먼저 알아보면 UN에 따르면 65세이상 노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7%가 넘으면 고령화 사횡, 14%가 넘으면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고령화사회로 진입했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다. 세계적인 추세인 고령사회의 도래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닐진데 최재천박사가 핵폭발보다 더욱더 심각하게 제시하는 것은 그속도에 있다. 고령사회로의 진입이 가장 빠른 일본도 24년이 걸렸는데 우리는 신기록 국가 답게 18년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의 경우는 가장 빠른 경우가 40년, 프랑스의 경우는 115년이 걸렸으며, 미국은 72년이 걸려 2014년에 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다.
세대의 구분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최박사는 번식 전후기로 나누어 보았다. 요즘 세태와 생물학적인 구분방법을 적절히 접목시킨 구분법이라고 생각된다. 오륙도의 시대와 여자의 폐경기.
1949~1980년 까지는 50세미만 인구가 50세이상인구의 7배 정도로 안정적이었으나, 2005년 현재는 3.2대 1 정도 수준에 머물러 있다. 2020년 경에는 1.6대 1, 2036~37년 즈음에 드디어 번식 전후기 인구가 같아지는 비생물학적 사회가 도래할 것이다.
그렇다면 번식후기의 삶은 잉여시기인가... 여러 통계자료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과거 경험과 지식의 집적체인 노인의 역할은 사회적인, 생물학적인 안정과 풍요를 주어 단적으로 유아 사망율을 낮추는 통계로 나타나기도 한다.
출산장려를 위해서는 조혼 장려와 사회 경제적 Infra의 마련이 절대적이다.
참고) DINK(Dual Income No Kids), THINKERS(Twp Healthy Incomes No Kids Early Retirement), DEWK(Dual Employed With Kids)
복지정책은 젊은이들에게 우선적으로...
참고) 노인의 정의(미네소타 의학협회).. 스스로 늙었다고 느낀다. 배울만큼 배웠다고 느낀다. 이나이에 그깟일은 뭐 하려고 해 라고 말하곤 한다. 내일을 기약할 수 없다고 느낀다. 젊은이들의 활동에 아무런 관심이 없다. 듣는 것보다 말하는 것이 좋다. 좋았던 그 시절을 그리워한다.
여생과 후반생은 다르다. 제2의 인생은 환원하는 시기로...
대학 제 2 인생을 위한 재편 작업..
순수혈통의 허구와 열린 이민제도.. 북방민족의 혈통이 60~70%, 남방민족의 피가 30~40%.. 순수민족, 단일민족의 허를 깨고 서로 섞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한다.제도적 장치와더불어.
노령인구의 경제력과 정부에 대한 권력집단으로의 성장은 복지기금 등 사회적 비용의 증대로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경제인구의 감소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는 후반생을 사는 노인의 활용과 여성인력의 활용을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제는 후반생을 위한 건강과 준비를 해야 할 시기이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