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군
  1. 음식과 맛집

이미지

1,000만 인구의 도시인 하얼빈에도 여느 대도시와 마찬가지로 많은 음식점이 있다. 중국에서 호텔이라고 하는 중국어를 보면 대주점(大酒店), 대반점(大饭店)이라 하는 것을 봐도 잠을 편하게 자게 하는 것만큼 좋은 음식점이 호텔에는 꼭 자리 잡고 있다. 게다가 이런 호텔에서는 우리가 살아가며 치르게 되는 각종 연회를 많이 하기 때문에 식당의 규모 또한 대단하다.


 


또 이런 호텔에 가면 물론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도 꽤 많아서 별미를 즐길 수 있다. 특히, 하얼빈에는 러시아인이 지배하고 살았던 시절도 있었고 지금도 러시아인이 많이 살기 때문에 러시아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점도 이채롭다. 점점 대도시가 되어가며 다양한 인종이 살게 되는지 음식문화 또한 다양해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호텔에서는 그 음식값이 비싸서 비즈니스로 만난다거나 특별한 연회가 있을 때 찾게 되고 대부분 사람을 만나게 되면 만나는 장소와 가깝게 있는 음식점으로 가게 되는데 작년 38절 때는 광둥, 홍콩식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에서 광동식 요리를 맛있게 먹게 되어 몇 차례 더 가서 먹게 되었다.


 


시내에 수많은 음식점이 있지만, 음식의 맛과 가격이 반듯이 비례하는 것은 아니어서 중국인이 찾는 음식점을 보면 가격이 저렴하며 음식을 잘하는 집이 제1순위인 것이지 음식이 좀 맛이 있다고 가격을 높게 해 놓으면 그다음엔 찾지 않게 된다.


 


음식에 관한 한 아주 실용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은 중국이다. 그래서 비싼 음식을 먹었다고 자랑하는 것은 자신이 바보라는 말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그것보다 맛있는 음식인데 아주 싸게 먹은 것은 자랑하게 된다. 이런 분위기라 맛있는 것이 아주 값이 싼 것일 수도 있다. 중국의 황제가 먹은 음식이란 것을 시켜 먹어봐도 그렇다. 하지만, 몸에 좋다는 것엔 이야기가 다르다.


 







▲하얼빈의 광동홍콩식 음식점


광둥, 홍콩식 음식점으로 맛있게 먹게 된 음식점은 아예 이름에도 홍콩이란 이름을 넣어 彩禾香港茶餐厅(cai he xiang gang cha can ting)이라 이름을 지었다. 중국을 여행한 한국인이 가장 맛있게 먹은 음식은 홍콩, 광동식 음식인 것 같다. 그만큼 중국의 8대 음식 중에서도 홍콩, 광동식 음식은 맛이 좋기로 유명해서 하얼빈에도 많은 음식점이 홍콩, 광동식이다.


 


이 음식점에 들어가니 주방을 유리창으로 보이게 해 놓았는데 유리창 벽에는 비둘기(?子)를 튀겨 걸어 놓았다. 이 비둘기 요리를 오래전 홍콩에 갔을 때 처음 먹어 보았는데 맛은 고사하고 비둘기라는 이름만 듣고도 이 음식을 잘 먹을 수가 없었다. 그래도 나는 몇 점 집어 먹었지만, 함께 간 사람은 끝까지 이 비둘기 요리를 먹지 못했다. 그 후 몇 번 더 비둘기 고기를 먹어 보니 선입관과는 달리 맛있는 새 요리가 아닐 수 없다.


 


음식을 시키고 나면 주방에선 테이블에 음식을 올리는 것은 알아서 한다. 주문을 할 때 적어간 순서가 아니라 주방장이 요리를 만들어 내는 대로 음식이 올라온다. 그러니까 주방장에게 요리를 만들 시간을 주어야 제대로 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셈이다. 그래서 주문을 받는 아가씨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꼭 주방에 물어보고 알려주는 것이 예의다.


 


보통 가장 먼저 테이블에 서브 되는 것은 수프인데 우리가 즐겨 시켜 먹는 것으로는 猪手煲汤(zhu shou bao tang)이다. 猪手는 돼지의 손이라 직역이 되는데 우리 말에는 따로 그 명칭은 없는 것 같다. 우리가 동물에게 있는 4개의 발을 모두 발이라 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손과 발에 이름을 붙여 놓은 것을 보게 된다. 손과 발이 구별되니 그리 이름을 붙였을 것 같은데 구분을 못 하는 내가 보면 돼지족발수프라 해야 할 것 같다. 그러니까 이 수프는 돼지 손에 붙어 있는 연한 살만 갖고 만들었다고 한다.

<

 


중국 여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鸡爪(ji zhua), 즉 닭발이라고 하는데 아내도 예외는 아니어서 닭발을 좋아해 닭발을 튀긴 것도 자주 시켜 먹게 된다. 옛날 학창시절 국어 선생님께선 한국 여자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오징어라고 하셨는데 이와는 달리 중국에선 여자가 닭발을 좋아해서 그런지 닭발 소비량이 세계 제1위의 국가가 바로 중국이라고 하는데 이 닭발은 미국인은 먹지 않기 때문에 내버렸다고 하는데 이젠 미국에서 중국에서 소모되는 대부분을 수출한다고 한다.


 


뜨거운 음식과 궁합을 맞추도록 중국인은 꼭 냉채를 하나 이상 시킨다. 음양의 조화가 음식에 적용된 셈이다. 하얼빈은 목이버섯이 특산물이기도 하고 목이버섯이 나이 든 사람이 먹으면 좋은 음식이라 아내는 목이버섯이 들어간 요리를 꼭 하나 시킨다. 자주 시켜 먹는 것은 冷拌木耳(leng ban mu er)이라고 하는데 삶은 목이버섯과 오이를 양념간장에 버무린 냉채이다.


 


이와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清炒竹笋虾仁(qing chao zhu sun xia ren)과 같은 냉채도 시켜 먹는데 이것은 죽순, 새우, 목이버섯, 셀러리 등에 기름으로 드레싱을 부어 만든 냉채의 한 종류로 새우를 요리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는 광동식 요리로 자주 시켜 먹어도 싫증이 나지 않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또, 酸菜鱼(suan cai yu)란 이름의 이 음식도 이 음식점에서 맛있게 해 자주 시켜 먹게 되는데 이것은 동북 음식이라고 할 수 있는 신백김치에 뼈를 갈라낸 생선의 살만 넣어 끓여낸 것으로 동북 음식을 광동식으로 만든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광동식 음식점이라고 해도 지방에 따라 그 지방 사람이 즐겨 먹는 음식은 꼭 메뉴에 포함을 시켜 놓는다. 신김치와 함께 먹는 생선의 맛은 묘한 맛이 납니다.


 


그리고 아내는 가지가 나이가 든 사람의 몸에 좋아서 가지요리를 꼭 시켜주는데 酱扒茄子(jiang pa qie zi)라고 하는 이 음식은 장을 넣고 가지의 겉을 벗겨 내 알맹이만으로 끓여낸 것인데 가지의 껍질이 씹히지 않으니 입에서 스스로 녹아 들어가는 것 같은 감촉으로 음식을 먹게 된다.


 


한국인은 소고기의 맛을 좋아한다고 소고기 요리도 즐겨 시켜주는데 소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다는 고과와 소고기로 만든 苦瓜牛肉(ku gua niu rou)는 쓴맛이 나는 고과와 소고기를 함께 볶아 낸 것인데 약간 쌉쌀한 것이 먹으면 먹을수록 찾게 되는 그런 음식이기도 합니다.


 


홍콩식 요리를 먹으며 비둘기 요리를 맛보는 것도 좋아서 비둘기 튀긴 요리는 당연히 이 음식점에 오면 단골로 시키게 되는 메뉴입니다. 비둘기를 튀겨 낸 것인데 오리도 튀겨서 껍질을 제일 맛이 있는 것으로 치는 것과 마찬가지로 비둘기도 살보다는 튀겨내어 노릇노릇한 색깔을 띠는 껍질이 바삭하여 씹는 맛도 있어 맛있게 먹게 됩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요리를 시켜 놓고 먹으려면 최소한 5명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중국의 요리는 여럿이 먹어야 제대로 조리한 한 것을 다양하게 먹어 보게 된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일정한 양만 한 개의 접시에 딱 먹을 만큼만 주는 서양식 음식 습관으로는 균형된 식사를 하기도 어렵지만 다양한 맛을 보기는 힘이 든다.


 


먼저 요리를 먹고 나서 마지막으로 밥이나 요우빙(油饼)을 시켜 먹는데 남방계열의 음식에선 小龙包(xiao long bao)란 작게 만든 딤섬 만두를 즐겨 시켜 먹게 된다. 한 입에 쏙 들어가게 한 이 딤섬의 소는 음식 가지 수만큼 다양한데 우리가 즐겨 먹는 것은 안에 새우가 들어간 것이다.


 


하루에 적어도 세 번은 음식을 먹어야 하는 사람이다. 또 비즈니스를 하건 반가운 사람을 만나게 되건 만나서 이야기 좀 하게 되면 먹는 시각이 된다. 외식을 주로 해야 하는 사람이라면 균형 있는 식사를 하려면 더욱 음식에 관심을 많이 둬야 한다는 생각이다. (2011년 3월 9일 작성)


 



▲하얼빈 시내 중심가에 있는 홍콩, 광동식 음식점



▲유치창 벽에 기름에 튀겨 걸어 놓은 비둘기(鸽子)



▲여러가지 음식을 시켜 나누어 먹으니 다양한 맛을 볼 수도 있고 영양에도 균형이 잡힌다.



▲猪手煲汤(zhu shou bao tang)



▲鸡爪(ji zhua)라고 하는 닭발 튀김



▲冷拌木耳(leng ban mu er)



▲清炒竹笋虾仁(qing chao zhu sun xia ren)이란 냉채


▲酸菜鱼(suan cai yu)란 이름의 이 음식은 신백김치에 뼈를 갈라낸 생선의 살만 넣어 끓여낸 것



▲酱扒茄子(jiang pa qie zi)



▲酸菜(신김치)와 함께 먹는 생선의 맛은 묘한 맛이 나더군요



▲苦瓜牛肉(ku gua niu rou)는 쓴 맛이 나는 고과와 소고기를 함께 볶아 낸 것



▲비둘기를 튀겨 낸 것인데 껍질이 바삭하고 있습니다.



▲小龙包(xiao long bao)란 작게 만든 딤섬 만두


 


좋아요
댓글
8
작성일
2023.04.26

댓글 8

  1. 대표사진

    이홍군

    작성일
    2011. 3. 10.

    @홍당무

  2. 대표사진

    두구두

    작성일
    2011. 3. 10.

  3. 대표사진

    이홍군

    작성일
    2011. 3. 10.

    @두구두

  4. 대표사진

    물든

    작성일
    2011. 3. 10.

  5. 대표사진

    이홍군

    작성일
    2011. 3. 10.

    @물든

이홍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4.8.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8.17
  2. 작성일
    2024.8.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8.1
  3. 작성일
    2024.7.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7.3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43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24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238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