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오즐
- 작성일
- 2021.9.5
아무것도 없다
- 글쓴이
- 카르멘 라포렛 저
문예출판사
마지막 장을 읽으면서 멀어져가는 바르셀로나에 작별을 고했어요.
분노와 반항심, 수치심, 약간의 희열과 열정, 그리고 엄청난 충격 뒤에 밀려오는 허망함과 일말의 희망까지 온갖 감정들이 뒤범벅되어 혼란스러웠는데, 그것들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욕구가 가장 컸던 것 같아요. 솔직히 뭐라고 표현해야 할지 몰라서, 잠시 멍해졌어요.
책 표지에 적힌 "아무것도 없다"라는 제목이 선명하게 보였어요. 아무것도 없다... NADA
그리고 책소개를 통해 이 작품이 스페인 내전 이후의 삶을 여성 주인공의 목소리로 그렸으며, 스페인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나달문학상 제1회 수상작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카르멘 라포렛은 어린 나이에 겪은 내전의 후유증을 스물셋 나이에 <아무것도 없다>라는 첫 작품으로 탄생시켰다고 해요. 작품의 원제 'NADA'가 '무無', 즉 '아무것도 없다'라는 의미이며, 2006년 원제 그대로 <나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작품을 카르멘 라포렛 탄생 100주년 기념판으로 다시 내놓았다고 하네요.
100년이라는 세월은 까마득하게 느껴지지만, 그때 탄생한 작가가 쓴 소설에서는 그 어떤 물리적, 시간적 거리감을 느끼진 못했어요.
무엇보다도 이 소설은 스페인 내전의 흔적을 겉으로 드러내진 않아요. 오로지 주인공 안드레아의 시점에서 주변 상황들과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그려내고 있어요.
우선 안드레아는 대학에서 문학 공부를 하기 위해 혼자 바르셀로나에 있는 외갓집을 찾아 왔어요. 세 시간 연착으로 한밤중에 기차역에 도착한 상태 택시를 잡기도 힘들어서, 스페인 내전 후에 다시 등장한 낡은 마차에 올라탔어요. 도착한 건물은 아파트지만 모든 것이 상상과는 딴판이라 놀라는 안드레아.
어둠 속에 드러난 집 내부는 온통 거미줄이 쳐져 있고, 곧 이사갈 것처럼 가구들이 겹겹이 포개져 있어요. 안드레아를 맞아준 외할머니는 선량한 미소를 짓고 있지만 처량해보여요. 큰 외삼촌 후안과 외숙모 글로리아, 작은 외삼촌 로만, 앙구스티아스 이모, 그리고 가정부 안토니아와 개 한 마리까지 왠지 암울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어요.
숨이 턱턱 막히는 집에서 벗어나고 싶은 안드레아는 마침 대학에서 만난 친구 에나와 완벽한 그녀의 가족을 통해 위안을 얻게 되지만 어쩔 수 없는 비교가 안드레아를 괴롭혀요. 안드레아는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외할머니뿐만이 아니라 집안 여자들이 외삼촌들로부터 학대와 무시를 당하는 걸 이해할 수 없어요. 더군다나 이모는 안드레아에게 부모 잃은 고아라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자꾸 속박하려고 들어요. 만약 좀 더 어린 소녀였다면 꼼짝없이 당했겠지만 안드레아는 차라리 무시하는 쪽을 택했어요.
그러나 앙구스티아스 이모가 오열하며 고백한 이야기는 진심이었기에 얄미운 그녀가 안쓰럽게 느껴졌어요.
"... 네 할머니는 늘 딸보다 아들을 훨씬 귀히 여기셨지만,
그 아들이라는 사람들 덕에 - 여기서 이모의 얼굴에 조소의 빛이 지났다 - 오늘날 이렇게 궁상을 떨며 살잖니 ......
솔직히 이 집안을 지켜온 건 순전히 딸들이었어." (173p)
실제로 외삼촌들은 집안 여자들에게 몹시 강압적이고 포악하게 굴었고, 그 관계는 결코 평범하지 않았어요. 그러니 바르셀로나 그 집에 머물고 있는 한 안드레아는 끊임없이 투쟁할 수밖에 없어요. 결국 그 일이 터지고 난 후에야 얽히고 설킨 관계는 끝이 났고, 안드레아의 삶은 새롭게 시작될 수 있었어요. 황무지에 피어난 풀 한 포기만큼의 희망으로.
"생전 처음, 나는 모든 존재는 점차 잿빛으로 시들어가고 점차 소멸되어갈 때까지 삶을 지속하게 마련이란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죽음이 찾아와 육신이 소멸하기 전에는 결코 그 어떤 사연도 막을 내릴 수 없다는 걸 깨달았다......"
(412-413p)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