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1. 웹툰창고

이미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좋은 웹툰을 왜 이제서야 읽은 걸까?


새로 발견한 <고래별>만 보더라도 추천받고 바로 읽지 않았다.


처음 추천받고 기억해두었다가

다른 사람에게 또 추천을 받고 썸네일을 확인하고


목차만 들어갔다가 잠복기를 가지고

어떤 날에 어떤 시점에서 

단숨에 읽고 빠져버린 이 행태가 몹시 궁금해졌다.


음식은 편식하지만 콘텐츠는 편식하지 않는 소비자로서

어떤 이유에서 웹툰을 고르고 

어떤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 궁금해진 걸 보니

이게 바로 직업병인가


제목

마침 <고래별>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는데

좋은 예시다.


처음 <고래별> 제목을 보고 고래밥이 무의식적으로 떠올렸다.

익숙하거나 친숙한 단어는 스토리의 흐름을 상상하기 쉽지만


처음 들어보는 고래별은 제목만으로 그 어떤 추측이 어려워 흥미를 끌지 못했다.

결국 가까운 단어인 고래밥을 연상하게 했는데 고래밥이 줄 수 있는 감흥이 뭐가 있겠는가


최근에 웹툰 제목을 참 센스 있게 잘 지었다는 생각하는 작품이 몇 개 있다.



1-1 하나의 문장

A는 B다

위 공식을 따른 웹툰 제목이 <타인은 지옥이다>

드라마가 확정되면서 많은 기대를 받는 작품이기도 하다.


단어 하나가 아닌 완성된 문장은 핵심 줄거리를 훅 던진다.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제목을 본 순간 

우리 머릿속은 바삐 움직인다


"타인이 지옥이라고?" (반문)

"왜 지옥이라는 거지지?" (호기심)

"맞아 지옥이야" (납득)



마침 영화 <완벽한 타인> 덕분에

"타인"은 익숙하고도 친숙한 단어가 되었고

이 단어만으로도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관계는 무궁무진하다.


하나의 문장으로 만든 제목이 주는 장점은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줄거리 요약이 가능하며

제목을 보고 내 경험을 떠올릴 수 있는 소재라면 파급력이 훨씬 강해진다. 


타인의 지옥이다는 스릴러 장르를 극대로 하기 위해 치밀한 배경을 갖고 있다.

모든 타인이 아닌 고시원에서 만나는 사람을 타인으로 지칭한다.


웹툰 속 배경은 고시원이지만

작품을 읽는 독자는 내 일상과 내 환경으로 대입하기 시작한다.


"내가 주인공이라면..." 

공포는 그때부터 시작된다.


1-2 대조

서로 다른 감각 두 개를 이용해 꾸미는 말로

"따뜻한 소리"가 대표적인 예다.


따뜻함은 촉각이고 

소리는 청각이다.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감각을 이용할 때

제목이 주는 느낌이 풍성해진다. 


좋은 예는 네이버웹툰의 <약한영웅>

우리가 가진 영웅에 대한 고정관념은

힘이 강하고 세다. 


하지만 정반대의 성격을 가진 약함을 앞에 붙임으로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준다. 



선천적으로 약한 소년이 두뇌와 도구, 심리를 이용하며 싸우는 약한영웅은

이 주제만으로도 지금까지 존재한 일진물의 판도를 바꿨다. 


영웅 하니 떠올랐는데,

다음만화속세상의 <영웅의 변수>도 정말 기가 막힌 만화다.


<영웅의 변수> 주인공 역시 영웅의 멋짐과 거리가 먼

구사한 사투리와 왜소한 체격의 시골청년이다. 


주인공 이름을 제목에 살짝 변장해서 넣는 작품이 꽤 있다. 

어떤 이유에서일까?

<강변살다>처럼 중의적인 느낌을 주고 싶은걸까? 

<경이로운 소문>도 그렇고. 


소문이 주인공 이름이자 두 세계를 이어주는 작은 문을 의미함

참고로 이런 경우는 작품 제목을 기억하기도 쉽다. 



1-3 창조

센스가 돋보이는 제목은 기존에 알고 있는 익숙한 단어를 살짝 변형한 형태다.

단점은 내용을 읽기 전까진 기막힌 센스를 알아차리기 힘들다는 점

허나, 뒤늦게 제목의 의미를 알았을 때 경이로움은 배가 됨


요즘 한창 재밌게 읽고 있는 작품 중 

요 공식을 따른 건 <맘마미안>이다.

*혜성처럼 등장하자마자 일요웹툰 1위를 거머쥐었다.

**원래는 <약한영웅>이 1위였는데 두달 휴재를 하면서...



처음엔 이게 무슨 말인가

작가님의 오타인가 싶었는데,


핵심 줄거리가 간단하다 보니

조금만 읽어도 제목의 의도가 금세 납득간다. 


<줄거리>

- 갑자기 엄마가 어려졌다

- 효자 효찬이가 고생만 한 엄마의 꿈을 이뤄준다


뮤지컬, 영화로도 각색된 <맘마미아>는 오랫동안 사랑받은 작품이다.

OST만 들어도 모두 어깨가 들썩거리고 전율이 몸에 쫙 돋는다. 


그리고 이탈리아어로 "오 세상에 맙소사!"란 뜻이고

영어론 "My mother" 한국어론 "엄마야!"라고 한다. 


엄마가 갑자기 어려졌으니 "오 맙소사"라는 감정도 제목에 담을 수 있고

엄마와 아들 이야기인 만큼 제목에 "맘마"가 들어가는 게 어색하지 않다.


"맘마"는 아기들이 엄마 발음을 배우기 전에 부르는 말이기도 하니까

엄마 옆에 "미안"이라는 단어가 붙을 때 울컥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스토리의 핵심을 제목으로 잘 압축한 예다.

역시 미티 작가님은 천재다 ♥


결론: 미티 작가님 짱


* 이미지출처: 네이버웹툰, 미디어다음만화속세상

*웹툰링크

**고래별 1926년 일제 식민 지배하의 조선

**타인은 지옥이다 모든 게 낯선 고시원 생활

**맘마미안 아들보다 어려진 엄마?!

**약한영웅 선천적으로 약한 소년

**영웅의변수 슈퍼히어로를 동경하던 시골청년

**경이로운 소문 영원불멸의 삶을 위해 지구로 내려온 사후세계 악한 영혼들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23.04.26

댓글 1

  1. 대표사진

    나날이

    작성일
    2019. 8. 24.

꿀벌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2.2.1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2.2.10
  2. 작성일
    2022.2.1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2.2.10
  3. 작성일
    2022.2.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2.2.2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6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7
    좋아요
    댓글
    105
    작성일
    2025.5.2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6
    좋아요
    댓글
    78
    작성일
    2025.5.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