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1. 경제/경영
주간우수

이미지

도서명 표기
언바운드 UNBOUND
글쓴이
조용민 저
인플루엔셜
평균
별점9.5 (48)
앤디

언바운드



게임의 룰을 바꾸는 사람들의 성장 법칙



 



저자: 조용민



구글 비즈니스 솔루션 매니저



 



 





 



재독 삼독하고 싶은 노랑 책이 또 한 권 생겼다.



후루룩 다 읽어버렸다. 몇 번 더 읽으면서 할 수 있는 일들은 하나씩 실행에 옮겨야겠다. :)



 



 



*중심 문장



'언바운드(unbound)'한 관점으로



내 안의 잠재력을 매일 다르게 재정의해보자. 



 



*언바운드(unbound):



틀에 얽매이지 않은, 바인드 되지 않은



 



 



한 줄 소감은 두근두근.



틀에 얽매이지 않는 다양한 관점으로 본질을 꿰뚫고.



함께 성장하며 한계를 뛰어넘자.



 



 



*책 날개에 비공식 자기소개서가 유쾌하다.



이런 센스가 좋다. :)





 



 



전체 다섯 부분으로 나뉩니다.



1부에서는 속도의 시대에 중요한 경쟁력과 혁신에 대해 화두를 던집니다. 변화의 시대 필요한 경쟁력은 무엇인지, 데이터 리터러시와 관점에 대해 말합니다. 생존을 위해 필요한 3가지 역량인 트렌드 새비(Trend Savvy), 딥씽킹(Deep Thinking), 협업(Collaboration)을 각각 2, 3, 4부로 연결시켜 깊이 들여다봅니다. 



 



마지막 5부에서는 앞서 말한 세 가지 항목을 잘 활용하여 한계를 뛰어 넘기를 응원합니다.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공부법, 일하는 법, 성장법의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팁이 담겨 있습니다. 



 



책은 잘 쓰여 있고 술술 잘 읽힙니다. 평소에 이쪽 분야에 관심이 많거나 유튜브에서 강의 영상을 이미 본 적이 있다면 더 친숙하게 느낄 것 같아요. 변화의 속도가 빠른 시대, 기술을 잘 활용하면서 나만의 관점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다면 미래는 늘 선물같이 설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유튜브 강의도 즐겁고 시원시원하게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와닿는 이야기가 많았지만



그중에 1부, 4부에 나온 질문 두 가지를 공유할게요. 책을 읽으면서 '나는 당장 무엇을 어디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하고 멈춰 생각해 본 부분이었습니다. 



 



 



 




Part 1. Get Armed



다가온 미래, 새로운 생각으로 무장하라




 



 



Q1.



p.41 남자도 총리를 할 수 있나요? 



 



2005년부터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연임하는 나라, 독일에서 태어난 어린이들이 이런 질문을 한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태어나고 자라는 동안 남자 총리를 본 적이 없으니까요. 재미있지 않나요? 



 



 



누군가는 '방 정리를 잘해야 성공한다'라는 견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견해 자체가 아니라 반대의 견해에 대해서도 열린 시각으로 생각해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반론을 제기할 때에도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당신의 생각은 무엇인가'라고 창구를 열어두어야 한다. 



 



고정된 하나의 관점이 아닌 다양한 시각으로 보는 노력을 해야겠습니다. 제한된 정보로 판단하고 익숙한 방식으로 생각하기보다 가능성을 열어놓아야겠어요. 프레임에 대한 이야기와 맞닿아 있습니다. 



 



 



무엇보다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을 키워야 함을 강조합니다. 요즘 리터러시(문해력으로 흔히 이야기됨)에 대한 이야기 많이 들어보았을 텐데요. 종이 위에 쓰인 글자뿐만 아니라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터 리터러시, 파이넨셜 리터러시 등 다방면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밥이 되는 시대이기에 데이터에 대한 양과 질 확보, 그에 대한 해석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데이터 리터러시란?



데이터를 읽고 그 안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 데이터 해독능력



---> 데이터를 넓고 깊게 보는 능력 



 



넓게 보는 것은 데이터의 양과 다양성을 확보하는 일



깊게 보는 것은 데이터의 질과 신선도를 파악하는 일 



 



*관점(point of view)



어떤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앞에서만 바라보지 말고



측면에서도 바라보고 멀리서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Part 4. Collaboration



이타적인 사람이 더 크게 성공한다




 



4장에서는 새로운 가치는 협업을 통해서 만들어지며 구글에서 배운 협업의 자세와 협업을 이끌어내는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이타성과 느슨한 연대에 대한 이야기는 <기버>의 메시지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p.180



그런데 정말로 성장하고 싶은 사람일수록 ‘개인이 집단을 이길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혼자의 힘으론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기에 타인의 말을 더 경청하게 되고, 경청하다 보니 겸손해지며, 겸손한 덕에 배울 기회를 더 많이 얻고, 그 결과 궁극의 성공에 가까워지는 선순환이 이루어진다. 이기심을 성장을 위한 동력으로 활용할 때 종국에는 이타주의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Q2.



p.171 어벤저스 군단이 모두 헐크였다면 과연 지구를 구할 수 있었을까요?



 



탁월한 아이디어가 현실화되어 탁월한 가치로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은 괴롭고 지난합니다. 혼자의 힘으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압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을 지닌 사람들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중요성은 익히 들어 알지만 어벤저스로 질문을 던지니 쏙쏙 이해됩니다. 



 



서로 다른 배경과 이야기를 가진 히어로들이 '내'가 아닌 '모두'를 위해 각자의 능력을 최고치로 끌어올려 실로 상상하기 어려운 시너지를 만들어낸다는 것. <어벤저스>의 주인공들이 모두 헐크여서는 안 되는 이유다. 



 



작은 프로젝트 하나를 진행하더라도 혼자의 힘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종종 느낍니다. 협업에 대한 중요성은 자주 듣고 체감하지만 어떤 식으로 어떻게 협업해야 할까요. 



 



결국 협업을 막는 가장 큰 장벽 중에 하나는 나의 욕구와 상대방의 욕구가 서로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이런 갈등을 막으려면 서로의 성장 욕구를 명확히 이해하고 인정해야 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도 협업의 목표, 협업을 하는 이유는 결국 '더 가치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함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좋아요
댓글
27
작성일
2023.04.26

댓글 27

  1. 대표사진

    이명

    작성일
    2022. 10. 4.

  2. 대표사진

    choco072

    작성일
    2022. 10. 4.

  3. 대표사진

    peach

    작성일
    2022. 10. 4.

  4. 대표사진

    책의향기

    작성일
    2022. 10. 4.

  5. 대표사진

    민휴

    작성일
    2022. 11. 1.

앤디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4.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6
  2. 작성일
    2025.4.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6
  3. 작성일
    2025.3.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3.23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212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69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30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4.3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