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녁의 구애
편혜영 저 ㅣ 문학과지성사 | 2011년 03월
탄탄한 하드보일드의 완숙한 문체와 독특한 상상력. 완벽하게 균질화된 ‘동일성의 지옥’에 남겨진 현대인의 초상.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 작가 편혜영의 세 번째 소설집. 그 동안의 작품에서 뚜렷하고 치밀한 문제의식, 인간 내면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을 보였던 작가는 이번 소설집을 통해 도시 문명 속에 길들여진 현대인의 감춰진 불안과 고독, 황폐한 내면을 꿰뚫으면서, 편리하고 안온한 일상이 소름 끼치는 불안과 암흑 그리고 끝 모를 공포로 탈바꿈해가는 순간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어둠이 어른의 숨처럼 천천히 내려앉는 시간. 어둠에 묻힌 도시, 한밤중이 되어서야 뜬금없이 달리며 등장하는 마라토너, 기억 속에만 존재하는 통조림(「저녁의 구애」). 기시감이 드는 낯익은 길 속에 칼날 같은 섬뜩한 정적과 암전이 잇달아 찾아드는 산책로(「산책」), 지루할 정도로 세밀하게 일상을 규격화해낸 복사실과 어제와 오늘 그리고 아직 닿지 않은 내일까지도 예측이 가능한 도서관(「동일한 점심」).
작가가 각각의 작품 속에서 그리고 있는 풍경은 동일성과 반복, 익숙함과 지루함으로 가득하다. 절대 바뀔 수 없도록 설정된 것처럼, 약간의 어긋남도 용납하지 않을 것처럼 흘러가는 매일의 일상은 어느 순간 지루함을 넘어 불안과 공포를 불러온다. 기계처럼 이어지는 시간과 관계들은 어떤 누구과의 소통도 거부한 채 차갑고 쓸쓸하게 각자의 길을 걷는다.
편혜영은 이들의 삶을 통해 첨단화, 자동화된 도시 일상에서 타인과의 친밀감 부재는 물론, 자기 자신과의 소통의 부재까지 은연중에 노출된 우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그는 견고한 우리 인식 체계의 작은 틈으로 획일화된 일상이 가져다주는 공포를 집어넣으며, 이를 통해 위생과 편의, 지극한 도락으로 철저하게 포장된 도시 문명이 그 속의 인간을 어떻게 소외시키고 고립시키는지 낱낱이 드러내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