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cyberria75
- 작성일
- 2023.7.23
왕으로 산다는 것
- 글쓴이
- 신병주 저
매일경제신문사
왕르로 산다는건
본 서형은 출판사의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조선 시대의. 왕은 어떻게 살았을까? 라는 단순한 질문으로 시작된 조선의 왕의 국정을 운영 해야 하는
왕의 모습과. 그 외에 왕으로 올라오기 까지의 과정은 그다지 쉬운것도 아닐것이다.
또한 왕이 되면 모든걸 마음대로 할수 있을것 같지만 신하들도 사람이기 때문에 신하들의
반살이 너무 심하면 자기 뜻대로 진행을 할수가 없다
이 왕들도 대단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살아쓸거를 생각하면 어찌 보면 이것도 스트레스 쌓이는 직업일듯 하다
15 ~ 16 페이지 왕자의 난의 서막이라는 소제목에서 처럼. 태조 이성계와 이방원 간의. 갈등은 단순한 갈등에서 시작 된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충효 사상이 있는 아버지와 새로운 개혁을 하기 위해서는. 앞을 막는자는 제거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방원 과의 대립이다
이방원은 우리와 뜻을 같이 하지. 않고 조선을 개국 했을때 게속 개혁을 하는데 있어서. 사사건건 방해할 가능성이 많았을걸로
생각한 방원은 훗날 집권 하여 방해하는 세력을 줄이러고 했고 이러한 생각 차익라 결국은 비극의 시작이 된것은. 아닐까?
23페이지 무학댁사도 처음에는 태조에게 가서 설득 하는 일에 대해서 사신들이 가면 다 죽어서 오는 일이 있기 때문에
자기도 가서 어떻게 설득 하지도 모르고 혹여 자기도 죽임을 당할수도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내키지 않았읅 것이다 입장 바꿔 생각 해도 지금.시대에 생각 해도 나 같아도 가기 싫을거 같다 아마도 고믾이
깊었을 것이다. 고민 끝에 가서 태조를 긴긴 설득끝에 그래도 귀경 하게 만들었으니 함흥차사를 끝내는
계기를 만들었지 않은가 어쨋건 아주 어려운 문제를 하나 풀어 낸 샘이지 않을까?
111페이지 선조는 다른 형제 들에 비애 학문 실력이 뛰어 나서 이런 부분을 높이 평가를 받아 춧날 선조가 된다
하지만 왕이 학문만 안다고 국정운영을 할수 없는 것인데 그게 선조의 무능함의 시작 이었을지 모른다.
115 페이지 선조가 즉위 하고 이후에 문을 중시하고 무 즉 국방을 무시. 하면서 나라의 국방이 약해지다 보니 훗날
일본이 임진왜란을 일으키는데 단초를 제공 했는지도 모른다
123페이지 전쟁이 시작 되자 마자 일본군에 맞서 싸우고는 있었으나 상대의 밀려 오는 기에세 의해 속절 없이 밀리게 되는 일이 생기게 된다.
124~125페이지 선조는 왕으로서 지금 같으면 대통령이다 현대의 대통령은 국군 통수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전쟁이 낫다고 해도 수도를 지키면서 군사들을 지위하면서 더이상 침략하지 못하게 방어를 하거나 혹은 최적의 전략을
세워 상대를 공격하기도 해야 하는데 수도를 방어 하기 보단 자기 목숨이 위태롭다고 생각 했는지.
자기 백성을. 버리고 피난을 간다 결국 백성들의 분노를 사게 된다.
본 서형은 출판사의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조선 시대의. 왕은 어떻게 살았을까? 라는 단순한 질문으로 시작된 조선의 왕의 국정을 운영 해야 하는
왕의 모습과. 그 외에 왕으로 올라오기 까지의 과정은 그다지 쉬운것도 아닐것이다.
또한 왕이 되면 모든걸 마음대로 할수 있을것 같지만 신하들도 사람이기 때문에 신하들의
반살이 너무 심하면 자기 뜻대로 진행을 할수가 없다
이 왕들도 대단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살아쓸거를 생각하면 어찌 보면 이것도 스트레스 쌓이는 직업일듯 하다
15 ~ 16 페이지 왕자의 난의 서막이라는 소제목에서 처럼. 태조 이성계와 이방원 간의. 갈등은 단순한 갈등에서 시작 된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충효 사상이 있는 아버지와 새로운 개혁을 하기 위해서는. 앞을 막는자는 제거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방원 과의 대립이다
이방원은 우리와 뜻을 같이 하지. 않고 조선을 개국 했을때 게속 개혁을 하는데 있어서. 사사건건 방해할 가능성이 많았을걸로
생각한 방원은 훗날 집권 하여 방해하는 세력을 줄이러고 했고 이러한 생각 차익라 결국은 비극의 시작이 된것은. 아닐까?
23페이지 무학댁사도 처음에는 태조에게 가서 설득 하는 일에 대해서 사신들이 가면 다 죽어서 오는 일이 있기 때문에
자기도 가서 어떻게 설득 하지도 모르고 혹여 자기도 죽임을 당할수도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내키지 않았읅 것이다 입장 바꿔 생각 해도 지금.시대에 생각 해도 나 같아도 가기 싫을거 같다 아마도 고믾이
깊었을 것이다. 고민 끝에 가서 태조를 긴긴 설득끝에 그래도 귀경 하게 만들었으니 함흥차사를 끝내는
계기를 만들었지 않은가 어쨋건 아주 어려운 문제를 하나 풀어 낸 샘이지 않을까?
111페이지 선조는 다른 형제 들에 비애 학문 실력이 뛰어 나서 이런 부분을 높이 평가를 받아 춧날 선조가 된다
하지만 왕이 학문만 안다고 국정운영을 할수 없는 것인데 그게 선조의 무능함의 시작 이었을지 모른다.
115 페이지 선조가 즉위 하고 이후에 문을 중시하고 무 즉 국방을 무시. 하면서 나라의 국방이 약해지다 보니 훗날
일본이 임진왜란을 일으키는데 단초를 제공 했는지도 모른다
123페이지 전쟁이 시작 되자 마자 일본군에 맞서 싸우고는 있었으나 상대의 밀려 오는 기에세 의해 속절 없이 밀리게 되는 일이 생기게 된다.
124~125페이지 선조는 왕으로서 지금 같으면 대통령이다 현대의 대통령은 국군 통수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전쟁이 낫다고 해도 수도를 지키면서 군사들을 지위하면서 더이상 침략하지 못하게 방어를 하거나 혹은 최적의 전략을
세워 상대를 공격하기도 해야 하는데 수도를 방어 하기 보단 자기 목숨이 위태롭다고 생각 했는지.
자기 백성을. 버리고 피난을 간다 결국 백성들의 분노를 사게 된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