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해외토픽
- 작성일
- 2021.7.15
어른의 맞춤법
- 글쓴이
- 신선해 외 1명
앤의서재
말로 할 때는 무심코 사용했는데, 문자로 쓸 때는 헷갈리던 맞춤법이 왕왕 있었다.
그때마다 검색해서 고쳐 쓰곤 했는데, 자주 틀리는 단어는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어쭙잖은 자존심으로 단어장을 갖춰야겠다는 결심은 하지 않았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100개만 알면 기본은 한다'는 부제처럼 일상에서 혼동하기 쉬운 단어가 수록되었다.
사전에 있어도 둘 다 헷갈리는 단어가 있고, 사전에도 없는 단어를 관행적으로 쓰는 단어가 있다.
매다/메다
끈 같은 것으로 둘레 맬 때는 매다.
예) 넥타이/목도리를 매다.
어깨에 걸쳐 메거나 목이 막힐 때는 메다.
예) 가방을 메다. 물 좀 주세요. 목이 메네요.
띠다/ 띄다
예) 웃음기 띤 얼굴 - '띠다'는 '지니다'로 대체할 수 있음
예) 눈에 띄는 미모 - '뜨이다'의 줄임말
맞는/ 알맞은
예) 문법에 맞는 말 - 동사 어간 뒤에 ~는
예) 상황에 알맞은 대처 - 형용사 어간 뒤에 ~ 은
예) 물건이 높이 싸여 있다 X / 물건이 높이 쌓여 있다 O / 사방으로 책이 둘려 싸여 있다 O
예) 설거지. 쓰레받기. 보다시피. 비로소. 얻다 대고. 으스대다. 틀리기 십상이다. 시험을 치렀다. 핼쑥하다. 허구한 날. 희한하다. - 모두 올바른 단어
그 밖에도 그동안 잘못 써왔거나 몰랐던 단어가 많이 있어서 적잖이 놀랐다.
맞춤법 능력은 독서량이 많을수록 향상된다고 하는데, 이 또한 직접 글을 써봐야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닫고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유려하고 멋진 필력으로 솜씨가 드러난 글이라도 맞춤법에 어긋난 단어가 눈에 자주 띄면 매력이 반감된다.
sns글에서도 맞춤법 실수가 여러 번 보이면 괜히 신뢰감이 덜 간다.
반면에 맞춤법에 신경을 써서 쓴 글을 읽으면 필자의 정성이 느껴진다.
책 속에 정리되어 나와있는 단어를 잘 익혀서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글을 쓰도록 노력해보자.
사전을 찾아보는 습관도 놓치지 말자.
알면 쓸데있는 이 책을 추천한다.
그때마다 검색해서 고쳐 쓰곤 했는데, 자주 틀리는 단어는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어쭙잖은 자존심으로 단어장을 갖춰야겠다는 결심은 하지 않았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100개만 알면 기본은 한다'는 부제처럼 일상에서 혼동하기 쉬운 단어가 수록되었다.
사전에 있어도 둘 다 헷갈리는 단어가 있고, 사전에도 없는 단어를 관행적으로 쓰는 단어가 있다.
매다/메다
끈 같은 것으로 둘레 맬 때는 매다.
예) 넥타이/목도리를 매다.
어깨에 걸쳐 메거나 목이 막힐 때는 메다.
예) 가방을 메다. 물 좀 주세요. 목이 메네요.
띠다/ 띄다
예) 웃음기 띤 얼굴 - '띠다'는 '지니다'로 대체할 수 있음
예) 눈에 띄는 미모 - '뜨이다'의 줄임말
맞는/ 알맞은
예) 문법에 맞는 말 - 동사 어간 뒤에 ~는
예) 상황에 알맞은 대처 - 형용사 어간 뒤에 ~ 은
예) 물건이 높이 싸여 있다 X / 물건이 높이 쌓여 있다 O / 사방으로 책이 둘려 싸여 있다 O
예) 설거지. 쓰레받기. 보다시피. 비로소. 얻다 대고. 으스대다. 틀리기 십상이다. 시험을 치렀다. 핼쑥하다. 허구한 날. 희한하다. - 모두 올바른 단어
그 밖에도 그동안 잘못 써왔거나 몰랐던 단어가 많이 있어서 적잖이 놀랐다.
맞춤법 능력은 독서량이 많을수록 향상된다고 하는데, 이 또한 직접 글을 써봐야 자신의 부족한 점을 깨닫고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유려하고 멋진 필력으로 솜씨가 드러난 글이라도 맞춤법에 어긋난 단어가 눈에 자주 띄면 매력이 반감된다.
sns글에서도 맞춤법 실수가 여러 번 보이면 괜히 신뢰감이 덜 간다.
반면에 맞춤법에 신경을 써서 쓴 글을 읽으면 필자의 정성이 느껴진다.
책 속에 정리되어 나와있는 단어를 잘 익혀서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글을 쓰도록 노력해보자.
사전을 찾아보는 습관도 놓치지 말자.
알면 쓸데있는 이 책을 추천한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