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나
  1. 소설/수필,수기/시

이미지

도서명 표기
백마 탄 왕자들은 왜 그렇게 떠돌아다닐까
글쓴이
박신영 저
페이퍼로드
평균
별점9.2 (36)
아바나

난 놈과 못난 놈의 차이, 혹은 성공하는 사람, 비범한 사람과 범인(凡人)의 차이를 굳이 설명해 보라고 한다면, 평범한 일상 속에서 똑 같은 현상을 접하거나 똑 같은 경험을 하고서도 단편적이고 일반적인 사고에 멈추는 사람과 남들은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까지 이르러 의구심을 갖고 사고의 폭을 넓혀 그 속의 의문점들까지 속속들이 파고들며 기어이 어떤 형식으로든 결론을 내는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 연장선상에서 바라본다면 이 책을 쓴 저자는 분명 난 놈(?)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에 박수치고, 그 해박한 역사지식과 예리한 문제의식에 감탄만 하고 있기에는 행간 곳곳에 숨겨진 메시지가 너무나 의미심장하다. 넋 놓고 책 읽는 재미에만 빠져들었다가는 자칫 저자의 소중한 외침을 놓쳐 버리고 마는 우를 범하기 쉽다. 이 책의 장점이자 단점은 바로 그 부분인 것 같다.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어서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간과할 수 있다는 것!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거나 혹은 그림을 감상할 때 반드시 저자, 감독, 화가의 의도대로 읽고, 보고, 감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독자, 혹은 관객은 스스로 그 어떤 형식으로든 자유롭게 자신만의 느낌을 향유할 권리가 있는 것이다. 물론, 작품 속에 담아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독자나 관객들이 그 의도대로 받아들이고 느낄 수 있다면 그것은 작자가 매우 흐뭇해 하고 고마워 해야 할 일이지만, 설령 그러하지 못한다고 해서 한 소리를 들어야 한다거나 잘못 감상했다고 자책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


 

처음 이 책을 받아 책장을 넘기며 <작가의 말>을 훑어 읽는 도중에 띵! 하고 내 머리를 울린 부분은 바로 "나는 황인종 한국 여자의 입장에서 책을 읽고 세상을 보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라는 저자의 말이었다. 본문을 읽어보기도 전이었지만, 그 핵심 구절을 통해 본문은 적어도 주체적인 입장에서 신선한 시각과 관점으로 글이 전개될 것이라 유추할 수 있었는데, 책을 읽으며 내 기대와 부합되는 것 같아 매우 기분이 좋았다.


서문을 다 읽고 책 제목이자 첫 번째 글인 <백마 탄 왕자들은 왜 그렇게 떠돌아다닐까>를 먼저 읽지 않고 저 뒤편의 <제제네 집이 가난한 이유_나의 라임오렌지나무 편>을 먼저 읽었다. 목차를 살펴보았을 때, 그 많은 익숙한 동화, 이야기들 중에 나도 모르게 어릴 적 내 눈물을 펑펑 흘리게 만든 제제와 뽀르뚜까 아저씨의 이야기를 가장 먼저 읽고 싶었던 것 같다.


마케팅의 관점으로 볼 때, 궁금증과 호기심, 흥미를 유발하는 책 제목과 내용은 아주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고 싶다. 하지만 그 성공을 보다 더 값지게 만드는 것은 다름 아닌 현상을 바라보는 저자의 올바른 관점 때문이라고 단호히 말하고 싶다. 혹자는 삐딱하고 비판적인 시선이라 이야기할 지 모르겠으나 흥미로운 동화 속 이야기와 역사적 배경을 친절히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외된 자,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저자의 따뜻한 시선을 여실히 느낄 수 있으며, 역시 우리들이 그 동안 세뇌 아닌 세뇌 과정을 통해 를 중심으로 나의 시선이 아닌 그들을 중심으로 타자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사고해 버린, 때문에 한발자국 물러서서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다시 한번 바라 보면 어처구니 없는 생각과 인식을 행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스스로 반성하게끔 해 준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고 교과서에도 실린 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비둘기는 프랑스어로 울지 않는다>의 이야기는 이에 대한 아주 대표적인 예이다.


 

사실 저자인 박신영님(내겐 껌정드레스님이 더 익숙한)은 블로그를 통해 이미 알고 있던 사람으로, 내가 한창 블록질을 할 때, 맛깔스럽고 유머러스한 글과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독특한 시선이 맘에 들어 자주 왕래 했었다. 덕택에 좋은 영화와 책도 추천 받아 보고 읽기도 했는데, 그 중 '바더마인호프' '타인의 삶'은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그래도 내가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지인이 작가로 데뷰했다는 소식이 참 반가웠고, 첫 데뷰작인 이 책의 내용이 재밌고 의미있어서 더 좋았다. 출간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2쇄를 찍었고, 요즘에는 여기 저기 강연도 바쁘게 다니는 것 같아 이 역시 축하할 만한 일이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처음에는 흥미 위주로 시선을 집중하면서 후반부로 갈수록 본인의 생각과 목소리를 좀 더 담으려 했다고 한다. 또한 출판과정에서 작가의 의도와 출판사의 입장 때문에 다소 어려움도 있었고 하고 싶은 더 많은 말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고 한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절대로 굴복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사람마다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좋은 작가혹은 좀 더 오바 해서 말한다면 자기의 글이 활자화 되어 독자들에게 읽히게 되는 모든 작가라고 한다면 그저 글 잘 쓰고 쇼킹한 소재와 주제로 독자들을 즐겁게 하고감동을 주는 것으로만 만족해서는 안 된다. 작가라는 직업을 가진 이들은 우리 사회가 보다 아름답고 따뜻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그 어떠한 형식으로든 기여를 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소위 작가’라고 불리우는 자들의 '사회적 책무'라고 생각한다.


 

삐딱선은 정상적이지 못한, 똑바로 나아기지 못하는 배이지만, 지금이 우리 모두 그 배에 함께 승선해야 할 시기일지도 모른다. 저자가 책 속에서 끊임없이 품어 온 의구심, 해법과 같이 어쩌면 삐딱선이 삐딱한 방향이 아닌 정상적인 방향일 수도 있으며, 모두 함께 승선해 좀 더 아름다운 사회가 될 수 있다면 삐딱선 아니라 거꾸로 가는 배라도 함께 타야 할 것이다.


 

한 명의 좋은 작가를 만난다는 것은 퍽이나 기분 좋은 일이다. 게다가 아주 조금이라도 연관있고 개인적 친분이라도 있다면 더 친근하지 않겠는가.


<백마 탄 왕자들은 왜 그렇게 떠돌아다닐까>의 껌정드레스 박신영 작가님, 아니 껌정님(나는 블로그에서 껌정님이라 부른다)께서 부디 좋은 작가로 우뚝 설 수 있기를 바라 마지 않으며, 앞으로 나올 후속 작품 속에는 하고 싶은 모든 말을 속 시원하게 더 적극적으로 해 주었으면 한다. 출판사도 알아야 한다. 그래도 책 팔리는 데 아무 지장이 없다는 것을


 


* 2월에 읽어 놓고 이 놈의 게으름이 4월이 되어서야 리뷰를 쓰게 만든다.


  잘 좀 읽고 부지런히 좀 쓰자.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아바나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5.3.3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15.3.3
  2. 작성일
    2015.2.25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5.2.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14.1.23

    좋아요
    댓글
    5
    작성일
    2014.1.2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5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4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4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