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공이안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한자의 쓸모
글쓴이
박수밀 저
여름의서재
평균
별점9.4 (19)
공이안

마음이 심란하고 어수선할 때 하면 좋은 공부가 있다. 바로 한자 공부이다. 한자는 획과 획이 만나 이루어진 문자인데, 획이 간단한 글자는 쉽게 쓰면서 익힐 수 있지만, 획이 복잡한 글자는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획을 빠트리고 쓰거나 글자를 잘못 쓰기가 쉽다.

한자에 관심이 많은 이라면 매우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한자 공부 열기가 뜨거웠던 시절을 뒤로하고 한자 관심이 갈수록 식어가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도 한자 교육이 줄어들고, 한문 과목 선택률도 계속 감소하고 있다. 한자는 뜻글자이며 글자와 글자가 만나 단어를 만드는 특성이 있다. 한자어가 60퍼센트 이상인 우리말은 한자의 뜻만 잘 알아도 단어의 의미를 깊게 알 수 있다. 

한자에는 우리의 삶과 문화가 스며 있다. 

한자의 쓸모 이 책은 한자의 뿌리와 배경을 살펴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한자어 속에 담긴 뜻을 밝혀 우리 일상과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탄핵, 소추, 인용. 기각, 각하

요즘 가장 핫한 단어들 일 것이다.

법률 용어인데, 한글만 봐서는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기가 어렵다. 

우리말의 정확한 뜻을 알기 위해서는 역시 한자 공부만 한 게 없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한자의 쓸모는 한자를 아주 쉽고 재밌게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자 문화까지도 배울 수 있어 한자교양 책으로 아주 좋은 책이다. 

 

보는 것과 관련된 글자는 퍽 많다. 견(見), 간(看), 시(視), 관(觀), 찰(察), 성(省) 등이 모두 ‘본다’는 뜻이다. 그렇지만 보는 것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다.(16면) 

 

바위가 많아 가파르고 험준한 산에는 악(岳) 자를 붙인다. 악(嶽)으로 쓰기도 한다. 관악산, 설악산, 치악산 등이 있다. 이들 산은 주변의 다른 산에 비해 험하고 가파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46면) 


흐지부지라는 말도 순 우리말 같지만 한자에서 유래했다. 흐지부지는 일을 확실하게 처리하지 않고 흐리멍텅하게 넘기려는 모양이다. 흔히 흐지부지 넘어갈 생각하지 마라와 같이 쓴다. 흐지부지는 휘지비지諱之秘之가 변한 것이다. 휘는 피한다는 뜻이고, 비는 숨긴다는 뜻이니, 휘지비지는 꺼리고 숨긴다는 뜻이다. 일을 분명하게 끝맺지 않고 어물쩍 피하고 감추는 태도를 말한다. 이 말이 흐지부지로 바뀌었다.(87면) 

 

그냥 편하게 책을 읽으면서도 한자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게끔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썰매, 흐지부지, 젬병 같은 말도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말이고 일상생활에서 즐겨 쓰는 말인데, 뿌리를 더듬어 보면, 한자말에서 유래된 것을 알 수 있다. 


형광등(螢光燈)은 직역하면 반딧불이(형)의 빛(광)으로 된 등불(등)이란 뜻이다. 용수철(龍鬚鐵)에서 용수는 용의 수염이라는 뜻이다. 용의 수염은 꼬불꼬불하다. 용수철은 용의 수염과 같이 꼬불꼬불한 쇠라는 뜻이다.(131면)


한자는 뜻글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한 글자 속에 여러 가지 뜻이 있는 경우가 많고, 또 글자 하나에 여러 한자어들이 있다. 한자를 알면 한자의 뜻을 유추해서 그 단어가 가진 뜻을 추리해 볼 수 있고, 나아가 명확하게 그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있다. 

 

구설수(口舌數) : 다른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어려움을 겪게 될 운수

식언(食言) : 입 밖에 냈던 말을 도로 삼킴. 약속을 어기는 것

실언(失言) : 말을 잘못 놀리다. 실수로 잘못 말하는 것(258면)

 

이 책은 한자가 왜 이런 뜻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을 해 놓았고, 다시보기를 통해 한자어의 이해를 돕도록 하고 있다. 인류의 문자 중에 한자만큼 독특하고 매력적이며 또 아름답기까지 한 문자가 다시 있을까 싶다. 한자 한 글자를 익히면서 그 글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뜻을 아울러 익히다 보면 자연스럽게 어휘력이 증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인간족에 족보가 있듯 글자도 그 기원이 되는 뿌리가 있다. 뿌리를 잘 알면 단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와 문화의 경계를 넓힐 수 있다. 한자의 쓸모를 읽다보면 자연 한자의 중요성과 우리말의 관계에 대해 알게 된다. 한자를 알면 알수록 어휘가 고급스러워지고 문해력이 풍부해지며 슬기로운 언어생활이 가능해질 것이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공이안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4.2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20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5.3.3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3.30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3.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3.23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4
    좋아요
    댓글
    172
    작성일
    2025.4.2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1
    좋아요
    댓글
    125
    작성일
    2025.4.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4
    좋아요
    댓글
    96
    작성일
    2025.4.2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