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운전
  1. 신문기사 스크랩

이미지



[세상 읽기] 딱따구리 둥지 훔친 소쩍새·하늘다람쥐

[중앙일보] 입력 2013.06.29 00:24 / 수정 2013.06.29 00:31







2013년 6월 소쩍새(국립대전현충원), 하늘다람쥐(대전 식장산), 오색딱따구리(정부세종청사 전망대 숲).

왼쪽부터 소쩍새(천연기념물 제324호), 하늘다람쥐(천연기념물 제328호), 오색딱따구리입니다. 소쩍새와 하늘다람쥐는 ‘내 집 마련’ 소원을 이뤘고, 오색딱따구리는 집을 거의 다 완성한 듯 바깥쪽을 열심히 다듬고 있네요. 소쩍새와 하늘다람쥐가 오색딱따구리보다 더 부지런해 먼저 집을 마련한 걸까요? 답은 “노(No)!”입니다. 소쩍새와 하늘다람쥐 이 두 놈은 딱따구리들이 파놓은 둥지를 제집으로 삼고 있는 겁니다.

 숲 속에서 딱따구리의 둥지는 다양한 야생동물의 보금자리로 이용됩니다. 딱따구리는 나무에 구멍을 뚫고 안쪽 아래로 파 내려가며 둥지를 만듭니다. 비바람도 피하고, 눈보라도 막아 주니 이보다 더 좋은 집은 숲 속에 없습니다. 또한 튼튼해 무너질 염려가 없고, 적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도 있으니 숲 속에서 가장 완벽한 집입니다. 딱따구리는 까막딱따구리(천연기념물 제242호, 몸길이 약 46㎝), 청딱따구리(약 30㎝), 큰오색딱따구리(약 25~28㎝), 오색딱따구리(약 23㎝), 쇠딱따구리(약 15㎝) 등 종류가 많아 집 크기도 다양합니다. 이러다 보니 딱따구리 둥지는 숲 속 작은 동물들이 탐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오색딱따구리 같은 중간 크기의 딱따구리 둥지는 소쩍새(몸길이 18.5~21.5㎝)가 욕심내고, 쇠딱따구리 둥지는 몸집 작은 다람쥐(몸길이 15∼16㎝)들이 차지하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립니다. 몸길이 15∼20㎝의 하늘다람쥐는 오색딱따구리 둥지가 제격이겠죠. 원앙(천연기념물 제327호, 몸길이 43~51㎝)은 몸집 큰 까막딱따구리 둥지를 찾아 헤맨답니다.

 집을 빼앗기는 딱따구리가 불쌍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행복해할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자신이 가진 재능을 나눠 가지는 거잖아요. 다른 친구들은 절대로 나무에 구멍을 내지 못하니까요.


 
글·사진=프리랜서 김성태

출처 :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936817&cloc=olink|article|default



< width="100%" src="http://api.v.daum.net/widget1?nid=51380103" frameborder="no" height="9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초보운전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9.4.19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19.4.19
  2. 작성일
    2015.9.3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5.9.30
  3. 작성일
    2015.9.13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15.9.13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74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144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72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