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청현밍구
  1. 문학/에세이

이미지

도서명 표기
광개토태왕 담덕 1
글쓴이
엄광용 저
새움
평균
별점9.8 (64)
청현밍구

광개토태왕, 사실 아직까지는 광개토대왕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우리의 국사책에는 그 역사적 의미가 비교적 짧게 나온다. 사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의 기록은 매우 일천하고 후대에 작성된 기록이다. 그를 알기엔 역부족이다. 



중국의 기록, 왜곡과 윤색이 많이 가해졌다. 만주에 서 있는 '광태토태왕 능비'에 그 기록이 일부 있지만, 일제에 의해 역사왜곡이 제기되기도 한다. 



광개토태왕, 서쪽으로는 요동반도를 동쪽으로는 지금의 연해주, 북쪽으로는 만주 저 깊숙이까지 정복한 정복군주, 39세의 비교적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아들인 장수왕은 97세까지 장수하면서 아버지의 북진 대신에 남진을 해서 백제를 멸망 직전까지 밀어붙였다. 



아버지인 광개토태왕 대 신라를 침입한 왜구를 정벌한 이래 신라는 실질적 식민 상태에까지 이르게 하며 그의 아버지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었다. 



 



사실 역사를 좋아하고 왠만한 역사책은 다 섭렵한 나 역시도 광개토태왕에 관 역사적 사실은 떠올릴 것이 몇 부분 안된다.  



광개토태왕은 일제를 거치면서 한민족의 역사가 한반도에 갇혀 있다시피 하고, 우리의 웅혼한 기상을 잃은 채 조선의 유교 사상 등과 맞물려 고리타분한 역사가 된 우리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가슴이 뜨거워지고, 웅혼한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많은 사람들이 이순신, 세종대왕, 정약용 정도 다음에 위대한 인물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을 ‘광개토태왕’은 지금까지 여러 책의 일부분이나 또는 드라마로 만들어져 그가 어떤 인물인지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다거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정말이지 극히 일부분이거나 피상적인 수준 또는 왜곡된 말그대로 드라마나 영화의 창작인물이라 할 수 있다.



실제 광개토태왕 담덕에 대한 직접적인 자료는 만주 집안의 호태왕비 비문에 나와 있는 것이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비문 역시 누군가에 의해 변형되고 훼손됐다는 설이 유력한 채로 만주 벌판 수풀속에 묻혀 있다가 발견된 것이다.



대략 1,600여 년전의 인물을 매우 한정된 자료로 인해 우리 역사상 어찌보면 위대한 인물 다섯 손가락 안애 들 수 있는 인물을 오늘날 그 참모습으로 다시 끌어내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우리 선조에 의해 쓰여진 당시 유일한 정사 기록이라 할 수 있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광개토태왕의 모습은 오히려 역사 퍼즐 맞추기를 방해하기 일쑤였다.



김부식의 신라 중심 사관 및 사대주의로 인해 그가 남긴 고구려의 모습은 중국 시각에서 매우 축소됀 채 소략하게 다루고 있다.



 



저자는 비록 소설의 형태로 역시 어느 정도 창작의 부분을 가미하지 않을 수 없지만 최대한 사료적인 시각을 잃지 않으려고 지난 20여년 자료들을 수집하고 현장 답사를 했다고 한다. 



 



1,600년 전 광개토대왕은 '광야를 보며 무엇을 느꼈을까.



우리 민족의 비교적 정적인 역사에서 그는 노마드적인 동적인 역사, 달려나가는 웅혼한 기상을 보여주었다. 그리스의 알렉산더 대왕, 로마의 카이사르, 몽골의 징기즈 칸, 프랑스의 나폴레옹처럼 그는 정복군주였다. 





 



책은 371년 고구려 고국원왕 41년 봄부터 시작한다. 



하대용이라는 인물은 서역과 말 교역을 하는 대상인으로 말 관리를 맡고 있는 호자무와 함께 시작한다. 



고국원왕은 미천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지 12년째 되던 해, 연나라의 침입을 받게 된다. 



사실 이시기는 중국 동진시기로 중국 북방은 선비족과 흉노족 등으로 대표되는 북방민족이 양쯔강 이북 중국 북방 지역을 점령하던 대혼란기였다. 중국 역사상 치욕적인 시기로 현대의 한족 중국 사가들은 이 시기를 대충 이야기하거나 지워내는데 열중하고 있다. 



고국원왕은 미찬왕의 아들로 이름은 사유였다. 그는 315년에 태자가 되었고 미천왕 사후 331년에 고구려 16대 왕으로 즉위한다. 하지만 재위기간 41년 동안 외침을 가장 많이 받고 후에 근초고왕에게 전사하기까지하는 비운의 왕이었다. 



부왕 미천왕의 시신을 모용선비에게 강탈당하기까지 한다. 고구려는 이 고국원왕 시기 국력이 매우 쇠퇘했다가 17대 소수림왕 시기 불교를 수용하고 율령을 반포하면서 국가 기틀을 다시 한 번 정비한다. 이런 내정의 정비는 후에 광개토태왕의 정복 전쟁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런 소수림왕의 동생인 고국양왕이 왕위에 오르고, 고국양왕의 아들이 바로 담덕 광개토태왕이다.  



 



대왕 사유는 이미 늙었고, 사후에는 태자 구부가 왕위를 잇겠지. 구부에게는 아들이 없다. 현재로서는 태자비가 아닌 다른 여인을 취한다 해도 아들을 낳기 힘들어.



태자도 나이를 먹을 만큼 먹었거든. 그렇다면 구부 다음에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인물은 왕자 이련 밖에 없다. 내 생각에 이련은 왕으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다.



대왕 사유처럼 유약한 성격을 꼭 빼닮았어. 지금 고구려는 서쪽으로는 연나라 다음으로 일어선 전진의 부견이 있고, 남쪽으로는 발해에서 황해에 이르는 해상권까지 장악한 백제가 버티고 있다. 우유부단한 성격을 가진 자가 왕위에 오른다면 고구려의 미래는 장담할 수가 없어.



미천대왕 때처럼 강력한 왕권이 들어서야만 우리 고구려에 희망이 보인다. 



 



이 소설 속 표현이 당시 고구려의 절박한 상황을 여실히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 스포일러가 될까봐 자세히 적지는 못하겠지만 1권은 배경 설명적인 부분이 크다. 



 



주요 인물은 고국원왕 사유와 고국원왕의 아들로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하면서 내정을 다진 소수림왕 구부, 그리고 소수림왕의 아우인 광개토태왕의 아버지인 고국양왕 이련이 주인공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이 북쪽으로는 모용씨와 전진의 침입을 막고, 남으로는 백제를 맞아 싸우는 시대적 배경이 펼쳐진다. 



 



고구려의 정치 세력 집단체인 5부중 하나인 연나부, 소노부 등이 나오고 동부욕살 등 고구려의 대성, 정치체계, 관직 등에서 생생한 고증이 뒷받침되어 있다.



 



작가는 20년 넘게 시간을 들여 역사서를 찾아보고, 중국 현지 답사 등을 통해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에서 미쳐 들려주지 못한 역사의 빈 공간을 사료와 저자의 합리적 상상력을 통해 복원하고 있다.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들 하나하나에 작가로서의 의미와 역할을 부여하여 당대의 역사를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음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의은 광개토태왕 재위시기를 전후한 40~50년이지만, 고구려라는 우리 민족의 웅혼한 시기를 다시 한 번 되살려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새움출판사에서 좀 더 다양한 홍보 등을 통해 대작을 알려주면 더 좋을 것 같다. 



 



* 예스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청현밍구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2.2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2.20
  2. 작성일
    2025.2.2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2.20
  3. 작성일
    2024.10.5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4.10.5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27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2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37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