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duetto
- 작성일
- 2020.2.13
나쁜 습관은 없다
- 글쓴이
- 정재홍 저
판미동
최근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라와 있는 책인 "해빗"을 얼마전 읽어서 그런지 이 책의 내용이 낯설지 않았다. 이 책 역시 뇌와 습관에 주목한다. 우선 성격도 습관이라면서 외부에서 자극이 들어오거나 특정한 상황, 특정한 시간, 특정한 장소에 이르면 자동적으로 생기는 생각, 감정, 행동 반응을 습관으로 정의한다. 습관 안에는 패턴을 따르게끔 이끄는 규칙들이 들어 있다면서 특히 나쁜 습관을 반복하는 행동의 저변에는 내면의 대화가 존재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내면 대화를 통해 의사결정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기쁨과 만족을 느끼거나 실의에 빠지고 낙담하기도 한다면서 이러한 내면 대화를 잘 이해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어떤 과정을 통해 내면 대화가 일어나는지 알고 이게 습관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면 이제 그 습관을 그만 따라가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한편 감정이나 성격을 습관이라고 인정하면 놀라운 변화가 생긴다면서 부정적인 감정에 머물러 있는 것이 외부의 상황이 아닌 습관 때문이라면 굳이 상황을 바꾸지 않고도 부정적 감정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 말한다. 이를 위해 반복적인 감정의 그늘 안에서 당연한 것으로 믿어 왔던 것을 넘어서는 방법만 익히면 된다는 것이다. 보통 우리는 고통스러운 느낌을 피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게 되고 뇌는 그 행동을 최우선목록에 올리면서 그 행동을 계속 반복하려는 생각, 충동, 욕망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쁜 습관을 없애려는 것은 잘못된 목표라고 언급한다. 나쁜 습관은 새로운 습관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쁜 습관을 없애려는 것이 아니라 그 위에서 사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의 대부분의 내용은 그렇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다. 우선 내면 대화의 방어적인 면에 대해 그 의도를 정확히 인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자체를 인정하면 내면 대화의 저항이 낮아진다면서 말이다. 나쁜 습관 자체가 나쁘다는 판단을 내려놓아야 자신과 싸우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자연스럽게 놓아버릴 수 있다고 말한다. 나쁜 습관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안전지대에서 불편을 없애거나 회피하지 않고 그것을 넘어와야 한다고 말한다. 불편함과 공존해야 한다는 말인데, 불편이나 고통을 넘어서면 나에게 어떤 도움이 되는지, 소중한 가족이나 나의 일에는 어떤 도움이 되는지 생각해보라고 조언한다. 불편이나 스트레스 반응은 나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고안된 생리적 상태라고 여러 번 말해 보라고도 언급한다. 이렇게 뇌의 습관 회로를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부정 우선의 뇌 조정법과 변연계 훈련법을 소개하고 있다.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것을 찾고, 그것을 느끼고, 오래 그 느낌을 유지하는 것이 부정 우선의 뇌 조정법이며, 불편함을 천천히 낮추도록 유도하는 기법이 바로 변연계 훈련법이다.
번연계 훈련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려움을 낮추도록 편도체를 훈련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즐거운 경험 또는 감사를 통해 긍정적 상태를 충분히 느끼고 난 뒤, 호흡을 천천히 하면서 긴장을 풀고 불편을 떠올리고 감사도 떠올리라고 말한다. 그러한 이중성을 느끼고 긍정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며 더 큰 불편을 점점 늘려가다 보면 그것에 면역이 생긴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 감정이 말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는 것이 새로운 습관의 핵심이라 소개한다. 우리 마음 속 감정 저장고는 이렇게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면 하나씩 비워진다면서 말이다. 한편 어떤 나쁜 습관이라도 그 안에는 소망이 숨겨져 있다면서 그것이 엉뚱한 방향으로 드러났을 뿐이라 생각하라고 말한다. 정말로 원하는 것을 찾으려면 생각 언어가 아닌 감정 언어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데, 감정 언어에 질문을 던지려면 필요에 따라서 감정 저장고를 비우는 것이 먼저라고 조언한다. 그리고 나쁜 습관은 대부분 엉뚱한 것으로부터 욕구를 충족하려고 하면서 생긴다면서 이때 나쁜 습관을 금지하는 데 초점을 두지 말고, 새로운 습관에 욕구를 일으킬 수 있다면 훨씬 좋을 것이라 말하고 있다. 이 책의 후반부에는 새로운 습관을 통해 기존의 생각과 감정 습관을 자연스럽게 놓아 버리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그 중에는 자기 전 10분과 일어난 뒤 10분, 이 시간을 오직 자신을 위한 새로운 내면 대화의 시간으로 보내라고 조언해주고 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