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문고인
  1. Wish List

이미지





Hoonie  (homepage)님께서 남기신 글













한국현대문학 100년 대표소설 100선 연구







한국현대문학 100년을 맞이하여 나온 『한국현대문학 100년 대표소설 100선 연구』는 오늘의 문학적 시각으로 지난 100년 동안의 우리 소설과 문학사를 새롭게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신소설의 기점인 이인직의 「혈의 누」에서 시작해서 김영하의 「검은 꽃」까지 우리 시대를 대변하는 명작들을 연구함으로써, 우리 소설사의 넓이와 깊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대의 고민을 끌어안았던 작가들의 내면 풍경도 함께 엿볼 수 있게 했다.


1. 이인직, <혈의 누> - 과도기적 소설 양식의 새로움과 한계
2. 이광수, <무정> - 자유연애와 근대문명에 대한 동경
3. 현진건, '운수 좋은 날' - 궁핍한 시대의 비극적 민중상
4. 최서해, '탈출기' - 체험과 빈궁의 문학
5. 전영택, '화수분' - 도리의 죽음과 욕망의 생존
6. 나도향, '벙어리 삼룡이' - 이중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몸짓
7. 김동인, '감자' - 가난의 굴레, 그 비극적인 삶
8. 조명희, '낙동강' - 민족성을 동반한 목적의식 문학의 선구
9. 주요섭, '사랑손님과 어머니' - 동심을 통한 사랑의 예술적 승화
10. 염상섭, <삼대> - 식민지 시대의 사실적 재현
11. 이기영, <고향> - 계급 의식의 문학적 반영과 승화
12. 심훈, <상록수> 계몬주의이 실천과 동지애적 사랑
13. 계용묵, '백치 아다다' -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행복의 거리
14.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 낭만적 서정과 세련된 기교
15. 김유정, '동백꽃' - 해학을 통한 현실 인식의 전형
16. 이상, '날개' - 이식의 감옥과 비상에의 욕망
17. 한설야, <황혼> - 어두운 시대, 변화를 통한 새로운 길찾기
18. 채만식, <탁류> - 일제강점기 리얼리즘의 한 성취
19. 김남천, <대하> - 풍속묘사를 통한 시대 정신의 구현
20. 이태준, '해방전후' - 해방공간에 대한 성찰의 기록과 고백
21. 손창섭, '비오는 날' - 전후사회와 불구적 삶의 형상화
22. 황순원, '소나기' - 미성년의 사랑 체험과 경계의 미학
23. 오영수, '갯마을' - 자연 친화의 따뜻한 휴머니티
24. 장용학, '요한시집' - 관념과 상징으로 모색한 전화의 치유
25. 김성한, '바비도' - 냉소와 풍자를 통한 내면 탐구
26. 하근찬, '수난이대' - 분단시대의 이중고와 삶의 의지
27. 선우휘, '불꽃' - 억압된 자아 극복과 소극적 행동주의
28. 이범선, '오발탄' - 월남 가족의 삶과 방향성의 상실
29. 최인훈, <광장> - 광장과 밀실의 함의, 분단 이데올로기의 극복
30. 이호철, '판문점' - 치유되지 않은 남북 대립의 상처
31. 전광용, '꺼삐딴 리' - 궁핍한 시대의 비극적 인간상
32. 김승옥, '무진기행' - 근대화 이전의 공간에 대한 향수
33. 서정인, '강' - '강'과 '눈', 실재와 언어
34. 안수길, <북간도> - 간도 이주사를 통해 고취한 주체적 민족의식
35. 박경리, <토지> - 격동기의 민족 수난과 극복 의지
36. 김용성, <리빠똥 장군> - 군대 조직으로 본 아집과 파멸의 비극
37. 홍성원, <남과 북> - 한국전쟁과 집단적 수난의 총체성
38. 이병주, <지리산> - 실존적 체험과 역사적 진실의 형상화
39. 최인호, '타인의 방' - 산업화 시대와 인간의 자기소외
40. 윤흥길, '장마' - 장마 끝의 무지개, 혹은 분단극복의 가능성
41.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치자와 피치자의 사랑과 용서, 그리고 경계 허물기
42. 조해일, <겨울 여자> - 폭력적인 남성성 감싸기, 또는 여성의 희생과 이타성
43.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산업화의 음지에서 일군 서정의 미학
44. 이문구, <관촌수필> - 토속적 언어에 스며든 인간의 진정성
45.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 굴곡의 역사와 비극적인 민초들의 삶
46. 현기영, '순이삼촌' - 4.3항쟁과 그 비극의 소설화
47. 김성동, <만다라> - '회의.방황.탐색'을 통한 정신적 원형 찾기
48. 김원일, <노을> - 유년의 상처와 극복의 방식
49. 박영한, <머나먼 쏭바강> - 월남전에 참전한 한 인간의 갈등과 혼란
50. 김동리, <을화> - 샤머니즘을 통해 바라본 인간 실존
51. 오정희, '중국인 거리' - 성장기 소녀의 동경과 환멸
52. 이문열, <사람의 아들> - 긍정적 미래를 향한 현재의 부정
53. 전상국, '아베의 가족' - 전쟁의 상처, 그리고 치유를 위한 뿌리 찾기
54. 박태원, <갑오농민전쟁> - 민중의 눈으로 그린 근대 농민전쟁의 역사
55. 박완서, '엄마의 말뚝 1, 2, 3' - 한 가족의 비극을 통해 본 분단 현실의 극복 의지
56. 윤후명, '돈황의 사랑' - 중년 실직자, 시공을 넘는 마음의 편력
57. 서영은, '먼 그대' 고통을 통한 초월적 자아와의 만남
58. 황석영, <장길산> - 민중체제 대동세상의 실현을 위한 역사 복원
59. 이인성, '낯선 시간 속으로' - 상처의 근원을 탐색하는 낯선 소설 기행
60. 김주영, <객주> - 구한말의 민중사와 민족어 복원
61. 홍명희, <임꺽정> - 민중의 저항의식을 통한 민족의 자존 지키기
62. 이제하,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환상과 이미지의 수사를 통한 초월과 통합의 의미
63. 문순태, <철쭉제> - 이데올로기를 넘어서는 화해의 축제
64. 복거일, <비명을 찾아서 : 경성, 쇼우와 62년> - 대체역사 방식을 통한 세태 비판
65.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 희망과 절망의 이중주
66. 홍희담, '깃발' 광주항쟁 진실의 복원
67. 조정래, <태백산맥> - 민중적 삶의 복원을 통한 분단 극복 의지
68. 신경숙, '풍금이 있던 자리' - 1990년대 소설의 출발점
69. 최윤,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 '광주'의 원죄 성찰을 위한 심미적 탐색
70. 방현석, '새벽출정' - 1980년대 노동현실과 노동자 투쟁 과정의 전형
71. 최수철, <고래 뱃속에서> - 억압적 사회현실과 치밀한 언어탐구
72. 장정일, '아담이 눈 뜰 때' - 허구적 욕망의 가짜 낙원, 그 출구로서의 글쓰기
73. 박상륭, <칠조어론> - 죽음을 통한 득도의 길
74. 박상우,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 '새로운 연대'의 우울한 서곡, 망각의 눈
75. 안정효,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 인공낙원 혹은 헐리우드를 향한 허망한 꿈
76. 이창동, '녹천에는 똥이 많다' - 타락한 삶, 근대화의 그늘
77. 고원정, <빙벽> - 신화와 우상 전복하기
78. 하일지, <경마장 가는 길> - 열린 텍스트의 공간과 자유로운 의식의 소통
79. 공지영, <고등어> - 민주화 운동 후일담, 그 고뇌와 사랑
80. 윤대녕, '은어낚시통신' - 존재의 시원과 삶의 의미
81. 구효서,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 소설가적 자의식의 '바라보기'와 '실현하기'의 차이
82. 정찬, '슬픔의 노래' - 슬픔과 권력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83. 김소진, <장석조네 사람들> - 유년의 기억과 화해의 의식
84. 이순원, <수색, 그 물빛 무늬> - 일탈에 대한 그리움과 '집'으로의 회귀
85. 은희경, <새의 선물> - 삶을 사랑하는 방법으로써의 냉소
86. 최명희, <혼불> - 민족혼의 원형 그리기
87. 임철우, <봄날> - 살아남은 자의 증언과 부끄러움
88. 하성란, '곰팡이꽃' - 익숙한 것의 낯설음
89. 이승우, '목련공원' - 신이 부재한 시대의 '욕망' 읽기
90. 이윤기, '나비넥타이' 부분으로 전체 보기의 오류
91. 김영현,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 - 가족을 통해 본 민족사적 비극
92. 전경린, <내 생애 꼭 하루뿐인 특별한 날> - 사랑과 열정과 자아의 발견
93. 성석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 탈근대로의 탈주를 꿈꾸는 전략적 농담
94. 박덕규, '포구에서 온 편지' - 자본주의 사회가 던져놓은 욕망의 그물 자르기
95. 김형경,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 사랑의 통증과 환상 넘어서기
96. 김훈, <칼의 노래> - 역사의 이면, 혹은 영웅의 내면
97. 김인숙, '바다와 나비' - 희망을 향한 비상
98. 이혜경, <길 위의 집> - '길' 위에서 황폐화되는 '집'
99. 서하진, '제부도' - 만남과 헤어짐, 삶과 죽음의 경계
100. 김영하, <검은 꽃> - '근대'를 체험하는 '탈근대'적 서사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23.04.26

댓글 1

  1. 대표사진

    천사

    작성일
    2009. 2. 27.

문고인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0.11.2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0.11.24
  2. 작성일
    2009.10.6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09.10.6
  3. 작성일
    2009.6.24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9.6.24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96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96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54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