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우아빠
  1. 사진정보

이미지






측광이란 노출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입니다.
측광은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가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노출을 정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과정입니다.  정원이나 길가에 피어있는 꽃들은 저마다 다양한 색상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색들은 저마다의 밝기를 지니고 있어, 사진을 촬영하면 그 빛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카메라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사진을 촬영한다면 카메라는 그 빛을 그대로 받아들여 우리가 의도한 바와는 다른 모습의 이미지가 촬영될 수도 있습니다.  측광 방식을 변경하면 좀 더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측광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습의 아름다운 꽃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아울러 사용자가 직접 측광을 하는 부위를 선택할 수 있는 스팟 측광에 대해 자세히 살펴봄으로서 보다 양질의 꽃 사진을 얻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측광

• 측광이란 노출 값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피사체 화면을 어떤 방식으로 빛을 측정하는가의 방법입니다.




 


 

노출은 필름 혹은 CCD에 빛을 조사시키는 것이고 노출을 정한다, 라는 말은 얼마만큼의 빛을 비출 것인가?  즉 얼마큼의 밝기로 사진을 찍을 것인가 라는 문제이며 이 때 측광은 피사체 즉 뷰파인더나 LCD모니터에 프레이밍 된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진을 찍어온 사람은 Sunny16과 같은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어 밝은 날엔 조리개 얼마 셔터속도 얼마라는 식으로 사진을 찍지만 이런 감각이 카메라가 직접측광을 하는 것보다 정확성을 기대하긴 힘들지요.

2. 측광의 종류


카메라가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측광의 방법에는 실로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또한 카메라 제조회사별로 사용하는 용어도 틀리고 기본으로 채택되어 있는 측광방식도 틀려 정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지만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지하고 계신 내 카메라와 용어 및 그림 등은 다를 수는 있지만 용도는 비슷합니다.

(1) 평균측광(Average Metering)


피사체의 평균밝기를 하나의 센서로 측광하는 방식으로 가장 오래된 방식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은 피사체의 휘도 차(표면 밝기 차)가 크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 입니다.

사진은 평균측광의 일반적인 사용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원본칼라사진을 흑백으로 바꾸고 이를 다시 평균이 되는 회색으로 추출을 하면 노출보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 50%의 회색(100%는 흰색, 0%는 검정색)이 됩니다.

 


 




 


 


 


(2). 중앙중점평균(Center-Weighted Average)측광



 




 


 


다분할 측광 이전에 사용되던 자동 측광 모드인 중앙 중점 측광은 대부분의 경우 중요한 피사체는 가운데에 놓이게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측광 시 중앙의 감도를 강하게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변부의 빛을 어느 정도 고려하기는 하지만 중앙을 중점적으로 측광하기 때문에 피사체가 중앙에 위치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잘못된 노출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 단점인데 그런 경우 중앙에 중요 피사체를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AE LOCK을 한 후 화면 구도를 바꾼 상태에서 촬영을 해야 합니다.  
다분할 측광에 비해 조금 불편하지만 자동으로 노출을 결정하면서 촬영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실력을 가지게 되면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모드입니다.  
특히 곤충이나 꽃과 같은 작은 물체를 촬영할 때 사용하면 상당히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뷰 파인더 상의 중앙 부분을 중점으로 노출 결정
• 무대 촬영 시 중앙부 중점 측광을 하면 화면 중앙에 흰 의상 등이 크게 두드러져 흰 옷에 노출이 과다하게 반응하여 얼굴 부분에 노출이 부족할 수 있어 노출을 약간 많이 줘야 함
• 주변의 노출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화면의 중앙부만을 측광하기 때문에 특정한 피사체만을 표현하고자 할 때 적합
• 역광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된 피사체만을 정확하게 측광
• 뷰 파인더의 중앙부 원을 중심으로 측광
• 피사체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먼저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도를 잡고 중앙부 중점 측광 방식으로 노출을 잰 다음, 카메라의 AE 록(AE lock, 노출 잠금)으로 노출을 고정시켜 원하는 구도로 재구성하여 촬영해야 한다.
• AE lock 버튼이 없다면, 셔터 릴리즈 버튼을 반 누름하면 노출이 고정된다.
• 풍경 사진이나 회화 작품 등의 복사와 같이 화면 전체가 골고루 잘 나오게 해야 하는 경우는 부적합
◆ 장점
중앙부 중점 측광은 중앙부와 주변부를 따로 측광을 한 후 평균을 내는 방법으로 일부 디지털카메라에 기본으로 사용하는 측광방식이다. 이는 대부분의 사진이 중앙에 인물 등의 주제를 배치하는 습관에서 비롯된 방식으로 카메라의 제조사 혹은 기종에 따라 다르지만 중앙부에 측광된 결과 값의 60%를 배당하고 나머지 40%를 주면부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 콘트라스트가 강한 상황이나 노출 조건이 상이한 경우에도 특정 부위의 노출을 측광할 수 있다.
◆ 단점
• 전체를 골고루 묘사하고자 하는 사진에는 부적합하다.
◆ 활용
• 표현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크기가 화면의 1/4 이하일 때
• 화면의 특정 부위를 중점적으로 묘사하고자 할 때
• 역광의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할 때
• 주제와 배경의 콘트라스트가 강할 때

사진을 예로 든다면 중앙부를 측광하였더니 같은 조리개 상태에서 1/50로 나오고 주변부를 측광하였더니 1/30초로 나왔다면 카메라는 이의 중간값인 1/40초로 노출을 정하는 방법이다.


 



 




 


 


(3) 다분할 측광(Multi Metering)


 




 


 


다분할 측광은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프레이밍 된 화면을 몇 개의 영역으로(5분할, 32분할, 256분할) 나눈 다음 이를 복잡한 계산에 의해 측광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카메라의 제조사에서 일반적인 사진의 데이터를 종합해 가장 실패가 적은 노출을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위의 중앙 중점 측광과 유사하게 주제가 있고 배경과의 밝기차가 그리 크지 않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5분할 측광의 예를 보여줍니다.
화면을 5개로 분할하여 각각 측광을 한 다음 복잡한 수식에 의해 노출을 정하는 방법입니다.
• 화면 전체의 평균적인 밝기를 측정
• 중앙부 중점 측광보다 정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다.
• 화면을 작은 조각(5 ~ 6분할)으로 나눠 골고루 노출을 측정한다.
• 평균 측광 방식은 평균은 평균이되 중심부 측광에 비중을 두는 평균 측광 방식이 대부분입니다.
• 반사율이 높거나 낮은 피사체가 화면을 가득 채운다든지, 주 피사체가 작고 배경광의 명암차가 큰 경우는 피할 것.
◆ 장점
• 표준적인 노출을 주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가장 무리 없이 표현 합니다.
• 구도를 결정하고 노출을 측정하기 때문에 측광이 쉽고 오차가 적습니다.
◆ 단점
• 역광이나 밝은 하늘 등이 화면에 들어가면 노광 부족이 되기 쉽습니다.
◆ 활용
• 풍경 사진, 흐린 날의 인물 사진, 회화 작품의 복사.



 




 


 


(4) 스팟측광(Spot Metering)



 




 


 


Spot은 좁은 점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앞서 다뤘던 측광들은 화면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면 이 스팟 측광은 특정한 좁은 영역을 측광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그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는 결국 노출을 사용자가 정하는 수동노출의 하나이며 휘도차가 큰 상황에서 보다 사진적인 결과를 얻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상황별로 몇 가지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 장점
• 화면 내에 반사율이 18% 에 가까운 피사체가 있으면 그 곳을 부분 측광.
• 중앙부 중점 측광 방식과 유사하나 그 부위가 더 작고 세밀하다.
• 특정한 주제를 강조.
• 인물의 피부는 표준 반사율에 가까우므로 얼굴이나 손을 측광.
• 밝고 흰 부분을 측광하여 얻어진 수치보다 노출을 약 1스톱 반 더 주면 좋다.

a. 주제와 배경이 명확하고 주제에 노출을 맞출 경우 사용합니다.

사진은 일반적인 인물 사진의 하나이다.
단지 모델이 검정 옷을 입고 있고 배경이 주제가 되는 피부보다 어두운 경우이기 때문에 노출을 정할 때 유의하여야 합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노출보정을 하지 않고 측광방식을 스팟으로 변경 후 얼굴의 좁은 영역에 노출을 정하면 됩니다.


 



 




 


 


b. 터널 뷰 등의 휘도차가 큰 경우 사용합니다.



사진을 찍다보면 습관적으로 어두운 배경에 주제가 밝은 경우를 찾게 된지요.
이와 같은 방법은 쉽게 주목성이 큰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일부분에만 빛이 들어와 휘도차가 큰 경우입니다.
이와 같은 장면은 스팟측 광으로 가장 주제가 되는(밝은) 부분을 찾아 노출을 정하면 실패하지 않습니다.


 



 




 


 


c. 터널 뷰 사진에 사용합니다.



터널 뷰란 마치 터널 안에서 터널 밖을 보는 것처럼 가장자리의 어두운 부분이 있어 사진중앙의 밝은 부분으로 쉽게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사진입니다.
이와 같은 장면에서는 스팟 측광을 이용하여 중앙의 밝은 부분을 측광하면 쉽게 노출을 정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주변부가 어두운 배경이고 중앙부는 밝은 주제입니다.
이와 같은 장면에서 중앙의 밝은 부분에 스팟 측광을 하면 중앙부의 밝은 부분은 적정 노출이 이루어져 사진과 같은 터널 뷰의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d. 실루엣 사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루엣 사진이란 보통 역광을 받는 대상이 검게 윤곽만 보이고 밝은 배경에 노출이 맞춰진 사진입니다.  이와 같은 경우엔 역광을 받는 대상이 아닌 밝은 배경에 스팟으로 측광을 하면 쉽게 실루엣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진은 일출입니다.  스팟 측광을 이용하여 하늘에 노출을 맞추게 되면 역광 하에서의 사람들은 실루엣으로 보여 지게 됩니다.



 




 


 


사진을 어떤 밝기로 찍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노출이라면 측광은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노출을 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카메라의 메커니즘이 발전함에 따라 위에서 살펴본 측광의 종류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사진을 기초로 통계를 내어 가장 실패가 적은 연산을 개발한 것에 불과합니다.
반면에 스팟 측광은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곳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주관적으로 노출을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C. 인물이나 꽃 사진에도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한낮 태양빛이 내리쬐는 상황에서 모자를 쓴, 나무 밑 등 그늘에서 인물이나 꽃 사진을 촬영하려는 경우 강하게 내리쬐는 태양빛에 의해 인물이 어둡게 촬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측광 모드를 변경해 촬영한 결과 촬영하려는 인물의 얼굴이 좀 더 밝게 표현됩니다.
지난 강좌에 다뤘던 노출 보정 기능을 함께 사용해 촬영하면 좀 더 나은 인물 촬영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스팟 측광은 촬영하려는 이미지 중앙 부분에서 어느 일부분의 촬영 정보를 중심으로 전체 이미지의 밝기를 결정해 촬영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그늘에서 인물 촬영 시 어두워지기 쉬운 인물의 얼굴 부분을 중심으로 스팟 측광을 해 반 셔터를 눌러준 후 원하는 구도를 잡아 촬영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화면의 중간 정도의 밝기를 측광하면 무난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스팟 측광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입니다


 




 


 


 



 




 


 


                          자동                                                                       스팟 측광



 




 


 


                          자동                                                                       스팟 측광


측광은 기본적인 개념만 이해하고 있다면 좀 더 수월하게 자신의 의도를 사진에 반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카메라의 측광 방식을 이용하여 아름다운 꽃들을 촬영해 보세요~
이 외 측광 방식을 달리하며 촬영하는 응용 방법은 엄청나게 많습니다.
내공을 증진하는 방법은 자기가 소지한 카메라를 가지고 수 없는 연습 촬영을 하시면 내공이 하늘을 찌를 것입니다.


 


 


자료 출처 : 야사모  (http://www.wildplant.org/) Redzone님의 디카 강좌에서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9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12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4.30
    좋아요
    댓글
    99
    작성일
    2025.4.3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