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리뷰★(한국소설)

amwe
- 작성일
- 2022.12.25
[eBook] 배달의민족은 배달하지 않는다
- 글쓴이
- 박정훈 저
빨간소금
라이더가 말하는 한국형 플랫폼 노동과 플랫폼사의 관계, 수익구조, 위기 대응 등을 이 책을 통해 표면적으로나마 알수있다.
쉽게 말하면 배달 라이더들은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비정규직, 단기근로자로 고용되며 플랫폼사 (쿠팡, 배민 등)과 위탁계약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몇 악덕기업처럼 돈을 적게 주고싶고 책임지기 싫지만 부려먹고 싶은 그들의 마음이 너무나 잘 보였다.
데이터 정보의 독점 및 가치화는 좀 소름끼치는게 플랫폼사는 정보를 독점해 경쟁사를 누르고 가치를 올려 자신들의 수익을 먼저 차지해야 한다.
그것 말고도 평소 내 핸드폰에 울리는 광고 알림이나 알고리즘을 통한 영상, GPS를 통해 내가 다녀온 경로, 식당을 알리는 것을 생각하면.... 정보를 활용해 사람들을 통제할수도 있지 않을까 싶었다. 물론 중국처럼 국민들을 감시하지는 않겠지만...
플랫폼 노동자들은 보통 클라우드, 온디맨드로 나뉘는데 가정부, 배달라이더 같은 호출노동자를 온디맨드 노동자로 분류된다.
반대로 클라우드는 프리랜서 노동자로 분류되는데 직종만 다를 뿐 근로자처럼 월 수익이 일정치 않을 뿐더러 부당대우를 많이 겪는다. 하지만 이는 일반 근로자들도 포함되므로.. 하여간 돈벌기 힘든 세상이다.
간간히 뉴스로 배달기사의 사고와 음식빼먹기, 배달료, 플랫폼사 수수료 등 같은 뉴스를 보면 구조적 문제가 확실한건 사실이고 애초에 플랫폼이 없었으면 수수료와 배달료로 사람들이 고민하지 않았을까 싶다. 하지만 이미 편리함을 알아버린 사람들이 대다수이기에 해결은 요원해 보인다.
또 사람들이 노조에 부정적인데 (라이더 노조설립에 관하여) 내 생각은 기존 라이더, 신입라이더간의 갈라치기와, 책임에서 벗어나되 열심히 부려먹는 플랫폼사에게 비판적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흔히 노조가 너무 많을걸 바라고 시위나 한다고 하지만 이들도 한때는 참고 일한 노동자이며 나도 노동자로서, 노동개혁이랍시고 주69시간, 업종별 차등임금같은 허무맹랑한 정책이 생기는것은 반대한다.
코로나 이후 배달이 급증되면서 배달 플랫폼사는 많은 수익을 거둬들었지만 라이더들은 주9일 12시간 근무기준으로 옛날보다 조금 오른 수익에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여전하다.
내가 다니는 회사도 퀵을 부르는데 그 퀵 기사들에게는 얼마가 배분될까. 또 책에 나온것 처럼 그들도 주6일에 일12시간 근무일까? 그래도 이쪽은 날씨가 안좋으면 차로 바꾸거나 늦게 배차시키는 등 나름 배려하는것 같지만 내가 모르는 또 다른 사정이 있을것이다.
앞으로도 배달 플랫폼사는 건재하겠지만 라이더들은 계속 라이더로 일할지 아니면 그만둘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지금같은 미친 날씨에는 안전운전했으면 좋겠고 손님들은 음식이 좀 늦게와도 조금만 더 너그럽게 이해해주길.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