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현장연구원
  1. Quiz

이미지

1.이란 2. 이라크 3. 파키스탄


 


 


 정식명칭은 이란 이슬람공화국(Jomhuri-ye Eslami-ye Iran)이다. 옛날에는 페르시아(Persia)라고 불렀으나 1935년에 '아리아인(人)의 나라'라는 뜻의 현재 국명으로 개칭하였다. 동쪽으로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북쪽으로 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 서쪽으로 터키·이라크에 접하며, 남쪽으로는 페르시아만, 오만만을 사이에 두고 아라비아 반도와 마주하고, 북쪽으로는 카스피해(海)에 면한다. 다민족국가로서, 1970년대에 팔레비 국왕이 중동지역 패권 장악을 위해 추진했던 핵무기 개발이 1990년대 이후 다시 본격화되자 이를 막으려는 미국·이스라엘 등의 국제사회와 갈등을 빚고 있다. 행정구역은 30개주(ostan)로 되어 있다.


 



 


위치 :  서남 아시아 페르시아만 연안
수도 :  테헤란 (Teheran)
언어 :  페르시아어
기후 :  동부 지중해성기후, 서부 온대습윤기후
종교 :  시아파이슬람교
면적 :  162만 9918㎢
통화 :  리얄 (Rial)
전화 :  이란(98)-아바단(abadan,631)


                 테헤란(Teheran, 21)


 


*테헤란


 엘부르즈산맥 남쪽 기슭의 이란 고원에 위치한다. 7월 평균기온 29.5℃, 1월 평균기온 3.5℃, 연평균강수량 208mm로 기후가 건조하다.


13세기 초에 처음으로 건설되었으며, 시 남쪽 8km 지점에 있던 셀주크 왕조의 수도 레이가 몽골군에게 파괴된 후 레이를 대신하여 발전하였다. 16세기 중엽에는 사파위 왕조의 타흐마스프 1세에 의하여 별궁(別宮)이 건설되고, 주위 8km에 이르는 성벽이 축조되었다. 카자르 왕조의 발족과 함께 1786년 시조 아가 모하마드에 의해서 수도로 지정되었다. 당시의 인구는 1만 5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인구가 5∼6만으로 증가한 19세기 후반에는 성벽 주위를 15.5km의 크기로 확대하였다. 1925년 성립된 팔레비 왕조에 의하여 수도로 선정되면서 성곽을 철거하고 직선도로를 건설하는 등 수도의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지방으로부터의 인구 유입으로 팔레비 왕조 발족 당시 30만에 불과하던 인구가 1946년에는 88만, 1966년에는 272만으로 급증하였다. 따라서 시가지도 성벽 밖으로 크게 확장되었으며 흙벽과 골목길로 이루어진 구시가와 밝고 현대적인 유럽풍의 신시가가 큰 대조를 이룬다. 왕궁 ·의회 ·행정관서는 거의 구시가에 있다.


본래 소비도시적 성격이 강하고 공업생산도 식료품·직물·벽돌 등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40 km 떨어진 서쪽 교외의 카라지강에 댐이 건설되어 전력이 풍부해짐에 따라 방적·전기기기·자동차·고무 등 현대공업이 발달하였다. 상업은 오리엔트 최대라고 일컫는 구시가의 바자르를 중심으로 도매·소매업이 성하며, 근대적인 상가는 신시가에 분산되어 백화점과 슈퍼마켓이 생겼다.


 이란의 교통중심지이기도 하며 타브리즈·마슈하드·케르만 등 여러 도시와 카스피해·페르시아만(灣) 연안으로 철도가 통하며, 각 지방도시 사이에는 장거리 버스도 운행된다. 또 서쪽 교외에 있는 메흐라바드 국제공항에는 국내외의 항공로가 개설되어 있다.


 골레스탄 왕궁·역사박물관·민속박물관·세파살라르 사원 등 명소와 문화시설이 있고, 테헤란대학·아리아메르 공과대학이 있다. 교외 북쪽의 셰미란은 피서지로 유명하였으나 현재는 고급 주택가로 변하였고, 남쪽의 레이에는 선사시대 유적과 레자 샤의 묘소가 있다.


 1974년 아시안 경기대회가 열렸으며, 호메이니 체제 성립 후 서방세계와는 거의 접촉이 없는 폐쇄적 도시로 바뀌었다.


 


*페르시아어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에서도 쓰이며, 인도유럽어족 중 인도이란어파에 속한다. 넓은 뜻의 페르시아어는 고대 페르시아어 ·아베스타어 ·중세 페르시아어(팔라비어) ·현대 페르시아어로 이루어지나, 일반적으로 페르시아어라고 할 때는 현대 페르시아어를 가리킨다.


 7세기 중엽, 이란은 이슬람 아랍군에게 정복되어 그 지배하에 들어가자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改宗)하였는데, 그와 함께 팔라비문자 대신에 아랍문자를 채용하게 되어 중세 페르시아어를 모체로 하고, 다수의 아랍 어휘를 차용하여 현대 페르시아어가 성립되었다. 처음에는 아랍문자 28자로 표기되었으나, 나중에 페르시아음을 표기하기 위하여 4자를 추가하여 현재는 32자로 되어 있다. 아랍문자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나, 발음은 아랍어와 달라서 다분히 페르시아어화하여 알기 쉽게 되었다. 명사 ·동사에 성별은 없고, 동사의 변화도 규칙적이다. 근년에 페르시아어화 운동이 일어나 아랍 어휘 대신에 페르시아어가 많이 쓰이게 되었으나 아직 아랍 어휘는 상당수 남아 있다.


 페르시아어는 중세에 동방 이슬람권의 국제어로서 널리 사용되었고, 인도 무슬림왕조들의 공용어, 룸셀주크왕조의 궁정어로서 동쪽은 인도에서, 서쪽은 터키, 북쪽은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 등 이란 국외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인도제어(諸語)나 터키어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현대 페르시아어에 의한 문학은 10세기 전반, 중앙아시아와 동방 이란을 중심으로 흥성하여 당시 문학어로서 다리어라고 불렀으나 나중에 페르시아어(파르시)라고 불렸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현재도 다리어라고 부르고 있다. 15세기 말까지가 페르시아문학의 고전(古典) ·황금시대로서, 뛰어난 시인들을 배출한 것 외에 산문작품도 많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현장연구원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7.4.1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4.11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17.4.1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4.11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17.4.1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4.11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9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76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121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