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헌화가
- 작성일
- 2018.7.2
새
- 글쓴이
- 노아 스트리커 저/박미경 역
니케북스
새는 똑똑하고 기발하고 예술적이다. 비둘기는 기원전 1000년에 이미 우편배달부가 되었고, 찌르레기는150만마리가 한꺼번에 군무를 춘다. 대머리수리는 냄새로도 먹이를 찾고, 벌새의 비행은 드론이나 비행 로봇에 활용된다. 앵무새는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잣까마귀는 먹이를 저장한 5,000여 곳을 대부분 찾아낸다. 까치는 거울을 보며 자기를 인식하고, 정원사새의 둥지 만드는 기술은 예술이다. 어떤 측면에서 새들은 사람보다 뛰어나다. 그리고 새가 하는 거개의 행동은 우리 자신의 행동을 비워볼 수 있는 거울이다.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새들의 수천억 날개 끝에서 눈부시게 거울이 반짝이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가 할 일은 새를 지켜보는 것뿐이다.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 대해 더 잘 알게 된다.
보이즈Boids인데, 이것은 놀랄 만큼 복잡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단순한 프로그램이다. 레이놀즈는 보이드라는 개체 하나하나의 그래픽 이미지를 작은 삼각형으로 표시한 뒤,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게 했다. 1)가까운 범위 안에서 충돌을 피한다. 2)이웃들과 평균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3)그룹과 떨어지는 것을 피한다. 분리, 정렬, 응집이라는 이 세 가지 규칙은 납득할 만큼 실감나는 보이즈 떼를 만들었고, 이 군집은 레이놀즈의 스크린 위에서 실제 찌르레기 무리가 공중에서 회오리치는 것과 완벽하게 흡사한 모습을 보였다. (69 -70쪽)
이 같은 민첩성은 펜타곤 연구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들은 최근 벌새 같은 나노 드론, 즉 실제 새 날개와 놀랄 만큼 유사한 두 날개를 가진 미니어처 비행 로봇을 공개했다. 이 작은 드론은 리모컨으로 제자리에서 맴돌거나 뒤 혹은 옆으로 가게 조종할 수 있고, 건물 안으로 쏜살같이 들어가고 나오면서 생생한 촬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조류 관찰자라면 차이를 알아챌 수 있을지 모르지만, 군에서는 별다른 의심을 사지 않고 표적 가까이 접근해 정찰 임무를 수행할 스파이 장치로 구상하고 있다. 이미 시제품을 제작해 채색까지 마쳤는데 벌새와 매우 닮았다. (163쪽)
야생 까치의 가장 흥미로운 행동 중 하나는 즉흥 장례를 치르는 것처럼 보이는 습성이다. 까치들은 때로 죽은 동료를 발견하면 목청껏 울어 주위의 다른 까치들을 불러 모은다. 죽은 동료 주변으로 모여들며 엄청나게 시끄러운 울음소리를 내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소리를 죽이고 명상의 시간을 갖는다. 그러는 동안 새들은 각자 죽은 동료를 살피거나 부리로 매만진 다음, 차례차례 조용히 자리를 뜬다. (302쪽)
앨버트로스의 삶은 인내로 점철된다. 나그네앨버트로스는 알에서 깨어난 뒤 9개월을 둥지에서 혼자 보내는데, 주위를 둘러보며 조용히 명상하는 것 말고는 할 일이 없다. 형제자매가 없기 때문이다. 새끼는 서서히 자란다. 엄마와 아빠는 집을 비우고 부지런히 일하는 맞벌이다. 먹이를 구하러 먼 대양을 돌아다니다가 가끔씩 저녁거리를 물고 둥지로 돌아올 뿐이다. 그러다가 어느 날, 마침내 준비되었다고 판단되면, 어린 앨버트로스는 한 번도 시험해보지 않은 날개를 펼치고, 길잡이도 없이 홀연히 바다로 나가, 이후 6년간 남극해에서 가장 바람 거센 지역을 홀로 돌아다닌다. 놀랍게도 이 고독한 새는 생애 최초의 몇 년간, 아마 육지가 보이는 곳은 지나지 않을 것이다. (391-392쪽)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