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연
  1. 독서모임

이미지

 

아이의 사생활 2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저
지식플러스 | 2016년 08월

 

 

 

믿고보는 EBS 책으로 이번 별난맘을 만났답니다.

사실 1,2 편을 다 할까 고민하다가 2편만 했는데,

1편을 읽으면서 역시나 1편도 했었구나 했답니다.

 

다큐로 직접 봐도 좋고 책으로 봐도 좋고, 둘 다 보면 더 좋은 EBS 책들인 것 같습니다.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던 책이었는데,

우리 회원분들도 꽤나 마음에 들어 하셔서 큰 다행이다 싶었지요.

어찌나 기쁘던지^^

 

질문지 만들기가 점차 수월해지는 게 회원 분들의 생각도 깊어지고

공유해주신 내용도 날이 갈수록 질문 만들기 좋아서 큰 도움이 된답니다.

이번 질문지도 만들고 혼자 얼마나 흐믓해했던지요^^

 

하지만 워낙 활발히 토론하시는 우리 회원 분들은 질문 6개를 다 하기가 참 어렵답니다 ㅋㅋㅋ

다음부터는 꼭 4개만 만들거라며 ㅋㅋ 제가 울분을 ㅋㅋㅋㅋㅋ

이번 모임은 어쩌다보니 11-2:30까지 했답니다. ㅋㅋㅋㅋㅋㅋ

언제나 1시에 마치는 게 목표인 모임장 휘연입니다 ㅋㅋ

 

 

 

또 상석에 앉았습니다 ㅋㅋㅋㅋ

아예 자리 만들어 주시는 ㅋㅋㅋㅋ

별난맘은 사랑입니다 > _<

 

인성과 감정이라는 이름으로 도덕성과 자존감에 대해 공부할 수 있었어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과 두뇌 능력보다는 더 중요한 게 아무래도 인간됨이라는 생각이 들어,

이 책이 더 중요하게 생각되었답니다.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서 좋았답니다^^

 

이제 별난맘 1기 마지막 모임만 남았네요.

4번이나 모이면서 정도 많이 들고, 유대감도 많이 쌓여서 더 기뻐요^^

마지막 모임을 기다리면서 잘 준비해보겠습니다.

 

뒷풀이까지 잘 마칠 수 있도록 준비해야겠네요 > _<

 

아이가 처음 방문을 잠근 날

최희숙 저
아름다운사람들 | 2019년 05월

 

제가 무척 사랑하는 책으로 마무리 하게 되어서 기쁩니다^^

 

 

<모임 내용 정리>

 

* 도덕성을 키우면서 자존감을 키워주는 것이 관건.

 

* 도덕성을 지킨다는 것이 막상 당연하다 싶으면서도 닥치면 쉽게 되지 않을 듯하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본이 되기 위해서 스스로를 세뇌시키고 생활화 시켜야 한다.

 

* 도덕성이 처벌보다는 보상에 더 크게 좌우 된다고 한다. 결과가 잘 나오면 보통 좋은 일이 생기니 점점 결과에 초점을 두게 된다.

 

* 나이가 적을수록 잘 모르니까 더더욱 이야기 해줘야 한다. 도덕성에 관한 이야기는 4세부터 하기에 적기. 특히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할 때는 좋은 걸 알려줄 좋은 타이밍이다.

 

* 평균적인 도덕성. 그 순간에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사실 아무도 모른다. 그걸 잘 잡는 게 도덕성을 키우는 것이다.

 

* 아이를 기준으로 좀 더 도덕성을 더 준수하는 경우가 있다. 애를 위해, 아이가 올바르게 크길 바라는 마음에 본보기가 되어 주기 위해. 반대로 도덕성을 잠시 놓고 싶을 때도 생긴다. 당장 우리 아이에게 손해가 될 것 같으면 신경 쓰고, 해결하기 위해 언급하게 된다.

 

* 나의 감정 표현을 아이도 그대로 배운다. 내가 감정 조절을 못하면 아이도 똑같이 그 내재된 공격성에 기름이 부어져 잘못된 감정 표현을 하게 된다. 특히 나에게 여유가 없으면 더 심해진다. 몸이 힘들거나 피곤하거나 스트레스 받으면 그렇다.

 

* 육아서를 많이 읽고 더더욱 공부해야 한다.

 

* 내가 화가 났을 때가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어떻게 화를 풀지 그 방법이나 해결책을 아이들에게 보여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치볼을 하거나 베개를 때리거나. 하지만 감정은 받아줘야 한다. 억압받은 걸 최대한 풀어 줘야 하니까. 특히 아이의 편에서, 아이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 우리가 생각하는 리더라는 단어가 가지는 이미지가 많이 바꼈다는 생각을 했다. 예전에는 대인관계 좋고, 아이들을 통솔할 줄 알며 밝고 뭐든 잘하는 그런 외향적인 사람들이었다면 지금은 내성적인 사람들도 자신이 생각하는 걸 잘 표현할 줄 알아, 자신의 의지대로 그 모임을 이끌고 나갈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 행복과 관련된 기준은 자기만족과 관련된다. 상대적일 수 밖에 없다. 성향도 있을 수 있고, 부모가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키웠는가와 연결될 수 밖에 없다. 타인의 SNS의 모습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집에 만족하면 행복할 수 있다.

 

* 내가 나 자신의 기준을 가지고 보는 것처럼 다른 사람을 볼 때도 그 기준으로 보게 된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휘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4.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17
  2. 작성일
    2025.4.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17
  3. 작성일
    2025.4.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4.17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47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25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254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