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hanmunhwa0
  1. 한문화 리얼이야기

이미지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중 어느 쪽을 먼저 할지는 해묵은 논쟁거리입니다. 여기서의 유산소운동은 20~30분 이상 수행하는 본격적인 유산소운동이나 인터벌 트레이닝을 말합니다. 근력운동 전후에 기본적으로 실시하는 5~10분 남짓의 워밍업과 마무리 운동은 논외로 합니다.

 

 

 

과거에는 근력운동을 먼저 실시해 글리코겐을 고갈시킨 후 유산소운동으로 체지방을 태운다는 속설이 통용되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글리코겐 소모와 체지방 연소는 별 연관이 없습니다. 근력운동을 먼저 한다고 해서 하루 전체로 봤을 때 지방이 더 타는 건 아닙니다.

현재는 어느 쪽을 먼저 해야 자신의 목적에 적합한지 개별적인 관점에서 접근합니다. 대개는 근력운동이 유산소운동보다 에너지는 적게 쓸지언정 고도의 집중력과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덜 지친 운동 전반에 하는 게 유리합니다. 그 외에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하루씩 번갈아 실시해도 됩니다. 반면 주된 목적이 달리기 능력 향상이거나 폐 기능 발달이라면 유산소운동을 먼저 하는 것도 개인의 선택입니다.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조합할 때 유용한 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아침 시간은 몸이 덜 풀려 있고, 컨디션이 정상을 찾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아침 운동은 오후보다 워밍업을 길게 잡아야 합니다. 그럴 바엔 30분 남짓으로 유산소운동을 먼저 하는 편이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운동할 수 있습니다.

·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아예 다른 날에 실시하면 위와 같은 고민이 필요 없습니다.

· 하체 운동이나 고중량 운동처럼 근력운동의 강도가 높은 날은 유산소운동을 생략하거나 강도가 낮은 유산소운동을 합니다. 팔운동, 복근 운동, 어깨 운동처럼 근력운동 강도가 낮은 날에는 달리기나 인터벌 트레이닝 등의 유산소운동을 짝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 근력운동 일수가 주당 3~4일 이내라면 저강도 유산소운동은 근력운동과 함께 실시합니다. 고강도의 달리기나 인터벌 트레이닝은 근력운동 없는 날에 주 2회 정도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 서킷 트레이닝처럼 그 자체로 심폐 운동을 겸하는 운동이라면 워밍업과 쿨 다운 외에 별도의 유산소운동은 필요 없습니다.

※ 위 콘텐츠는 《다이어트의 정석》에서 발췌 ·편집한 내용입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hanmunhwa0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0.6.1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0.6.10
  2. 작성일
    2020.6.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0.6.9
  3. 작성일
    2020.6.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0.6.8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6
    좋아요
    댓글
    173
    작성일
    2025.5.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7
    좋아요
    댓글
    115
    작성일
    2025.5.2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6
    좋아요
    댓글
    82
    작성일
    2025.5.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