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hare22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천문학 콘서트
글쓴이
이광식 저
더숲
평균
별점9.4 (34)
hare22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 천동설부터 시작해서 현대의 빅뱅이론까지 천문학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어려운 천체 물리학 수식은 생략한 채 천문학의 발달사뿐만 아니라 과학자들이 위대한 성취를 이루기까지의 분투기와 함께 역동적인 생애도 기술하고 있어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이 책은 지동설의 갈릴레오나 천왕성과 해왕성 등을 발견한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만유인력의 뉴턴과 상대성이론의 아인슈타인, 그리고 태양계 형성설을 주장한 칸트까지 한 항목을 할애하고 있다. 사실 하늘에 떠 있는 별과 행성들 발견의 역사만이 천문학은 아니며 우주를 형성하고 지탱하는 원리와 법칙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은 곧 지구(이 세상)의 법칙을 알고자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 아니겠는가?



예전 서양에서는 천문학이라는 것이 별도로 성립되지 않았다. 별과 우주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세상의 이치를 연구하는 철학의 영역이었으며 철학자는 곧 물리학자요 수학자였다. 뉴턴도 세간에 유명세를 알릴 때는 철학자로서 소개됐다고 한다. 이후 점차 수학과 과학이 발달하고 합리주의 사상이 팽배해지는 근대에 이르러 천문학, 물리학, 수학의 영역은 철학으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독서 중에,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겠으나 과학사의 한 획을 긋는 획기적인 발견과 업적엔 당대 과학자의 엄청난 열정과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란 생각이 자연스레 들었다.



무엇에 집중하면 식사 시간도 잊어 자기가 식사를 했는지 주변에 물어보곤 했던 뉴턴!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발표한 지 300년 만에 연주시차를 발견한 베셀! 등등. 그는 천문학자로서 유명하기 전에는 비전문가로서 낮에는 일하고 밤 9시부터 새벽 3시까지 천문학과 물리학, 미적분 등을 연구했다고 한다.



책을 다 읽었을 때 즈음, 한 가지 후회가 밀려왔다. 진작에 이 책을 읽었더라면 좋았을텐데... 인생이 바뀌지는 않았더라도 최소한 관심의 대상 폭을 더 이른 시기에 확장해 둘 수 있었을 텐데...하는 것 등등. 우주는 물론 그간 별 흥미가 없었던 물리학과 수학 분야의 관련 책들도 더 읽고 싶고 공부하고 싶은 욕구가 생겼으니 말이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hare22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1.6.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1.6.8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1.4.2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1.4.22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1.3.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1.3.23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95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161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5
    좋아요
    댓글
    125
    작성일
    2025.5.1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