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놀공식계정
  1. 우리말 살려쓰기

이미지

묶음표 한자말 169 : 도촬(盜撮)



핸드폰 사진의 좋은 점은 문자를 보내는 척하면서 도촬盜撮이 가능하다는 것
《안수연-케이타이 도쿄》(대숲바람,2007) 15쪽


 



  “핸드폰(hand phone) 사진의 좋은 점(點)”은 “휴대전화 사진이 좋은 대목”으로 손볼 수 있는데, ‘휴대전화(携帶電話)’라는 낱말도 ‘손전화’로 손볼 수 있어요. ‘문자(文字)’는 ‘쪽글’로 손질할 수 있어요. 그러나, ‘핸드폰’이나 ‘문자’ 같은 낱말은 아주 널리 쓰입니다. 이 낱말을 애써 손질하려고 마음을 기울이는 분은 아주 적어요. “가능(可能)하다는 것”은 “할 수 있다는 것”이나 “할 수 있다는 대목”으로 다듬어 줍니다.



  ‘도촬(盜撮)’이라는 한자말은 국어사전에 안 실립니다. 그러나 이 낱말은 제법 쓰입니다. ‘도둑 촬영’을 줄인 한자말일 텐데, 도둑처럼 사진을 찍는다는 소리요, 도둑처럼 사진을 찍는다 할 때에는, 찍히는 사람이 모르게 찍는다는 뜻이에요. 한 마디로 간추리면, 몰래 찍는다는 얘기입니다.


 


 도촬盜撮이 가능하다
→ 도둑찍기를 할 수 있다
→ 몰래찍기를 할 수 있다
→ 몰래 찍을 수 있다
→ 슬며시 찍을 수 있다
 …


 


  한자를 쓰는 나라에서는 ‘盜撮’ 같은 낱말을 빚습니다. 한글을 쓰는 나라에서는 어떤 낱말을 빚으면 좋을까요? 곰곰이 생각해 보면, 몰래 찍는 일을 가리키는 ‘도촬’인 만큼 ‘몰래찍기’라는 새 낱말을 빚을 수 있습니다.



  ‘몰래찍기’라는 낱말을 생각한다면, ‘몰래-’를 앞가지로 삼아, ‘몰래놀기·몰래사랑·몰래하기·몰래선물·몰래편지’ 같은 여러 가지 낱말을 빚을 수 있어요. 삶에 따라 새 낱말이 태어나고, 삶을 누리는 모습에 따라 새 낱말을 빚습니다.



  그리고, “슬며시 찍다”라 풀거나 “슬그머니 찍다”라 풀어도 돼요. “살며시 찍다”나 “살그머니 찍다”라 풀어도 좋아요. “살짝 찍다”라든지 “슬쩍 찍다”라 해도 되고요. (4345.9.11.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손전화 사진이 좋은 대목은 쪽글을 보내는 척하면서 몰래 찍을 수 있다는 것


 


(최종규 . 201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파란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4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4시간 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5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5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6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6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43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