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놀공식계정
  1. 우리말 살려쓰기

이미지


 '-의' 안 쓰면 우리 말이 깨끗하다
 (13) 안도의 1 : 안도의 한숨


 


그리고는 “잡았다!” 하는 의미로 안도의 한숨을 쉽니다
《야누슈 코르착/노영희 옮김-아이들》(양철북,2002) 44쪽


 


  ‘그리고는’은 ‘그러고는’으로 고칩니다. ‘의미(意味)’는 ‘뜻’으로 손봅니다.
  한자말 ‘안도(安堵)’는 “(1) 사는 곳에서 평안히 지냄 (2) 어떤 일이 잘 진행되어 마음을 놓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안도의 한숨”이나 “안도의 표정을 지었다”나 “안도의 빛을 보이다” 같은 보기글이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안도의 한숨을 쉽니다
→ 한숨을 후유 쉽니다
→ 마음 놓는 한숨을 쉽니다
→ 마음을 놓으며 한숨을 쉽니다
→ 마음이 가벼워지는 한숨을 쉽니다
 …


 


  “안도의 한숨”이라는 말마디에서 ‘안도’가 무엇을 뜻하는지 생각해 보는 분이 얼마나 있을까 궁금합니다. 으레 이런 말투로 쓰기 때문에 낱말책 보기글에까지 “안도의 한숨”이 나옵니다. 그러면 이런 말은 우리가 얼마나 쓸 만할까요.



  잘 따져 보아야 합니다. ‘안도의 한숨’이 아니라 ‘안도하는 한숨’입니다. 적어도 이렇게 적어야 알맞습니다. 그렇다면 ‘안도한다’는 무엇일까요. 바로 “마음을 놓는다”이고, “마음이 가벼워진다”입니다. 그러면 이 말뜻 그대로 “마음을 놓는 한숨”이나 “마음이 가벼워지는 한숨”으로 적어야 올바를 테지요.



  “마음을 놓는 한숨”인 줄 느꼈다면, 차근차근 가지를 치며 “마음이 풀어지는 한숨”이나 “마음이 가벼워지는 한숨”이나 “마음에 얹힌 짐을 내려놓는 한숨”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숨 쉬는 모습을 그대로 담아 “한숨을 후유 쉽니다” 해도 되고요. 4337.9.13.달/4346.11.28.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러고는 “잡았다!” 하는 뜻으로 후유 한숨을 쉽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518) 안도의 2 : 안도의 한숨


 


‘아! 이제 평택만 가면 내 인생의 새로운 길이 열리는구나.’ 안도의 한숨을 쉬었습니다
《오아블로-희망을 푸는 두레박》(미다스북스,2004) 188쪽


 


  “내 인생(人生)의 새로운 길이”는 “내 삶에도 새로운 길이”나 “내 삶에 새 로운 길이”로 다듬어 줍니다.


 


 안도의 한숨을 쉬었습니다
→ 히유, 한숨을 쉬었습니다
→ 가볍게 한숨을 쉬었습니다
→ 마음이 놓이며 한숨이 나왔습니다
→ 이제야 마음이 놓였습니다
→ 이제야 마음을 놓았습니다
 …


 


  이 자리에서는 그동안 맺힌 앙금이나 쌓인 근심이 확 풀렸다고 하면서 한숨을 쉰다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한숨소리를 옮겨서 글을 쓸 수 있고, 근심이나 앙금이 풀린 만큼 “가볍게 한숨을 쉬었습니다”나 “홀가분하게 한숨을 쉬었습니다”처럼 적을 수 있어요. “마음을 놓았다”라 적어도 됩니다. 큰짐을 더니 마음이 가볍고, 마음이 가벼우니 한숨이 나오며, 한숨이 나오니 마음이 놓입니다. 4339.2.27.달/4346.11.28.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아! 이제 평택만 가면 내 삶에 새로운 길이 열리는구나.’ 가볍게 한숨을 쉬었습니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1046) 안도의 3 : 안도의 한숨


 


다 치워 놓고 안도의 한숨 쉬고, 텅 빈 마음으로 우리는 서로를 오랜만에 바라보듯 마주 바라보았다
《김성혜-이민 가족》(주우,1981) 165쪽


 


  혼례잔치를 다른 걱정이나 어려움 없이 마친 두 사람은, 이래저래 다 치워 놓은 다음 비로소 마음을 놓았답니다. 가만히 마주앉은 두 사람은 히유 하고 길게 한숨을 쉽니다. 이제 걱정과 시름은 사라졌다고 하면서.


 


 안도의 한숨 쉬고
→ 한숨 한 번 쉬고
→ 한숨 푸욱 쉬고
→ 마음 놓여 한숨 쉬고
→ 마음 풀려 한숨 쉬고
→ 이제 다 끝났다며 한숨 쉬고
 …


 


  걱정이 될 때에 쉬는 숨이 한숨이요, 걱정이 풀릴 때에 쉬는 숨이 또 한숨입니다. 기쁠 때 웃지만 슬플 때에도 웃음이 나기도 하며, 슬플 때 울지만 기뻐서 눈물이 흐를 때도 있으니, 이 한숨도 마음이 놓이거나 마음이 답답할 두 가지 때에 저절로 나옵니다.



  보기글에서는 “이제 다 되었다”고, “이제 다 끝났다”고, “이제 마음쓸 일이 없다”고, “이제는 홀가분할 수 있다”고 해서 한숨을 쉰다고 나타내면 잘 어울립니다. 4340.7.25.물/4346.11.28.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다 치워 놓고 한숨 한 번 쉬고, 텅 빈 마음으로 우리는 서로를 오랜만에 바라보듯 마주 바라보았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08) 안도의 4 : 안도의 한숨


 


엄마는 안도의 한숨을 쉬며 마티아스와 조심해서 사다리를 내려왔습니다
《한스 페터슨/김정희 옮김-마티아스와 다람쥐》(온누리,2007) 24쪽


 


  ‘조심(操心)해서’ 같은 낱말은 그대로 둘 만합니다만, ‘살금살금’이나 ‘천천히’나 ‘차근차근’으로 손보면 한결 낫습니다.


 


 안도의 한숨을 쉬며
→ 후유 한숨을 쉬며
→ 히유 한숨을 쉬며
→ 한숨을 폭 쉬며
→ 한숨을 쉬며
 …


 


  크게 걱정했기에 마음이 조마조마합니다. 아무 말 못하고 마음만 졸이다가 드디어 걱정을 풉니다. 저절로 한숨이 새어나옵니다. 히유, 후유, 에휴, 한숨소리 절로 터져나옵니다. 이때에는 한숨을 ‘폭’ 쉬거나 ‘푹’ 쉬거나 ‘크게’ 쉰다고 할 만합니다. “엄마는 한숨을 크게 쉬며”라든지 “엄마는 자꾸 한숨을 쉬며”처럼 적어도 잘 어울립니다. 4346.11.28.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엄마는 한숨을 폭 쉬며 마티아스와 천천히 사다리를 내려왔습니다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파란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8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8시간 전
  2. 작성일
    20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9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12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18시간 전
    좋아요
    댓글
    63
    작성일
    18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