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살려쓰기

파란놀공식계정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7.1.29
알량한 말 바로잡기
응당 應當
응당 그러하다 → 흔히 그러하다
응당 있는 일 → 으레 있는 일
응당 해야 할 → 마땅히 해야 할
응당 있어야 할 → 마땅히 있어야 할
‘응당(應當)’은 “1. 행동이나 대상 따위가 일정한 조건이나 가치에 꼭 알맞게 2. 그렇게 하거나 되는 것이 이치로 보아 옳게. ‘마땅히’로 순화.”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첫째 뜻으로는 거의 안 쓰고 둘째 뜻으로만 쓰는데, 둘째 뜻은 ‘마땅히’로 고쳐써야 한다고 해요. 첫째 뜻으로 쓸 일이 있더라도 ‘알맞게’로 손질하면 될 테고요. 이밖에 ‘흔히’나 ‘으레’나 ‘아무래도’나 ‘꼭’이나 ‘곧잘’로 손볼 수 있습니다. 2017.1.29.해.ㅅㄴㄹ
응당 이렇게 될 것이라고 각오는 하고 있었다
→ 마땅히 이렇게 되리라고 다짐은 했다
→ 으레 이렇게 되리라고 생각은 했다
→ 아무래도 이렇게 되리라고 생각은 했다
《이임하-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철수와영희,2015) 271쪽
응당 그래야 하는 것처럼
→ 마땅히 그래야 하는듯
→ 꼭 그래야 하는듯
→ 반드시 그래야 하는듯
《오스카 와일드/박명숙 옮김-오스카리아나》(민음사,2016) 450쪽
전에는 배낭 메고 들어와 응당 하루 자고 나가던 여행객들도
→ 예전에는 배낭 메고 들어와 으레 하루 자고 나가던 손님들도
→ 지난날에는 배낭 메고 들어와 곧잘 하루 자고 나가던 손님들도
《박미경-섬》(봄날의책,2016) 61쪽
(숲노래/최종구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