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놀공식계정
  1. 우리말 살려쓰기

이미지


 알량한 말 바로잡기

 파종 播種


 밭에 파종을 해 → 밭에 씨를 뿌려

 보리를 파종하다 → 보리 씨를 뿌리다

 파종시기 → 씨뿌림철 / 씨 뿌리는 때

 씨앗 파종 → 씨뿌리기


  ‘파종(播種)’은 “[농업] 곡식이나 채소 따위를 키우기 위하여 논밭에 씨를 뿌림. ‘씨뿌리기’, ‘씨 뿌림’으로 순화”로 풀이하고, 한국말사전에 “≒ 부종(付種)·씨뿌리기·종파(種播)”처럼 비슷한말을 싣습니다. ‘씨뿌리기’도 한국말사전에 나옵니다만 “= 파종”으로 풀이합니다. ‘부종·종파’도 “= 파종”으로 풀이하지요. 한국에서 쓸 낱말은 ‘씨뿌리기’일 테고, 농업말도 ‘씨뿌리기’일 테지요. ‘부종·종파’는 쓸데없이 실린 한자말입니다. 이밖에 ‘파종(破腫)’을 “[한의학] 종기를 터뜨림”으로 풀이하며 싣는데, 종기를 터뜨리는 일을 굳이 한자말로 나타내어 한국말사전에 실어야 할는지 아리송합니다. 2017.4.20.나무.ㅅㄴㄹ



지난해 가을 파종한 호밀밭이었다

→ 지난해 가을 씨를 뿌린 호밀밭이었다

《셀마 라게를뢰프/배인섭 옮김-닐스의 신기한 여행 1》(오즈북스,2006) 39쪽


씨앗을 파종하고 첫 번째 싹이 흙을 뚫고 뾰족이 올라왔을 때의 그 감격이란

→ 씨앗을 뿌리고 첫 싹이 흙을 뚫고 뾰족이 올라올 때 그 기쁨이란

→ 씨앗을 심고 첫 싹이 흙을 뚫고 뾰족이 올라올 때 그 보람이란

《박효신-바람이 흙이 가르쳐 주네》(여성신문사,2007) 25쪽


소나무의 종자는 파종한 뒤 2∼4주 지나면 싹을 틔운다

→ 소나무 씨앗은 땅에 떨어진 지 두 주나 넉 주이면 싹을 틔운다

→ 솔씨는 땅에 떨어진 지 두 주에서 넉 주 사이에 싹을 틔운다

《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소나무 인문 사전》(휴먼앤북스,2016) 16쪽


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거둬들이는 보리

→ 가을에 씨를 뿌려 봄에 거둬들이는 보리

→ 가을에 뿌려 봄에 거둬들이는 보리

《한성우-우리 음식의 언어》(어크로스,2016) 72쪽


풀 위에 씨앗을 흩어뿌린 뒤, 지상부의 풀을 베는 것만으로 파종을 마친다

→ 풀밭에 씨앗을 흩어뿌린 뒤, 풀을 베기만 하면서 씨뿌리기를 마친다

《아라이 요시미·가가미야마 에츠코/최성현 옮김-가와구치 요시카즈의 자연농 교실》(정신세계사,2017) 2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파란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8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8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9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9시간 전
  3. 작성일
    9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9시간 전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29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114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7.1
    좋아요
    댓글
    207
    작성일
    2025.7.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