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놀공식계정
  1. 우리말 살려쓰기

이미지

음표 한자말 304 : 고언苦言



고언(苦言) : 듣기에는 거슬리나 도움이 되는 말 ≒ 고어(苦語)·쓴소리

고어(苦語) : = 고언(苦言)

쓴소리 : = 고언(苦言)


고언苦言을 들려주었다

→ 쓴소리를 들려주었다

→ 쓴말을 들려주었다

→ 따끔한 말을 들려주었다

→ 가르침말을 들려주었다



  ‘고언’이라는 한자말을 한국말사전에서 찾아보면 ‘고어’하고 ‘쓴소리’라는 비슷한말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고어·쓴소리’를 다시 찾아보면 두 낱말은 “= 고언”으로 풀이해요. 이 대목을 가만히 돌아봅니다. ‘고언’이라고만 적으면 못 알아볼 수 있으니, 보기글은 묶음표를 치고 한자를 넣어요. 보기글을 쓴 분이 ‘쓴소리’라는 한국말을 쓴다고 할 적에는 어떠할까요? 이때에도 묶음표를 치고서 ‘苦言’을 넣어야 할까요? 아마 이럴 일은 없을 테지요. 처음부터 ‘쓴소리’라 적으면 누구나 손쉽게 알아듣습니다. 비슷하게 ‘쓴말’이라 해 볼 수 있어요. 수수하게 ‘가르침·가르침말’이라 해도 되고, ‘따끔말·따끔한 말’이라 해도 잘 어울립니다. 한국말사전은 ‘쓴소리 = 고언’으로 풀이하는데, 이는 올바르지 않아 보여요. ‘고언 → 쓴소리’처럼 다루어야 비로소 한국말사전다우리라 봅니다. 2017.6.2.쇠.ㅅㄴㄹ



동시대를 사는 많은 이들에게 고언苦言을 들려주었다

→ 같은 시대를 사는 많은 이들한테 쓴소리를 들려주었다

→ 같은 시대를 사는 많은 이들한테 가르침을 들려주었다

《이기주-언어의 온도》(말글터,2016) 152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파란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6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6시간 전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6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6시간 전
  3. 작성일
    7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7시간 전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6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8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