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살려쓰기

파란놀공식계정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8.11.26
알량한 말 바로잡기
의문 疑問
의문이 생기다 → 궁금하다 / 아리송하다 / 알쏭하다
의문을 품다 → 궁금해 하다
의문을 제기하다 → 궁금하다고 묻다 / 알쏭하다고 묻다
의문이 풀리다 → 궁금함이 풀리다 / 수수께끼가 풀리다 / 실마리가 풀리다
숱한 의문에 부딪치다 → 숱한 곳이 궁금하다 / 숱한 곳이 아리송하다
의문에 붙이고 문제를 계속 연구하다 → 궁금하다 여기고 그 일을 내처 파헤치다
‘의문(疑問)’은 “의심스럽게 생각함”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의심스럽다(疑心-)’는 “확실히 알 수 없어서 믿지 못할 만한 데가 있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믿지 못하다”로 풀어낼 만하지만, ‘궁금하다·아리송하다·알쏭하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수수께끼·실마리’로 손질해 줍니다. ㅅㄴㄹ
그 숱한 의문 중에 가장 풀리지 않는 안타까운 것은, 그들이 정말 남성으로서 여성을 갈망하거나 사랑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 그 숱한 수수께끼 가운데, 그들이 참말 사내로서 가시내를 바라거나 사랑하는 길을 아는지가 가장 풀리지 않아 안타깝다
《톨스토이처럼 죽고 싶다》(김별아, 이룸, 2001) 85쪽
앞의 예에서 나는 왜 부모들이 아이의 욕구에 간섭하려고 하는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 앞에서 나는 왜 어버이가 아이가 무엇을 바랄 적에 끼어들려 하는지 궁금해했겼다
《소비에 중독된 아이들》(안드레아 브라운/배인섭 옮김, 미래의창, 2002) 63쪽
제게 새로운 의문이 조금씩 자라났습니다
→ 저는 궁금한 일이 조금씩 생겼습니다
→ 저는 아리송한 대목이 조금씩 생겼습니다
→ 저는 수수께끼가 조금씩 생겼습니다
《숨통이 트인다》(황윤과 열 사람, 포도밭, 2015) 62쪽
하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 그렇지만 아직 궁금함은 남는다
→ 그러나 아직 궁금하다
→ 그러나 아직 아리송하다
《0 이하의 날들》(김사과, 창비, 2016) 222쪽
조금 의문이 들어
→ 조금 아니라고 봐
→ 조금 갸웃거려
→ 조금 아리송해
→ 조금 궁금해
→ 조금 수수께끼야
《쿠마미코 2》(요시모토 마스메/이병건 옮김, 노블엔진, 2016) 143쪽
요즘 갑자기 이런 소박한 의문에 사로잡혀 있다
→ 요즘 갑자기 이런 작은 생각에 사로잡혔다
→ 요즘 갑자기 이런 수수께끼에 사로잡혔다
→ 요즘 갑자기 이 작은 대목이 자꾸 궁금하다
《재일의 틈새에서》(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 7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