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놀공식계정
  1. 우리말 살려쓰기

이미지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400) 고로(故-)


 고향을 떠나게 되는 고로

→ 고향을 떠나게 되어서

→ 고향을 떠나기 때문에

 부엌에서 덜컹거리는 고로

→ 부엌에서 덜컹거리기에

→ 부엌에서 덜컹거리니

 그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그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여기 있다

→ 그는 생각한다. 그러니 여기 있다


  ‘고로(故-)’를 찾아보면 “1. 문어체에서, ‘까닭에’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 그러므로”처럼 풀이합니다. 글에서만 쓰는 ‘故로’라고 하니, 입으로는 쓰지 않는 낱말이라는 뜻이고, 입으로는 안 쓰는 낱말이란 한국말이 아니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예부터 ‘글말’은 한문을 빌어서 쓰던 글이었으니까요.

  그런데 이 ‘고로’는 “고로 존재한다” 같은 꼴로 자꾸 쓰입니다. 한국말로 ‘그러므로’나 ‘그래서’나 ‘그러니’나 ‘이리하여’를 써야 올바르지만, 이 대목을 놓치거나 못 살피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4348.9.13.해.ㅅㄴㄹ



고로, 우리는 어떠한 인간이라도 무시하거나 천시하거나 멸시해서는 안 된다

→ 그러니까, 우리는 어떠한 사람이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 그러므로, 우리는 어떠한 사람이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 그래서, 우리는 어떠한 사람이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이리하여, 우리는 어떠한 사람이라도 깔보거나 낮보거나 업신여겨서는 안 된다

《채규철-사명을 다하기까지는 죽지 않는다》(한터,1990) 88쪽


그런 고로

→ 그러하기에 

→ 그래서

→ 그리하여

→ 그런 까닭에

→ 그러하기 때문에

《김정환-고유명사들의 공동체》(삼인,2004) 181쪽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데카르트는 말했다

→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여기 있다.”고 데카르트는 말했다

→ “나는 생각한다. 그러니 여기 산다.”고 데카르트는 말했다

《막스 피카르트/배수아 옮김-인간과 말》(봄날의책,2013) 34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파란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17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17시간 전
  2.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5.5.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92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75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2
    좋아요
    댓글
    121
    작성일
    2025.5.2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