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살려쓰기

파란놀공식계정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6.4.27
알량한 말 바로잡기
승리 勝利
승리를 거두다 → 이기다
승리를 얻다 → 이기다
우리 팀의 승리로 끝났다 → 우리 팀이 이기며 끝났다
전투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 → 전투를 이기려고
싸움에서 승리하다 → 싸움에서 이기다
우리가 승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우리가 이기리라 본다
앞으로 네 게임을 승리해야만 → 앞으로 네 경기를 이겨야만
‘승리(勝利)’는 “겨루어서 이김”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기다’라는 낱말을 알맞게 쓰면 됩니다. ‘이기다’라고 하면 되니, “승리를 거두다”나 “승리를 얻다”라 하지 않아도 돼요. 2016.4.27.물.ㅅㄴㄹ
명랑하고 배부른 시를 쓰는 것이 승리가 될 수 없고
→ 밝고 배부른 시를 쓴다고 이길 수 없고
→ 밝고 배부른 시를 쓴다고 삶을 이겨낸다고 할 수 없고
《이오덕-아동시론》(굴렁쇠,2006) 215쪽
승리에 들떠 고함을 지르고 싶지도 않았다
→ 이긴 기쁨에 들떠 소리를 지르고 싶지도 않았다
→ 이겼다면서 소리를 지르고 싶지도 않았다
《제임스 램지 울만/김민석 옮김-시타델의 소년》(양철북,2009) 171쪽
일곱 개 넣으면 승리는 거의 확실하고
→ 일곱 개 넣으면 거의 이겼고
→ 일곱 개 넣으면 거의 이겼다고 할 만하고
《미타 노리후사/김완 옮김-꼴지, 동경대 가다! 19》(랜덤하우스코리아,2010) 155쪽
불을 켜고 전쟁에서 승리했다는 휘파람 소리를 기다린다
→ 불을 켜고 전쟁에서 이겼다는 휘파람 소리를 기다린다
《조반니노 과레스키/윤소영 옮김-비밀일기》(막내집게,2010) 57쪽
일본의 지배자들과 한목소리로 ‘성전승리’를 위한 전장에서 피를 흘리는 것이야말로
→ 일본 지배자들과 한목소리로 ‘거룩한 싸움을 이기자’는 싸움터에서 피를 흘리는 것이야말로
《백종원-조선 사람, 재일조선인 1세가 겪은 20세기》(삼천리,2012) 181쪽
우리가 승리한 거예요
→ 우리가 이겼어요
→ 우리가 해냈어요
《반다나 시바·마리나 모르푸르고/김현주 옮김-씨앗이 있어야 우리가 살아요》(책속물고기,2016) 60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