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살려쓰기

파란놀공식계정
- 공개여부
- 작성일
- 2016.7.31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제기 提起
반론 제기 → 반론 내놓음 / 반론 하기
의혹 제기 → 의혹 내놓음 / 의혹 묻기
문제 제기 → 문제 내놓음 / 문제 묻기
의문을 제기하다 → 의문을 내놓다 / 의문스럽다고 하다
이의를 제기하다 → 다른 생각을 내놓다 / 다른 뜻을 밝히다
소송을 제기하다 → 소송을 하다 / 소송을 일으키다
‘제기(提起)’는 “1. 의견이나 문제를 내어 놓음 2. 소송을 일으킴”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내놓다(내어 놓다)’나 ‘일으키다’라는 낱말을 쓰면 돼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는 여러 가지 한자말 ‘제기’를 싣는데, 굳이 쓸 일이 없거나 알맞게 손질해야 하는 낱말이 많다고 느껴요. ‘제사그릇’ 같은 낱말을 새롭게 지을 만하리라 생각해요. 그릇을 지을 적에는 ‘그릇짓기’나 ‘그릇빚기’라 할 수 있어요. 글에 붙이는 이름은 ‘글이름’으로 쓰면 될 테고요. 2016.7.31.해.ㅅㄴㄹ
제기(帝畿) : 천자의 도읍이 있는 지방
제기(除棄) : 제쳐 놓음. 또는 빼어 버림
제기(祭器) : 제사에 쓰는 그릇
제기(製器) : 기구나 그릇 따위를 만듦
제기(題記) : 공문(公文), 작품, 신문, 잡지 따위의 기사 제목
이의를 제기한 것은 알쏭이였다
→ 다른 생각을 밝힌 사람은 알쏭이였다
→ 다른 뜻을 내놓은 사람은 알쏭이였다
《요네야마 마사노부/현종오 옮김-이온 인터뷰》(아카데미서적,1997) 54쪽
반론을 제기할 사람이 많겠지만
→ 반론을 펼 사람이 많겠지만
→ 그렇지 않다고 할 사람이 많겠지만
→ 그 말은 틀렸다고 할 사람이 많겠지만
→ 그 말은 아니라고 할 사람이 많겠지만
→ 고개를 가로저을 사람이 많겠지만
《김창엽과 열두 사람-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삼인,2002) 165쪽
탐폰에 함유된 다이옥신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탐폰에 깃든 다이옥신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 탐폰에 들어간 다이옥신이라는 말이 나온다
《꿈꾸는 지렁이들》(환경과생명,2003) 24쪽
의문을 제기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 묻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 궁금해 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 모르겠다고 말씀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법륜-붓다 나를 흔들다》(샨티,2005) 46쪽
토머스 모어는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한다
→ 토머스 모어는 끊임없이 물어보았다
→ 토머스 모어는 끊임없이 묻고 또 물었다
→ 토머스 모어는 끊임없이 궁금해 했다
《정여울-마음의 서재》(천년의상상,2015) 23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