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놀공식계정
  1. 우리말 살려쓰기

이미지


 알량한 말 바로잡기

 함구 緘口


 일체 함구하고 있다 → 그저 입을 다문다 / 모두 말을 않는다

 혀가 끊어진 듯 함구함으로써 → 혀가 끊어진 듯 말을 안 하면서

 함구하는 이유 → 입을 다문 까닭 / 말을 않는 까닭

 사람들의 함구 그 이면의 말을 캐내려고

→ 사람들이 입을 다문 그 뒷말을 캐내려고

→ 입을 다문 사람들 뒤를 캐내려고

→ 사람들이 말하지 않는 뒷말을 캐내려고

 어제 사건에 관하여 일체 함구하고 있다

→ 어제 일을 모두 입을 다문다

→ 어제 일을 놓고 모두 입을 닫는다

→ 어제 일과 얽혀 조금도 입을 벙긋하지 않는다


  ‘함구(緘口)’는 “입을 다문다는 뜻으로, 말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이라고 해요. 그러면 “입을 다물다”나 “말을 안 하다”로 손보면 되지요. 단출하게 ‘다물다’라고만 해도 되고요. “입을 닫다”나 “말을 않다”나 ‘숨기다’나 ‘감추다’나 ‘틀어막다’로 손볼 수도 있어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는 ‘함구(含垢) ’를 “욕된 일을 참고 견딤”으로 풀이하며 싣지만, 이 한자말은 쓸 일이 없으니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2016.11.26.흙.ㅅㄴㄹ



어떤 경로를 통해 아이가 우리에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함구하기로 했다

→ 어떻게 아이가 우리한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입을 다물기로 했다

→ 어떻게 아이가 우리한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숨기기로 했다

→ 어떤 길로 아이가 우리한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감추기로 했다

→ 어떤 길로 아이가 우리한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말을 않기로 했다

→ 어떻게 아이가 우리한테 왔는지 우리는 끝까지 말을 안 하기로 했다

《카롤린 필립스/유혜자 옮김-황허에 떨어진 꽃잎》(뜨인돌,2008) 77쪽


나 자신의 내면의 불평을 함구시키고 그 문제의 근원으로 접근하지 못했다네

→ 마음속에서 못마땅히 터지는 말을 막고 그 밑바탕으로 다가서지 못했다네

→ 내 마음속 투덜거림을 닫고 그 일이 생긴 바탕으로 가까이 가지 못했다네

《체 게바라-공부하는 혁명가》(오월의봄,2013) 42쪽


엄마는 젊은 시절에 어떻게 살았는지 끝까지 함구했지만

→ 엄마는 젊은 날에 어떻게 살았는지 끝까지 입을 다물었지만

→ 엄마는 젊은 날에 어떻게 살았는지 끝까지 입을 닫았지만

→ 엄마는 젊은 날에 어떻게 살았는지 끝까지 말을 안 했지만

《사샤 마틴/이은선 옮김-부엌은 내게 사랑하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북하우스,2016) 2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파란놀님의 최신글

  1. 작성일
    32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32분 전
  2. 작성일
    2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시간 전
  3. 작성일
    2시간 전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시간 전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5
    좋아요
    댓글
    230
    작성일
    2025.4.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4
    좋아요
    댓글
    240
    작성일
    2025.4.2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4.23
    좋아요
    댓글
    83
    작성일
    2025.4.2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