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푸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수리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
글쓴이
가와카미 미에코 외 1명
문학동네
평균
별점8.6 (39)
호푸

무라카미 하루키 인터뷰집.
모두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1장은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이후, 2, 3, 4장은 <기사단장 죽이기> 이후 이루어진 인터뷰 내용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와 그의 작품, 그리고 그가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터뷰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호흡과 인터뷰어의 인터뷰이에 대한 지식, 질문의 완성도, 집요함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에서 그런 것들을 만족하는 인터뷰어를 찾을 수 있었다. 질문을 하는 인터뷰어와 대답을 하는 인터뷰이 모두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은 책이다. 어쨌든 인터뷰를 통해서 이렇게 책 한권을 만들어 냈으니.

책 제목 <수링부엉이는 황혼에 날아오른다>를 봤을 때, 왜 이런 제목이지 했는데, 인터뷰 내용을 들여다보니 <기사단장 죽이기>에서 수리부엉이가 등장했던 것을 잊고 있었다. 책의 2장부터 4장까지가 <기사단장 죽이기>를 주로 다루고 있기에, <기사단장 죽이기>를 보면서 느꼈던 난해했던 것들에 대해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이데아'니 '메타포'니 이런 것들, 그리고 등장인물들에 대해서.

<기사단장 죽이기>를 보면서 이제는 조금 하루키의 소설이 쉽게 읽혀진다라고 썼더랬다. (http://blog.yes24.com/document/10317920) 그런데, 사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처음부터 그의 이야기들을 쉽게 쓰려 했던 것 같다.

(무라카미) 네. 일단 눈앞의 사람에게 말을 거는 거죠. 그러니 늘하는 말이지만, 뭐가 됐든 알기 쉬운 말, 읽기 쉬운 말로 소설을 쓰려 해요. 최대한 쉬운 말로 최대한 어려운 이야기를 하자, 마른오징어처럼 몇 번이고 곱씹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려 하죠. 한 번에 '흠, 이런 거군'하고 씹어삼키는 게 아니라 몇 번이고 곱씹고, 씹을수록 맛이 조금씩 달라지는 이야기를 쓰고 싶습니다. 그러면서도 그것을 떠받치는 문장은 어디까지나 읽기 쉽고 순수한 것을 사용하고 싶어요. 그게 제 소설 스타일의 기본입니다. (p.105)

그의 책을 읽는 독자인 '내'가 그의 단어, 문장의 사용을 어렵게 받아들였기에, 더 어렵게 느꼈던 것은 아니었을까?란 생각을 해본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이야기를 쓸 때, 정확한 구조, 결말 등을 잡아놓지 않고 쓴단다. 예전에 학교에서 배울 때는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를 잡고 그 틀에 맞추어 글을 쓰게 했는데, 하루키는 제목이 나오면(이것도 그냥 갑자기 생각나서) 그 제목에 맞게 의식의 흐름을 따라 글을 쓴다고 한다. 쓰여진다고 해야할까? 긴 시간에 걸쳐, 글이 이끄는 방향으로. 빨간 책방에서 김중혁 작가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던 것 같기도 하다. 어쩌면 맞는 말 같기도. 틀에 박힌 결말이나 전개를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같기도 하고. 작가는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닌가보다. :)

<기사단장 죽이기>에 등장한 단어 '이데아'와 '메타포'에 대한 작가의 설명.

(무라카미) ... 이 책에서 제가 말하는 '이데아'는 이른바 사전적 의미의 이데아와는 상당히 다릅니다. 이데아라는 단어를 던져올리면 공중에서 여러 가지가 철썩철썩 달라붙는데, 뭐가 얼마나 달라붙는지는 던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거든요. 그리고 제가 쓴 이데아는 많은 것이 더 쉽게 달라붙는, 보다 관용적이고 제너러스한 의미의 이데아라고 보면 됩니다.
즉 사전에서 '이데아 관념'이 이러저러하다고 설명하는 뜻과 다르게, 확실히 관념적이기는 해도 가동 범위가 대단히 넓어요. 만약 이데아 대신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썼다면 그런 가동 범위의 의미가 감쇠해버리겠죠. 그러니까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기성의 단어, 좀더 말하자면 제법 손때가 묻은 이데아라는 단어를 도구로 쓰고 싶었어요. 그러는 편이 오히려 자유로워질 것 같았죠.
'메타포'도 마찬가지입니다. 본래의 '은유'라는 의미만이 아니라 더 넓은 범위의, 자력을 지닌 무언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런 흡입력을 지닌 무언가, 그러니 제가 이 단어를 떠올릴 때도 큰 거부감이 없었어요. 기사단장과 '긴 얼굴'은 각각 "나는 이데아야" "저는 메타포입니다"라고 말하는데, 그렇게 자진신고한 신분은 통상적인 의미의 이데아와 메타포와는 상당히 다른 것일테죠. (pp.331-332)


인터뷰에서는 <해변의 카프카>에서 나왔던 '메타포'와는 또 다른 의미의 '메타포'란 이야기도 한다. 기존의 단어에 집착하지 않고, 이야기 안에서의 의미를 찾아 읽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을 계속 찾는 것은 그런 수고로움보다 더한 것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누구를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회사 생활에서도 마찬가지고. 하루키는 평가, 평론에 대해서 그다지 신경을 쓰는 것 같지 않다. 본인 자신도 평론을 하지 않기도 하지만. 하루키는 평가, 평론보다는 그냥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런 방법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단다.
"싸우자" 이런 방법이 필요할 때도 있겠지만, 사실 그런 것보다는 서로 웃으면서 기분 상하지 않게 이야기하는 편이 어디에서나 필요하기에 다음의 하루키의 이야기는 새겨둘만 하다.

(----) 그렇다면 호오를 떠나, 너무 평가가 낮은 것을 언급하는 글은 필요하다고 생각하세요?
(무라카미) 필요하죠, 물론. 그러나 그럴 때는 일종의 유머감각이 필요합니다. 너그러움이랄까, 능란하게 한마디 슥 찌르고 지나갈만한 여유가 있어야 해요. 어깨를 쿵 부딪치면 안 됩니다. (p.342)


<샐러드를 좋아하는 사자>에 나오는 "졸리지 않는 밤은 내게 샐러드를 좋아하는 사자 만큼이나 드물다."와 비슷한 문구.

챈들러가 쓴 비유 중에 "내가 잠 못 이루는 밤은 뚱뚱한 우편배달부만큼 드물다"라는 게 있어요. (p.227)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들을 읽고 이 책을 읽으면 더 좋았겠지만, <기사단장 죽이기>만 읽고 읽어도 괜찮은 책이다. 아직 읽지못한 하루키의 책이 조금은 쉽게 읽혀지길 바라면서,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해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만들어주는 책이다.

좋아요
댓글
1
작성일
2023.04.26

댓글 1

  1. 대표사진

    산바람

    작성일
    2018. 10. 15.

호푸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1.3.28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1.3.2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1.3.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1.3.23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1.3.2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1.3.21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6.25
    좋아요
    댓글
    103
    작성일
    2025.6.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6.26
    좋아요
    댓글
    122
    작성일
    2025.6.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6.26
    좋아요
    댓글
    136
    작성일
    2025.6.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