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페르소나
- 작성일
- 2024.1.21
조선의 가수, 홍도가 온다
- 글쓴이
- 김문주 글/강영지 그림
키다리
조선의 가수, 홍도가 온다
아르코 문학창작기금 선정작
글 김문주
경남신문 신춘문예 단편소설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많은 공모전에서 수상하였다. 조선의 가수, 홍도가 온다는 아르코 문학창작기금 사업에 선정되었다. 지은책도 똥 치우는 아이, 봉구뽕구 봉규야, 학폭위 열리는 날, 부여의자 등 다양한 도서를 지었다.
그림 강영지
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을 공부했고,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잇다.
지은 책으로 단골 손님 관찰기가 있고, 그린 책으로 한양 1770, 생색요리, 책장 속 티타임, 알아간다는 것 등 다양하게 있다.
기생 홍도의 이야기로 쉽게 시작했는데, 내용이 참 몰입력이 있다. 홍도가 기생이 되는 과정, 홍도의 노래에 대한 삶, 홍도의 인연들. 그리고 일제강점기 시대에 살아가는 조선인의로서의 생활등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다.
역사적 사실과 홍도의 이야기들이 엮여서 흥미진진하고 감동이 있다. 편안하게 시작해서 읽었는 데, 생각 외의 감동과 몰입력이 있어서 참 좋은 도서라는 생각이 들었다.
차례를 보면
기생이 될 거야, 조선의 예술을 하는 사람, 예술과 의리, 이상한 손님, 흰옷 입은 여인들, 향화에게, 홍도의 선택, 부를 수 없는 노래, 조선의 가수, 홍도가 온다 등
홍도와 조선, 그리고 일제시대에 힘들었던 백성들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조선을 지키기 위해 가장 낮은 신분부터 양반의 자제들도 희생했다는 점. 모두 조선의 사람으로 조선을 지키려는 점이 인상 깊었다. 조선말과 조선노래 조선의 문화를 지키기에 시대는 고달팠고 억압적이였으며, 피의 희생이 많았다.
낮은 자리에서도 기생이라는 신분에서도 조선을 지키기위해 노력하는 점이 인상깊었다.
조선 예술을 하는 사람은 조선에 대한 의리를 지켜야 해.
일본 노래를 부른 것은 의를 저버리는 짓이야.
조선은 조선인을 보호하지 못했지만, 조선인은 조선이라는 나라를 지키려고 애쓰는 모습이 애달팠고, 속상했고 슬펐다. 하지만 결국 조선인으로 조선을 지키려는 모습. 나라에 대해 의리를 지키는 기생들과 사람들의 모습이 아이들과 함께 보기 좋은 도서이다.
꿈꾸는 문학시리즈 들이 다양하게 있는데, 다른 책들도 읽어보고 싶고, 아이들과 같이 읽어보고 싶다.
* 본 후기는 도서를 무상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태그#조선의가수홍도가온다#김문주#강영지#아르코문학창작기금선정작#책키#책으로키우는우리아이#키다리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