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개
  1. 책속에서 허우적

이미지

도서명 표기
데뷔의 순간
글쓴이
주성철 저
푸른숲
평균
별점8.1 (18)
소지개



 


 


 


내가 아이들에게 가장 많이 했던 잔소리중에 하나는 "제발 시간을 죽이지 마라" 였다. 꿈이 구체적인 꿈이 없다는 것도 심각한 문제인데


자신들의 미래에 있어 가장 소중한 이 청소년기를 그 소중한 시기를 시간을 죽이는 것만 같은, 내 기준에서 바라보았던, 내 기준에서


판단했던 내 아이들의 삶 속에서 죽이는 시간들에 대해 나는 그렇게 모질게 짖어댔었다. 그러한 나를 되돌아보게 되고, 나의 그 언어들에


있어서 아주 아주 심한 부끄러움을 느끼게 되었던 이 책 속의 문장이 있었으니, 그건 바로 임순례 감독의 청춘 분투기의 모습이다.


'나도 될 수 있을까?', '내가 할 수 있을까?'에 대한 물음표에 자기 스스로 그 해답을 찾아가는 여정에서 거듭되는 실패에도 부구하고 버텨낸 이유에 대해 그녀는 그렇게 대답했다.


 


 


 




 


 


아주 신선한 충격이었다. 결코 '버리는 시간'이란 없다고 확신하듯 말할 수 있다는 것은 임순례 감독의 삶 속에서 버리는 시간이 없었다는 것에 대한 분명한 대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확신이 있기때문에 그러한 '결코'라는 수식어를 담을 수 있기때문이라고 생각했기때문이다.


 


도대체 우리네들의 어린시절에도 꿈이 있었던가 돌이켜본다. 우리들이 꿈이 있어서 이렇게 열심히 살아가고, 치열하게 삶 속에서 고민하고 달렸던가? 돌이켜 생각해보건데, 꿈이란 것은 정말이지 사치였다. 정말이지 그저 살기에 바빴던, 다른 사람들처럼만이라도, 조금 더 나은 사람들의 회사원의 모습이라도 살아가는 것이 그게 삶의 목표였고, 공부를 하는 이유였었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무언가를 했을 때,


행복했던 순간이 어느 때 였었는지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그렇게 치열하게 살아냈던 우리들의 지나간 시간들 속에서 꿈은 무의미였다.


그렇다고 우리들의 삶이 훌륭했다는 건 아니다. 참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것을 위해서가 아닌, 그저 살아내야 할 그런 삶의 모습을 향해 그렇게 살아갔었지만, 그 삶들 속에서 우리와 같은 생각을 넘어 자신들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내고 그 꿈을 향해 살아갔던 영화감독 열일곱명이 들려주는 그들의 청춘 분투기를 보고 우리 아이들도 꿈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기를 욕심부려본다. 굳이 꿈이 구체적이지 않아도 좋다. 그렇다고 꿈에 대해 심각하게 부담감으로 인식하고 있는 친구가 있더라도 그저 가볍게 우리네 이모, 삼촌의 또래가


어떻게 꿈에 가까이 다가갔는지를 담담하게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줄 수만 있어도 그것으로 족하다.


 


 


 


2014.12.21.소지개.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7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52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