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것저것 글모음

니키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8.1.15
저희 만년필샵 오픈한거 아시죠? 그래서 이번엔 만년필과 고급펜에 대한 사용 Tip 올려봅니다. 새로운 분야가 늘어날때마다 공부해야 합니다.
MD=공부하는 직업.
그래서 재밌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답니다.^^
자료제공: GIFT 만년필샵 공급사 보헴
| ||||||||||||||||||||||
| ||||||||||||||||||||||
![]() | ||||||||||||||||||||||
< 만년필 사용 관련 Tip >
|
1. 수성, 유성 잉크가 옷에 오염되었을 때 세탁 방법은?
일단 수성, 유성 잉크에 오염된 옷은 일반 세탁을 금하고 가능한 빨리 오염된 부분을 보센젠 알콜에 5분간 담가둔 후 가볍게 비벼서 세탁을 해줍니다. 단, 견직(실크), 모직(울) 등의 섬유에는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옷감 안쪽을 확인한 후에 세탁을 해야 되며, 세탁시 비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만년필을 오래 사용하려면 어떻게 관리합니까?
첫째, 만년필을 잘 사용하려면, 각 브랜드 펜용으로 특별히 고안된 잉크와 카트리지만을 사용하십시오. 둘째,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 펜 부품에 손상을 줄 수가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셋째, 만년필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잉크를 뺀 다음 세척해서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다른 회사 잉크를 사용하면 막히거나 잘 나오지 않습니까?
대부분 잘 나옵니다. 다만 특수잉크(제도용 잉크) 또는 저가용 잉크를 사용하시면 잉크의 질이 나쁘고 불순물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펜촉이 막히기 쉽기 때문에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4.컨버터도 A/S가 가능합니까?
컨버터는 자체적으로 압축된 상태로서 분리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리는 불가능합니다. 컨버터를 새것으로 구입하신 뒤 교환하시면 됩니다.
5.펜촉을 다른 굵기에(가늘거나 굵은) 촉으로 교체가 가능한가요?
만년필 촉의 굵기는 취급되는 규격으로만 조정이 가능합니다. 촉의 굵기는 다음과 같은 규격이 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 마다 촉의 특성이 달라 같은 F촉이라 하더라도 브랜드마다 그 굵기에 있어서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촉에 따른 굵기입니다.
▶EF(Extra Fine)는 0.6mm~0.7mm
▶F(Fine)는 0.7mm~0.8mm
▶M(Medium)는 0.8mm~0.9mm
6.펜촉이 쓸수록 자꾸 거칠어지고 종이에 스크래치가 발생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펜촉을 보관하시는 데 있어 관리가 소흘해졌거나 부주의로 떨어뜨리셨다면 일단 펜촉에 가장 큰 무리가 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촉이 거칠어 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촉을 만드는 데 있어 마지막 과정으로 촉끝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이디륨이란 물질로 입히게 되는 데 그 물질이 오랜시간동안 펜을 쓰면서 닳아버린 경우입니다. 두번째, 어떠한 외부의 충격으로 펜촉이 어긋나 버린 경우입니다. 세번째, 펜촉을 쓰는 방법이 올바르지 않아 촉이 상해버린 경우입니다. (펜촉은 12시 정방향으로 놓고 45도 각도로 펜을 잡고 쓰시는 것이 원칙입니다.) 촉은 섬세한 부분임으로 절대 손으로 만지시거나 연장등을 이용해 건들지 마시고 펜을 그대로 가까운 매장이나 해당 브랜드 A/S실, 또는 저희쪽으로 보내주시면 A/S 처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7.펜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 시키려면 어떻게 해아 하나요?
펜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유의하고, 강한 충격이나 날카로운 물질로부터 펜을 보호합니다. 그리고 용제가 든 세척 상품의 사용을 금합니다. (특히 락카칠이 된 부분) 클립은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민감하여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무리를 주어 다루지 않도록 유의하십시오.
< 볼펜,롤러펜,샤프 사용 관련 Tip >
1. 볼펜은 안에 들어가는 심이 똑같은 것 같은데 왜 제품마다 가격차이가 조금씩 나나요?
볼펜의 경우는 같은 브랜드의 경우 대부분 같은 볼펜심이 들어갑니다. 그러나 바디의 소재가 어떤 것인가에 따라 손에 닿는 밀착감이 다를 수 있고, 펜의 자체 바디가 가지고 있는 무게에 따라 느낌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필기감에 있어서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아크릴 소재의 바디, 스탠소재의 바디, 황동 소재의 바디, 이렇게 세 가지의 경우를 예를 들면 후자로 갈수록 무게감이 생김으로 펜을 쥐었을 때의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필기감이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또한 후자로 갈수록 내구성이 강해져 부주의로 펜을 떨어드렸을 경우의 손상여부가 적게 됩니다. 또한 펜의 바디가 섬세한 세공을 요하는 디자인인 경우, 한정품일 경우에도 제품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가격이 높습니다.
2. 0.5mm 샤프를 0.7mm샤프로 바꾸고 싶습니다. 심 두께 사이즈 교환이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사항이 만족되면 가능합니다. 첫째, 펜 안의 샤프 메커니즘이 분리가 되서 교환할 수 있는 것인가? 둘째, 어떤 mm수를 넣어도 바디 안에 들어갈 수 있는가? 세번째, 브랜드 자체내에서 심의 두께에 따라 샤프의 메커니즘을 보유하고 있는가? 몽블랑의 경우는 실제로 교환이 가능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가까운 A/S실로 찾아가셔서 샤프 안의 메커니즘 가격을 부품가격으로 내시면 됩니다.
3. 롤러펜을 볼펜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안의 심만 바꾸면 되지 않을까요?
브랜드에 따라서 몇 몇 제품라인은 롤러심과 볼펜심을 호환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롤러심과 볼펜심의 사이즈와 길이가 달라서 불가능합니다. 워터맨의 경우는 캡이 있는 볼펜이나 수성펜만이 볼펜심과 롤러심의 호환이 가능합니다. 파카의 경우는 젤심(수성과 유성 사이, 중성심)과 볼펜심의 사이즈가 같아 서로 호환이 되나 수성심과는 사이즈와 두께가 다르므로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크로스의 경우는 롤러펜에 들어가는 볼펜심을 따로 제작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롤러심이 볼펜심 사이즈와 맞아 볼펜에 넣었다 하더라도 공기중에 오래두면 롤러심의 특성상 마르기 때문에 (볼펜은 일반적으로 캡이 없으므로) 오래쓰실 수가 없게 됩니다.
4. 샤프심이 안 나와요. 해결방법을 알려주세요?
만약 0.5mm샤프에 0.7mm를 넣었다면? 간단한 답변처럼 들릴 지 모르나 사실 이런 기본적인 문제로 고장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제품에 샤프심을 넣기전에 먼저 샤프심경을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음으로 심이 전혀 나오지 않는 또 다른 경우는 부서진 심의 찌꺼기가 금속부나 Jack(Jaws)부분을 막고 있을 때입니다. 이 경우에는 선단의 금속부분(선축)을 빼어 찌꺼기를 제거합니다. 금속부분은 돌려서 빼고 부속되어 있는 클리너 핀(지우개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음)으로 금속부와 Jack 부분의 찌꺼기를 깨끗이 닦으면 됩니다. 이 경우 주의해야 할 점은 심의 굵기 보다 굵은 침을 사용하지 말 것과 선축 내에 있는 정지고무를 실수로 제거하거나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해야합니다. 굵은 침을 무리하게 쓰거나 정지고무를 제거하면 심을 밀어내는 조작을 할 대 심이 그냥 빠져버리거나 규칙적으로 심이 나오지 않는 현상이 생깁니다. 이 밖에 Jack의 열림이 좋지 않을 때, 떨어뜨리거나 해서 가이드 파이프가 변형되거나 휘어서 심을 밀어내는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등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리를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리필/악세서리류 사용 관련 Tip >
1. 쓰고 있는 펜 브랜드와 병잉크가 같아야 하나요?
그렇지 만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쓰시는 펜의 브랜드가 몽블랑이여도 병잉크가 듀퐁이 마음에 드시면 그렇게 쓰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러나 각 브랜드마다 펜과 그에 해당하는 리필제품을 맞춰씀으로써 다음에 잉크를 다시 채워넣었을 떄의 칼러가 번잡스럽게 섞이거나 질이 나빠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각 브랜드마다 잉크를 만드는 방식이 다름으로 그 병잉크 입자크기의 차이, 묽기의 차이, 칼러 선명도의 차이, 향의 차이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브랜드의 잉크를 꾸준히 쓰신 후에는 반드시 완전 세척하고 다른 것을 시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병잉크를 고르실 때에는 반드시 만년필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브랜드의 제품을 쓰시는 것이 좋으며 저가용 제도잉크는 질이 떨어지고 찌꺼기가 많아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잉크값을 아끼려는 의도가 자칫 펜을 망가뜨리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카트리지와 컨버터 뜻과 차이점을 알려주세요.
만년필은 쉽게 몸체 안에 잉크를 채워 미세한 촉끝으로 나오게 하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체 안에 잉크를 채우는 방식에는 크게 카트리지 방식과 컨버터 방식이 있습니다. 카트리지는 일회성으로 다 쓰면 버리는 것으로 리필 구매시 한 통에 브랜드 마다 다르지만 대개 5개에서 8개정도 들어있습니다. 카트리지는 일단 펜을 촉과 본체로 불리시킨 상태에서 촉쪽으로 카트리지를 넣고 꾹 누르신 후 배럴를 닫습니다. 촉부분에 있는 뾰족한 것이 카트리지 입구를 떠트려 잉크가 나오게 되면 촉으로 잉크가 자연스럽게 젖으면서 촉 끝으로 잉크가 나오게 됩니다.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보통 기준으로 사용한다고 했을 시 카트리지 한 개당 1주에서 2주 정도 갑니다.
컨버터는 나사형식 컨버터와 피스톤식 컨버터가 있습니다. 컨버터는 병잉크에 있는 잉크를 끌어올리는 일종의 기구임으로 반영구적으로 쓰실 수 있는 부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나사형 컨버터는 트위스트식 컨버터라고도 불리우며 나사처럼 한 방향으로 돌려주면서 잉크를 흡입하는 방식이고 피스톤식 컨버터는 주사기처럼 생긴 것으로써 병잉크에 넣고 레버를 당겨서 잉크를 흡입하는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브랜드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채적으로 처음 제품 구매시 컨버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몽블랑이나 팰리칸의 경우는 컨버터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별도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3. 멀티펜용심과 일반심은 뭐가 다르죠?
멀티펜(PDA겸용 펜)은 한 개의 펜 안에 두 세 가지 기능이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상대적으로 펜 바디안에 많은 종류의 리필심이 들어가야 함으로 일반심에 비해 길이가 짧고 부피가 작은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심과의 호환은 불가능합니다.
4. 펜에 관련된 악세사리가 나오는 브랜드는 어떤 게 있나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펜 관련 악세사리는 몽블랑, 라미, 카렌다쉬, 크로스, 델타, 펠리칸 정도입니다. 다른 브랜드의 경우에는 셋트 상품화하여 펜과 같이 악세사리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 자체적으로 만드는 것이 있으나 수입이 어려운 경우, 브랜드 자체내에서 만들지 않는 경우, 국내에 재고가 없는 경우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5. 볼펜심이나 수성심 리필에 써있는 F,M,B 는 무슨 뜻인가요?
볼펜심이나 수성심 아래나 옆을 보면 제품 브랜드 로고나 이름이 있고 F,M,B이라고 써져 있는 걸 많이 보실겁니다. 이것은 심의 굵기를 얘기합니다. 각각의 굵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F(0.5mm~0.6mm)
▶M(0.7mm~0.8mm)
▶B(0.8mm~0.9mm)
브랜드 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략적인 기준은 이렇습니다. 리필을 주문할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