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은 3차원 디지털 영상으로 이 발자국의 윤곽과 깊이를 살펴본 결과 “높은 발등, 둥근 뒤꿈치, 다른 발가락과 나란히 나 있는 엄지발가락 등으로 미루어 현대인의 발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걸음걸이도 흡사하다. 걸을 때 뒤꿈치가 먼저 바닥에 닿고, 발등뼈가 그리는 아치 모양에 따라 체중이 이동한다는 점, 앞발로 밀고 나간다는 점 등이 유인원과 구별되는 차이다.
연구진은 170만년 전 출현한 호모 에렉투스가 늘어난 발 크기와 보폭으로 광활한 지역을 오래 걷고 뛰며 도구를 써 사냥에 나섰을 거라고 추측했다.
2005~2008년 진행된 발굴과정에서 퇴적층 위층에는 두 줄로 난 두 개의 발자국과 무더기로 찍힌 7개의 발자국이 발견됐다. 이는 168㎝ 키의 어른의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재와 모래가 섞인 아래층에는 한 줄로 난 발자국 두 개와 키 90㎝가량의 어린이의 것으로 보이는 작은 발자국 하나가 발견됐다. 두 층의 연대 차이는 1만년에 이른다.
지금껏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발자국은 1978년 탄자니아 라에톨리에서 발견된 370만년 전의 발자국이다. 그러나 이 발자국은 짧은 다리, 평평한 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긴 발가락 등의 특징을 지닌 인류의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흔적이다.
뉴욕 스토니 브룩대의 고인류학자 윌리엄 준거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발자국은 현대인과 비슷한 신체를 가진 호모 에렉투스가 중요한 신체구조 변화를 겪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했다고 뉴욕타임스가 전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