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윤이

재윤맘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8.10.19
1권부터 갖가지 과학 원리며 실험을 주제로 한 책 내용과 더불어 부록으로 들어있는 실험재료에 흠뻑 반한 딸아이가 꼭꼭 챙겨보는 책 가운데 하나로, 6권에서는 <환경의 대결>이란 주제로 펼쳐지는 내용에 걸맞은 '간이 정수기' 만들기 키트가 들어있었다.
![]() |
준비물- 숯, 모래, 자갈, 거즈, 고무줄과 물약 통이 부록으로 들어있고, 가위, 종이컵, 깨끗한 물과 흙탕물은 집에서 준비한다.
![]() |
먼저 가위로 빈 물약 통의 밑바닥을 잘라낸다.
![]() |
그 다음에는 빈 물약 통의 입구를 거즈로 감싸고 고무줄로 단단히 묶는다.
![]() |
입구를 아래로 한 빈 물약 통에 맨 먼저 숯을 반 정도 넣는다.
![]() |
숯을 넣은 다음에는 모래를 반 정도 넣는다.
![]() |
모래를 넣은 다음에는 자갈을 반 정도 넣는다.
![]() |
자갈을 넣은 다음에는 다시 남은 숯-모래-자갈을 차례로 넣으면 간이 정수기가 완성된다~
![]() |
흙탕물로 실험하기 전에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 간이 정수기 속의 먼지나 숯가루를 제거한다.
이때 간이 정수기의 밑에는 컵이나 종이컵을 받친다.
![]() |
![]() |
맑은 물을 흘려보냈는데도 조금은 탁한 물이 흘러나온다~
![]() |
간이 정수기에 흘려보낼 흙탕물에는 갖가지 불순물로 가득하다.
![]() |
조심조심 흙탕물이 넘치지 않게 간이 정수기에 흘려보낸다.
![]() |
흙탕물이 간이 정수기를 통과하여 컵으로 떨어진다~
![]() |
간이 정수기 속의 물이 컵 안으로 흘러내리는 모습~
![]() |
1차 정수를 끝낸 물의 상태~
![]() |
1차 정수를 끝낸 물을 다시 간이 정수기에 통과시킨다~
![]() |
다시 컵 속으로 흘러내리는 1차 정수물~
![]() |
2차 정수를 끝낸 물의 상태~ 1차때보다 조금은 맑아진듯한.....
![]() |
간이 정수기 실험이 재미있는지 정수된 물을 다시 쏟고 있는 딸아이~
![]() |
여러 차례의 간이 정수기를 통과한 물이 비교적 깨끗해 보인다~
간이 정수기를 사용하여 걸러진 물은 절대 먹지 말라는 경고가 있어 시음은 절대 불가!
눈으로 보기에도 여러 차례의 정수로 걸러진 물은 처음의 물과 확연히 달라 보여 실험 전에 '과연 얼마나 걸러질까?'하는 의구심을 떨쳐버릴 만큼의 결과에 놀라웠다.
<간이 정수기의 원리>
사람이나 동식물에게 자연적인 치유 능력이 있듯이 자연계에도 스스로 오염 물질을 없애는 능력이 있는데 이것을 자정 작용 또는 자연정화 작용이라고 한다. 그중에서 물의 오염 성분을 없애고 깨끗하게 하는 것을 '물의 정화, 또는 정수'라고 한다.
우리가 만든 간이 정수기는 지표수가 지하로 흘러 들어가면서 정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더러운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면서 크기가 큰 먼지 알개이들이 먼저 걸러지고, 모래층이나 석탄층을 지나며 물속의 미세한 오염 물질들이 제거된다. 자갈과 모래, 숯 등을 쌓은 것은 바로 이 자연 정수 방법을 축소한 것이다.
특히, 숯(활성탄)에 나 있는 구멍들은 먼지나 중금속 등을 잘 흡수하여 불순물이나 오염 물질을 효고작으로 제거해 준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숯은 냄새 제거나 각종 질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정수기는 인공 여과 장치인 필터를 이용하여, 아주 미세한 구멍으로 물을 통과시켜 불순물이나 세균 등을 걸러내는 원리로 작동한다.
(출처: 부록내 설명서)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