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뷰

키치
- 작성일
- 2022.9.19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 글쓴이
- 최진영 저
한겨레출판
어떤 내용인지 보려고 책을 펼쳤다가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버렸다. 그만큼 흡인력이 대단하고, 2010년 한겨레문학상 심사위원들이 어째서 이 소설을 그 해의 수상작으로 뽑았는지(그것도 만장일치로) 단번에 이해됨...
이야기의 주인공은 '소녀'다. 허구한 날 때리는 아버지와 걸핏하면 밥을 굶기는 어머니를 둔 소녀는 이들이 진짜 부모라면 이렇게 나를 괴롭힐 리 없다고 생각하며 어딘가에 있을 '진짜 엄마'를 찾아 떠난다. 소녀는 황금다방 장미언니, 태백식당 할머니, 교회 청년, 폐가의 남자, 각설이패 삼촌들, 유미와 나리 등 거리에서 만난 사람들을 가족처럼 여기고 의지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그들에게 버림받거나 그들로부터 도망쳐야 하는 상황이 되고 만다.
설정과 줄거리만 보면 불우한 환경에서 태어난 소녀가 어린 나이에 가출해 험한 세상을 경험하는 모험기 같은데(맞다), 같은 경험은커녕 유사한 경험조차 없는 내가 이 소설에 크게 감정이입한 이유는 뭘까. 내 생각에 이 소설에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껴보았을 감각 혹은 감정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세상 어디에도 내가 안심하고 머물 수 있는 자리는 없는 것 같다는 불안. 나에게 주어진 삶이 고작 이것밖에 안 된다는 사실에 대한 절망. 그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체화하는 성숙이라는 이름의 체념. 운 좋게 신뢰할 수 있고 애정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을 만나도 그 사람에게 내가 원하는 만큼의 사랑을 받을 수 없고 나 또한 그가 원하는 것을 줄 수 없다는 걸 체감할 때의 비애 또는 무력감.
잠깐이라도 나를 받아주었던 사람에게 줄 수 있는 것, 할 수 있는 것이 다만 '그것'뿐이라서, 그것을 하면 자신의 삶이 어떻게 될지를 알면서도 그것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소녀의 마지막 선택은 그래서 더 슬프고 마음이 아팠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야 자신의 이름을 겨우 알게 되고, 살면서 마음을 준 친구는 몇 명인가 있었지만 최후에는 곁에 아무도 없는 소녀의 모습을 보며, 언젠가 이다혜 기자님의 인스타그램에서 본 에밀리 메리 오스본의 그림 <Nameless and friendless>이 떠오르기도 했고... (결국 '소녀'의 삶은 모든 여성들의 삶, '소녀'의 죽음은 모든 여성들의 죽음일까)
이 소설을 읽고, 조숙하지만 미숙하기도 한 소녀의 시점에서 소설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은희경의 <새의 선물>이 떠오르기도 했다. 불우한 환경에서 태어나 끝내 불행한 방식으로 삶을 마감하는 어린 아이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을 연상할 수도 있겠다. 개인적으로는 <체공녀 강주룡>, <코리안 티처> 등을 읽었을 때 느낀,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에 대한 신뢰를 다시 한 번 굳힌 작품이기도 하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