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위젤
  1. 음양오행과 건강

이미지

re: 한(漢)의학에서의 오미(五味)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cdmr (2004-09-25 08:56 작성, 2004-09-25 20:00 수정)이의제기(3) | 신고하기
질문자 평
너무감사합니다.

동양의 고전의학에서 말하는 오미(五味)란?
다섯 가지 맛을 이르는 것으로, 그 개괄적인 의미는 먹는 것이 곧 약이니 가리지 말고 골고루 먹으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으며, 오미에 한가지를 더하여 육미(六味)를 알때 의학적인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사람들은 입에 살살 녹고 맛있는 것만을 추구하는 나머지, 그리고 약삭바르게 비방, 묘방만을 추구하는 나머지 옛사람들이 좀체로 걸리지 않는 병에 걸려 천수를 다 누리지 못하고 요절하는 수가 있고, 40대 사망률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걺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로서 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
국민각자에게도 있지만, 안보와 치안이 확보되고 나면 자나깨나 민생을 챙겨야할 국가 위정자 및 당국자에게 있으며 고전의학을 공부한 자들의 저들 입구입이며 자리지키기에만 골몰하였지 민생은 헌신짝 버리듯이 내팽개져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거창한 것 같으나 400만을 넘는 당뇨병 환자, 또 400만을 넘는 고혈압 심부전 증 환자, 그에다 800만을 넘는 비만환자들이 이 나라를 구성하는 국민들이라 할 때 전체 국민의 30%를 훨씬 상위하는 환자들이 사경을 헤매고 헉헉거리고 있으니 국력손실은 그 얼마이며 내년에서 부터 개방되는 의학개방이 문전에서 국민의 등을 돌리면 국가 경제가 또 한번 뿌리채로 흔들릴 위기에 와 있는 것입니다.
미국 등지에서 양방으로 도무지 역부족임을 느껴 식생활 개선에 대한 요강을 발표하는 것들이 알고 보면 이 오미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오미를 그저 옛사람들이 하던 것, 또는 상식적으로 알아 둘 사항으로 말고 실천하는 건강법으로 삼는 계기가 되셨으면 합니다.
오미는 현대의 영양가니 칼로리를 따지는 훨씬 더 큰 의미를 지니고 있기에.

오미는 다섯 가지 맛이니,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맛을 이릅니다.
이를 한자말로 나나내면 산(酸 실산), 고(苦 쓸고), 감(甘 달감), 신(辛 메울신), 함(鹹 짤함)이고, 여기에 삽(澁 떫을 삽)을 더하여 육미라 합니다.
그럼 이게 무슨 의미를 지니느냐?
음양오행의 공식에 대입합니다.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간심비폐신(肝心脾肺腎)
담소위대방(膽少胃大膀)
산고감신함(酸苦甘辛鹹)

어렵게만 생각말고 위를 세로로 찬찬히 들여다 보십시요.

제일 윗줄의 목화토금수는 오행, 둘째줄 간심비폐신은 장, 담소위대방은 부, 산고감신함은 맛을 뜻합니다.

그럼 위를 세로로 읽어 보지요.
"목간담산, 화심소고, 토비위감, 금폐대신, 수신방함"

이 됩니다.

이말이 무슨 말이냐?

목간담산(木肝膽酸)!

산(신맛)은 음양오행상 목(木 나무의 성질)에 속하며 장부로는 간(肝)과 담(膽)이 이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신맛은 음식은 목에 속하며 그 맛을 섭취할 때 간과 담으로 가서 이롭게 한다는 뜻이죠.

화심소고(火心少苦)는 쓴맛은 음양오행상 화(火)에 속하며 심(心)과 소장으로 가서 이롭게 한다는 뜻.

토비위감(土脾胃甘)은 단맛의 음식은 음양오행상 토(土)에 속하며 비(脾)와 위(胃)로 가서 그 장부를 이롭게 하는 맛.

금폐대신(金肺大辛)은 매운맛의 음식은 음양오행상 금(金)에 속하며 폐(肺)와 대장으로 가서 이롭게 하는 맛.

수신방함(水腎膀鹹)은 짠맛의 음식은 음양오행상 수(水)에 속하며 신(腎)과 방광으로 가서 이롭게 하는 맛이란 뜻입니다.

이 원리가 약에도 적용되어 차냐 뜨거우냐를 따져 쓰는 것이니 이를 이해하면 약을 함부로 써서도 아니 되며, 동양의학은 관심을 가져 이해하면 재미 있고 쉽다는 생각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서 간(肝)이라 하면 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간은 물론 간이 미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모든 장부도 그렇게 넓게 해석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제 목화토금수(산고감신함)에 속하는 음식을 대강 정리해 드림으로서 실제적인 이용을 할 수 있으리라 보기에 그를 정리하겠습니다.

1. 목(酸 신맛)에 속하여 간과 담을 이롭게 하는 음식

곡식 : 보리, 귀리, 팥, 메밀, 완두콩, 동부, 강낭콩 등

채소 : 부추, 깻잎, 신김치 등

과일 : 귤, 포도, 딸기, 사과, 앵두, 모과, 매실, 유자 등

육류 : 각종 동물의 간과 쓸개, 닭고기, 개고기, 메추리, 계란 등

차류 : 유자차, 오미자차, 들깨차, 땅꽁차, 오렌지쥬스 등

조미료 : 참기름, 들기름 등

근건과 : 참깨, 들깨, 호도, 땅콩, 잣 등

2. 화(苦 쓴맛)에 속하여 심과 소장을 이롭게 하는 음식

곡식 : 옥수수 등

채소 : 풋고추, 상추, 냉이, 쑥갓, 쑥, 고들빼기, 씀바귀, 등

과일 : 은행, 살구, 해바라기 씨등

육류 : 각종 동물의 염통과 피, 곱창, 염소, 메뚜기, 칠면조 등

차류 : 홍차, 작설차, 영지차, 쑥차, 커피 등

조미료 : 술, 면실유 등

근건과 : 도라지, 더덕 등

3. 토(甘 단맛)에 속하여비와 위장을 이롭게 하는 음식

곡식 : 기장쌀, 피쌀 등

채소 : 시금치, 고구마줄기, 마 등

과일 : 감, 대추, 참외 등

육류 : 각종 동물의 위장 과 지라, 췌장, 쇠고기, 닭고기 등

차류 : 인삼차, 꿀차, 칡차, 대추차 등

조미료 : 설탕, 꿀, 엿, 엿기름, 포도당등

근건과 : 연근, 고구마, 갈근 등

4. 금(신 매운맛)에 속하여폐와 대장을 이롭게 하는 음식

곡식 : 현미, 율무 등

채소 : 파, 양파, 달래, 배추, 마늘 등

과일 :배, 복숭아등

육류 : 각종 동물의 허파 및 대장, 말고기, 생선, 조개류 등

차류 : 율무차, 생강차, 수정과차 등

조미료 : 고추, 생강, 후추, 겨자, 박하 등

근건과 : 무, 양파 등

5. 수(鹹 짠맛)에 속하여신과 방광을 이롭게 하는 음식

곡식 : 콩, 쥐눈이콩(서목태)등

채소 : 다시마, 김, 미역, 파래 등의 각종 해조류, 콩떡잎 등

과일 : 수박, 밤 등

육류 :각종 동물의 신장, 방광 및 생식기, 돼지고기, 각종 해산물로 담근 젓갈류 등

차류 : 두향차, 두유, 베지밀 등

조미료 : 된장, 간장, 소금 등

근건과 : 마뿌리 등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위젤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08.7.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8.7.17
  2. 작성일
    2008.7.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8.7.17
  3. 작성일
    2008.7.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8.7.17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59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9
    좋아요
    댓글
    145
    작성일
    2025.5.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43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