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위젤
  1. 음양오행과 건강

이미지

1. 경락 (經絡)


경락은 경맥과 낙맥의 총칭으로 12경맥, 12경별, 12경근, 기경8맥, 15낙맥,

손낙맥을 포함하고 있다.


- 경락은 기혈이 운행되며 인체의 모든 곳에 에너지와 필요한 영양을 운반하는

통로이다.

- 경맥은 낙맥보다 굵고 곧게 가며, 보다 깊은 곳에 분포되어 있는 인체의

기본줄기이며,

-낙맥은 경맥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로써 가늘고 짧고 옆으로 퍼져나가며 얕은

곳에 분포되어 있다.

- 낙맥은 15개의 낙맥이 있으며 낙맥에서 갈라져 나간 것을 손낙맥이라 한다.

- 12경맥의 이름은 음양. 장부. 수족의 3개 부분을 결합하여 정한 것이다.

이 음양을 3양 3음으로 나누어 양은, 소양. 태양. 양명으로 음은 궐음. 소음.

태음으로나누었다.

- 수.족에 있는 음경의 앞쪽은 태음, 뒤쪽은 소음, 가운데는 궐음이며

수,족에 있는 양경의 앞쪽은 양명, 뒤쪽은 태양, 가운데는 소양이다.

- 12경맥은 육장육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고 음경과 양경 사이에 일정한

배우 관계를갖고 있고 통일적인 경락체계내에서도 중요하므로 12경맥은 정경

(正經)이라 부른다.

- 기경8맥도 상호간에 밀접한 음양관계가 있다.

2. 12경맥


12경맥은 육장육부와 각각 연결되어 일정한 연관성이 있으며

우리 선조들도 음양을 가지고 12경맥의 속성을 정하였다.

장(臟)은 인체내의 정미(精微)한 물질을 흡수, 저장한다 하여

음으로 배속시켰고, 부(腑)는 소화, 전도, 배설활동을 하므로

양에 배속시켰다.

사지의 내측은 음경에 속하고, 외측은 양경에 속하고,

손으로 운행되는 것은 수경(手經),

발로 운행되는 것은 족경(足經)이라 한다.

또, 음양을 세단계로 분류하여 음기가 처음 발생된 것은 소음,

한창 왕성한 것은 태음, 소멸되가는 것은 궐음이라하며,

양기가 처음 발생된 것은 소양, 한창 왕성한 것은 태양,

극도로 왕성해진 것은 양명이라하고, 3음 3양을 합하여 육기(육기)라 하였다.


12경근


-12경근은 주로 힘줄(건)과 관계되어있는 경맥이다.


-체표의 근육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경근이라 하고, 경락의 기능을 보충시키고

근육의 운동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절부위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관절통증에 많이 쓰인다.


-손. 발의 뼈에서 시작하여 여러관절로 퍼졌다가 머리와 몸에 가서 끝난다.


-머리. 몸. 사지의 근육질환에 주로 쓰이고 내장질환은 극히 적다.


12경별


-12경별은 12경맥에서 갈라져 나간 가지로서 낙맥보다 굵고 길며 일정부위를

운행하면서 음양관계의 경맥들 사이에 연계를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실제 임상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낙맥


-낙맥은 경맥에서 갈라져 나간 가지로 다른 경맥과 경맥 사이에서 연계를

가지므로 낙맥이라 한다. 14정경에 각각 1개씩 있고 비경에 따로 음양의

모든 낙맥을 총독하는 대락이 하나 더 있어 총 15개의 낙맥이 있다.


-15낙맥에 병이 발생하면 심각한 중병이다.


-허하면 혈 자리가 밤톨만큼 쏙 들어가고 이때는 뜸이나 M.T로 보법을 쓰고,

실하면 혈자리가 밤톨만큼 불룩 나와 있어 이때는 뜸으로 태워 사법을쓴다.


-낙맥에서 갈라져서 손낙맥이 되고 손낙맥에서 갈라져 부락이된다.


-부락은 몸 표면에 촘촘이 분포되어 있고 부락의 분포 구역을 피부라 한다.

3. 기경팔맥(奇經八脈)


기경팔맥은 내장과 직접 관계된 12경맥과 교차되면서 운행하는 경맥을

기경이라하고 몸의 좌우에 8개씩 있으며 그 작용과 순환의 부위에 따라

이름이 지어졌으며 기(奇)는 "단독"의 뜻이고 기경8맥 상호간에 밀접한

음양의 관계가 있다.


8개의 기경 가운데 임맥과 독맥은 자기의 독립된 경혈을 갖고 있지만,

다른 6개의 기경은 12정경 사이에 있으며 자기 부속의 경혈을 가지지 않는다.


12정경과 임. 독맥을 합쳐 14정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기경8맥은 각각 하나의 통혈을 갖고 있어 그 대표혈(通穴)은 맥을 조절하고

그곳을 치료해야만 기경8맥들이 조절이 된다.

기경팔맥의 특징은 그 이름에 표현되어있다.


1. 독맥(督脈)

독(督)자는 모두를 감독한다, 독촉한다는 뜻이며 머리, 목, 척추등

인체의 정 중앙을 순행하여 전신의 양경을 총감독하므로 <양맥의 바다>라

부른다.


2. 임맥(任脈)

임(任)자는 담당한다, 맡는다는 뜻이며 머리, 가슴, 배등 인체의

정 중앙을 순행하여 전신의 음경을 맡는다 하여 <음맥의 바다>라고 한다.


3. 충맥(衝脈)

충(衝)자는 중요한 길목이라는 의미가 있고, 순환 경로가 밑에서 위로 올라가

기만 한다.12경맥의 중요한 길목에 있다하여 <경락의 바다>라 한다.


4. 대맥(帶脈)

대(帶)자는 허리띠와 같이 묶는다는 뜻이며 배꼽을 중심으로 한바퀴

몸 주위(허리)를 돌아가며 음양의 여러 경맥을 다 묶는다.


5. 양교맥(陽 脈)과 음교맥(陰 脈)

교( )자는 민첩하다는 뜻과 발 뒷축이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이 두 맥은 발 뒷축에서 시작하여, 한 가닥은 안쪽으로 올라가는데

이것을 음교맥이라 하고 다른 한가닥은 바깥쪽으로 올라가는데 이것은

양교맥이라 한다.

이 두맥은 인체의 운동 기능유지와 눈을 뜨고 감는 것을 주관한다.


6. 양유맥(陽維脈)과 음유맥(陰維脈)

유(維)자는 얽어맨다는 뜻으로 모든 음경을 얽어 매는 것을 음유맥이라

하고 모든 양경을 얽어 매는 것은 양유맥이라 한다.

4.12경락의 순환


1. 수태음 폐경

-중초(위)에서 시작해서 아래로 대장을 얽고

-위의 하완.상완을 따라 횡경막을 뚫고 올라가 폐에 소속되고

-중부에서 팔안쪽 겨드랑이 밑으로 내려와 엄지손가락 끝(소상)에서 끝난다.

-손목 위(열결)에서 대장경맥과 연결된다.


2. 수양명 대장경

-집게 손가락 끝(상양)에서 시작해서 팔뚝 위쪽을 따라 어깨(견우)를 지나

-속으로 대추에 모여 아래로(결분) 폐를 얽고 횡경막을 지나 대장에 속한다.

-한가닥이 결분에서 목으로 올라가(천정) 아래 잇몸속으로 들어 갔다가나와서

-윗잇몸 인중을 지나 왼쪽에서 온 것은 오른쪽(영향)에서 끝난다.


3. 족양명 위경

-코에서 시작해서 한가닥은 방광경(청명)에 연결되고 하나는 코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승읍과 윗잇몸, 입술 턱(대영)으로 와서 하나는 귀앞 위로

올라가서 이마(두유) 끝(신정)까지 간다.

-한가닥은 대영에서 목(인영)으로 내려가 결분으로 들어가서 위에 속하고

비장에 얽었다.

-곧게 내려간 맥은 유방을 지나 배꼽옆으로 내려가 기충에서 배속으로

내려온것과 합하여 허벅지(복토)와 무릎을지나 정강이 바깥쪽과 발등을지나

둘째 발가락(여태)에서 끝난다.

-또 무릎 아래(족삼리)에서 갈라져 가운데 발가락으로 내려오고,

발등(충양)에서 비경으로 연결된다.


4. 족태음 비경

-엄지 발가락(은백)에서 시작해서 발안쪽을 따라 복사뼈(상구) 앞에서

종아리를 지나 허벅지 안쪽을 따라 배로 들어가 비에 속하고 위장을 얽는다.

-횡경막을 지나 인후를 끼고 혀뿌리에 가서 흩어진다.

-한가닥은 위장에서 갈라져 횡경막을 지나 유방 바깥쪽(대포)에서 끝난다.

이곳에서 심경으로 연결된다.


5. 수소음 심경

-심장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소장을 얽고, 하나는 인후로 올라가

눈에(안구뒤 뇌에 매달린 줄) 연결된다.

-바로 나가는 가닥은 겨드랑 밑에서 나와 상완 팔꿈치 안쪽으로 내려가고

손목(신문)으로가 새끼 손가락 안쪽 끝(소충)에서 끝나고 여기서 소장경에

연결된다.


6. 수태양 소장경

-새끼 손가락 바깥쪽(소택)에서 시작하여 손 바깥쪽을 따라 손목과

팔꿈치(소해)를 따라 어깨로 올라간다.

-견갑골을 돌아서 대추혈로 갔다가 결분에서 심장을 얽고 밑으로 위장을 지나

소장에 속하였다.

-한가닥은 결분에서 목을 따라 뺨으로 올라가 귓속으로 들어간다.

-한가닥은 뺨에서 갈라져 청명혈에 연결된다.


7. 족태양 방광경

-눈 안쪽(청명)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 정수리(백회)에서 뇌를 얽고

도로 내려와 갈라져 목들미와 척추를 끼고 허리로 내려와 등심따라

신장을 얽고 방광에 속한다.

-한가닥은 허리와 척추를 끼고 내려와서 엉덩이를 뚫고 오금속에(위중)

들어갔다.

-한가닥은 견갑골에서 좌우로 갈라져 견갑골아래 살속으로 내려가 환도를

지나허벅지 뒤를 따라 내려가 오금에서 먼저온 맥과 합하여 장딴지와

바깥복사뼈뒤(곤륜)로가 새끼 발가락 끝(지음)에서 끝난다. 여기에서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위젤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08.7.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8.7.17
  2. 작성일
    2008.7.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8.7.17
  3. 작성일
    2008.7.17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8.7.17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1
    좋아요
    댓글
    120
    작성일
    2025.4.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4
    좋아요
    댓글
    83
    작성일
    2025.4.2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1
    좋아요
    댓글
    164
    작성일
    2025.4.21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