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김기범
  1. 독해킹

이미지

 

※ 「『を』를 취하는 자동사」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동사는 목적어(조사「を」)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와 목적어(조사「を」)를 취하는 타동사로 크게 구분되지만, 자동사의 이동 동사의 경우는 조사 『を』를 취한다.




「『を』를 취하는 자동사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자동사)」



(1) ――(―→) (대상이 되는 장소를「외부에서 안으로」이동)
・・・조사는「に」
예) (はい) る(들어가다/들어오다), () る(타다), (のぼ) る(오르다), () く(도착하다)


(2) (――)―→ (대상이 되는 장소를「안에서 외부로」이동)
・・・조사는「を」
예) () る(나오다), () りる(탈 것 등에서 내리다), () りる(내리다), (はな) れる(떨어지다/멀어지다), () つ(출발하다/떠나다)


(3) (―→) (대상이 되는 장소의「안에서만」이동)
・・・조사는「を」
예) (ある) く(걷다), (はし) る(달리다), () ぶ(날다), (なが) れる(흐르다), はう(붙어서 뻗어가다), (ころ) がる(구르다), (はし) (わた) る(다리를 건너다)


(4) ―(――)→ (대상이 되는 장소를「외부에서 안을 통해서 외부로」이동)
・・・조사는「を」
예) (かわ) (わた) る(강을 건너다), (やま) () える(산을 넘다), トンネルを () ける(터널을 빠져나가다)


(5) _/○\_  (대상이 되는 장소를「스쳐서」이동)
・・・조사는「を」
예) () がる(돌다), (めぐ) る(순회하다)

 정리를 하면,


() る」는「 (わたし) () () ()」이고、주어가 이동을 하는 것이고,


() す」는「 (わたし) 子供 (こども) () () から ()」이며, 목적어가 이동을 하는 것이다.



 결국,「타동사」는 원칙적으로 목적어가 동사의 행위를 받는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자동사”라고 하는 개념으로서,


위에 예를 든 동사를 한데 묶어서,「자동사」로서 취급한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자동사”는,


 그 대상이 되는 장소의 뒤에「を」를 사용한다.



다만,「외부에서 안으로」를 의미하는 동사의 경우에만,「に」를 사용한다.


(위 예(1)).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김기범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09.11.3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9.11.30
  2. 작성일
    2009.11.3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9.11.30
  3. 작성일
    2009.11.3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09.11.3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212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29
    좋아요
    댓글
    169
    작성일
    2025.4.29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4.30
    좋아요
    댓글
    62
    작성일
    2025.4.30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