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해킹

김기범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9.8.21
※ 「『を』를 취하는 자동사」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동사는 목적어(조사「を」)를 취하지 않는 자동사와 목적어(조사「を」)를 취하는 타동사로 크게 구분되지만, 자동사의 이동 동사의 경우는 조사 『を』를 취한다.
「『を』를 취하는 자동사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자동사)」
(1) ――(―→) (대상이 되는 장소를「외부에서 안으로」이동)
・・・조사는「に」
예)
(2) (――)―→ (대상이 되는 장소를「안에서 외부로」이동)
・・・조사는「を」
예)
(3) (―→) (대상이 되는 장소의「안에서만」이동)
・・・조사는「を」
예)
(4) ―(――)→ (대상이 되는 장소를「외부에서 안을 통해서 외부로」이동)
・・・조사는「を」
예)
(5) _/○\_ (대상이 되는 장소를「스쳐서」이동)
・・・조사는「を」
예)
정리를 하면,
「
「
결국,「타동사」는 원칙적으로 목적어가 동사의 행위를 받는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자동사”라고 하는 개념으로서,
위에 예를 든 동사를 한데 묶어서,「자동사」로서 취급한다.
“장소의 이동을 나타내는 자동사”는,
그 대상이 되는 장소의 뒤에「を」를 사용한다.
다만,「외부에서 안으로」를 의미하는 동사의 경우에만,「に」를 사용한다.
(위 예(1)).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