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kheylim
- 작성일
- 2024.2.24
반도체 주권국가
- 글쓴이
- 강성천 외 2명
나남
반도체 주권국가
박영선, 강성천, 차정훈 지음
목차
프롤로그
PART 1 반도체 무기화 시대의 본격적 개막
1. 반도체는 왜 무기화되었나: 반도체 무기화의 역사
2. 미래 전쟁의 서막: 소련의 붕괴 그리고 걸프전
PART 2. 21세기 반도체 패권국가
1. 중국의 반도체 굴기
2. 미국의 반도체 전쟁 전략
3. 21세기 패권국가의 조건
PART 3. 대한민국 반도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한·일 반도체 전쟁
2. 대한민국 반도체에 있는 것과 없는 것
3. 한국 기업에 꼭 필요한 것: 보다 유연한 기업문화에 대한 갈증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수용
4. 반도체 주권국가의 길
PART 4. 미래 산업 전쟁의 한국 과학자들
에필로그
우리나라는 반도체 하면 삼성과 SK하이닉스를 잘 알고 있다.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모든 현대의 주요산업에서 핵심 물품으로 쓰이고 있다.
“반도체의 무기화”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만큼이나 중요한 지난 100년의 미국 패권의 역사요, 미래 100년의 미국 패권의 운명이 달려 있는 문제다.
저자는 책에서 “왜 반도체가 무기화되었는지 그리고 반도체 주권국가가 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그것이 대한민국의 운명과 미래를 어떻게 결정지을지”를 정리하고 있다.
반도체 무기화는 2023년을 관통하는 화두였고 그런 시대적 흐름 속에서 최첨단 기술 전쟁이 질주하고 있다.(한·미·일 반도체 전쟁)
바이든 정부의 4대 신산업정책의 주요 골격
1. 미국 구조계획법
2. 인프라법
3. 인플레 감축법
4. 반도체 과학법: 미국 내 반도체 제조시설을 짓는 기업에 인센티브 제공
21세기 패권국가의 조건
1. 기축통화: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2. 첨단기술 지배 / 합성생물학, 동형암호, 우주공간, 양자컴퓨팅, 나노기술, 자동화 및 자율 시스템
3. 우주영토 확장
“반도체 산업 패권을 둘러싼 치열한 전쟁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차정훈 저자는 한국 반도체에 있는 것으로 세계최대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능력을 한국 반도체에 없는 것으로 후방산업(반도체 소재, 장비 회사들), 반도체 설계(팹리스 기업들), 전방산업(컴퓨터 제조회사), 유연한 조직문화를 말하고 있다.
박영선 저자는 보다 유연한 기업문화에 대한 갈증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수용을 말하고 있다.
반도체의 3대 조건 / 사람, 물, 전기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시피 한 한국의 저력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교육열’로 요약될 수 있다.”
“한국도 다시 깨어나야 한다.”
우리는 뉴스를 통해 한·미·일 반도체 전쟁에 대해서 계속 접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나라만의 장점을 더욱 극대화 시켜 미래를 준비하고, 대비해야 한다.
“반도체 주권국가”
우리나라는 계속적으로 도전하고 다시 반도체 주권국가를 향해 달려가야 한다.
레바논 시인 칼릴 지브란 / “우주의 비밀을 가로막는 문은 없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박영선, 강성천, 차정훈 지음
목차
프롤로그
PART 1 반도체 무기화 시대의 본격적 개막
1. 반도체는 왜 무기화되었나: 반도체 무기화의 역사
2. 미래 전쟁의 서막: 소련의 붕괴 그리고 걸프전
PART 2. 21세기 반도체 패권국가
1. 중국의 반도체 굴기
2. 미국의 반도체 전쟁 전략
3. 21세기 패권국가의 조건
PART 3. 대한민국 반도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 한·일 반도체 전쟁
2. 대한민국 반도체에 있는 것과 없는 것
3. 한국 기업에 꼭 필요한 것: 보다 유연한 기업문화에 대한 갈증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수용
4. 반도체 주권국가의 길
PART 4. 미래 산업 전쟁의 한국 과학자들
에필로그
우리나라는 반도체 하면 삼성과 SK하이닉스를 잘 알고 있다.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모든 현대의 주요산업에서 핵심 물품으로 쓰이고 있다.
“반도체의 무기화”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만큼이나 중요한 지난 100년의 미국 패권의 역사요, 미래 100년의 미국 패권의 운명이 달려 있는 문제다.
저자는 책에서 “왜 반도체가 무기화되었는지 그리고 반도체 주권국가가 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그것이 대한민국의 운명과 미래를 어떻게 결정지을지”를 정리하고 있다.
반도체 무기화는 2023년을 관통하는 화두였고 그런 시대적 흐름 속에서 최첨단 기술 전쟁이 질주하고 있다.(한·미·일 반도체 전쟁)
바이든 정부의 4대 신산업정책의 주요 골격
1. 미국 구조계획법
2. 인프라법
3. 인플레 감축법
4. 반도체 과학법: 미국 내 반도체 제조시설을 짓는 기업에 인센티브 제공
21세기 패권국가의 조건
1. 기축통화: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2. 첨단기술 지배 / 합성생물학, 동형암호, 우주공간, 양자컴퓨팅, 나노기술, 자동화 및 자율 시스템
3. 우주영토 확장
“반도체 산업 패권을 둘러싼 치열한 전쟁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차정훈 저자는 한국 반도체에 있는 것으로 세계최대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능력을 한국 반도체에 없는 것으로 후방산업(반도체 소재, 장비 회사들), 반도체 설계(팹리스 기업들), 전방산업(컴퓨터 제조회사), 유연한 조직문화를 말하고 있다.
박영선 저자는 보다 유연한 기업문화에 대한 갈증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수용을 말하고 있다.
반도체의 3대 조건 / 사람, 물, 전기
“무에서 유를 창조하다시피 한 한국의 저력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교육열’로 요약될 수 있다.”
“한국도 다시 깨어나야 한다.”
우리는 뉴스를 통해 한·미·일 반도체 전쟁에 대해서 계속 접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나라만의 장점을 더욱 극대화 시켜 미래를 준비하고, 대비해야 한다.
“반도체 주권국가”
우리나라는 계속적으로 도전하고 다시 반도체 주권국가를 향해 달려가야 한다.
레바논 시인 칼릴 지브란 / “우주의 비밀을 가로막는 문은 없다.”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