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khhwww
  1. 기본 카테고리

이미지

도서명 표기
딴짓의 힘
글쓴이
김충만 저
프리윌
평균
별점8.9 (11)
khhwww

한국은 유독 빨리 빨리 문화가 강하다. 왜 그런지 언제부터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인지 한강의 기적이후,

빠르게 발전하여 지금은 다른나라들이 함부로 할 수 없는 나라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빨리 빨리 문화는 농경사회에서 보다 IT가 발전한 요즘에 더 강점을 보이는 문화 이지만, 빨리 빨리 문화와

성과중심의 사회가 대한민국에 만연해져 가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개성을 점점 잃어가고 획일화된 가치관과

문화를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더 잘 되기 위해 경쟁을 하면서 개성보다는 누가더 빨리 잘하느냐에 특화된 사람들로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성인이되어도 직장생활중에서 누가 더 개성있게 일하면서 성과를 나타내냐는 것보다는 누가 더 야근을 많이하고

누가 더 오랫동안 회사에 충성하냐가 개인의 성과에 중심에 있는 슬픈 현실을 가지고 있다.



[ 딴짓의 힘 ] 은 힘들게 살고 있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너무 일만하지말라고 충고를 하고있는 책이었다.

OECD국가중에 두번째로 노동시간이 많다는 대한민국의 슬픈일상생활에 더 이상 그렇게 살지 말라고 설득하고 있었다.


[ 딴짓의 힘 ] 의 핵심은 일상생활에서 딴짓을 하라는 것이었다. 딴짓이라고 해서 진짜 딴짓도 포함이되겠지만, 내가 이해한

결과로는 딴짓=취미 이다. 너무 자신의 일에만 몰두에서 하지말고 일말고 다른 취미생활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얻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말이었다.


딴짓이라고 이라고 해서 뭐 거창한 것도 있을 수 있겠지만, 걷거나 자거나 음악을 듣는것도 딴짓에 포함되고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것을 배우는것도 딴짓에 포함되어있었다.


[ 딴짓의 힘 ] 의 저자는 딴짓의 포인트를 크게 3가지로 잡았다 . 눈 - 손 - 발 이다 .  특별한것이 있다기보다 딴짓을 하는 주요 신체부위를

나타낸 것으로 눈과 손과 발을 주로 사용하는 딴짓을 해야 능률이 오르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다는 말이었다.


책에는 딴짓을 하면서 위인이 되거나 성공한 많은 사람들이 사례로 나오면서 이책의 주장을 뒷받침해주고 있었다.

이책을 읽으면서 나의 삶을 돌아보았는데 지금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아직 별다른 취미생활조차 없이 살고있었다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즐겁게 그리고 건강하고 체력도 좋았으나 , 지금은 활기도 없고 힘들고 늘 지쳐있는 내모습을 보면서

앞으로는 나도 딴짓을 하면서 나의 생활에 변화를 만들자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khhwww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0.9.23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0.9.23
    첨부된 사진
    20
  2. 작성일
    2020.9.20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0.9.20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0.8.29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0.8.29
    첨부된 사진
    20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01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8
    좋아요
    댓글
    60
    작성일
    2025.5.8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7
    좋아요
    댓글
    118
    작성일
    2025.5.7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