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라
  1. 신화(신화,민담관련)

이미지

도서명 표기
미술로 보는 한국의 미의식 1 신명
글쓴이
최광진 저
미술문화
평균
별점9 (4)
이하라

‘한국의 미의식’을 말하는 관계로 한국인의 의식세계를 엿볼 수 있는 계기로 삼고 싶어 독서하고자 했다. 저자의 전작 [한국의 미학]에서 저자는 “민족마다 문화가 다른 것은 환경에 따른 ‘문화의지’가 다르기 때문이고 서양은 ‘분화’, 중국은 ‘동화’, 일본은 ‘응축’, 한국은 ‘접화’의 의지가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저자가 한국의 ‘문화의지’라고 추출한 ‘접화 接和’는 ‘태극처럼 상극의 이질성이 하나로 어우러진 상태’를 말한다고 한다. 저자는 이 개념을 한국문화의 기반을 이루는 천지인 사상에서 착안했다는데 ‘천지인’ 사상에서 ‘인간은 하늘의 창조적인 신성(영혼)과 땅의 굳어진 물질성(육체)이 접화된 존재’라고. 그렇기에 한국인은 ‘천인묘합’의 상태에서 미적 쾌감을 느끼고 그 상태를 ‘멋’이라고 불러왔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한국인의 미의식은 ‘멋을 느끼고 창출할 수 있는 의식’이고 ‘이것이 신명, 해학, 소박, 평온의 미의식으로 발현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기도 하다.


고구려 벽화에서부터 신들에게서 미적 쾌감을 느끼며 부여한 선조들의 미의식을 엿보고 그것이 고정적이며 기학적인 서양의 미의식과는 달다며 역동적인 한국의 미의식을 설명한다. 서양의 팔메트 문양과 고구려 고분 벽화와 금동관 장식 등에서 보이는 문양을 설명하기도 하고 금동관과 한국 특유의 범종의 용뉴(종의 꼭지 같은 이을 수 있는 고리)에서 보이는 비대칭을 설명하기 위해 대칭을 이루는 중국 용뉴와 비교하기도 한다. 비대칭에서 보이는 역동성은 한국 특유의 빛깔이기도 했다.


여기서 이해가 갈 수밖에 없는 게 서양인들은 자연이 대칭을 이룬다며 수학과 과학을 들어 이야기하는 데 그들이 대칭을 이룬다는 자연물들도 자세히 보면 나노미터 차원이 아니라 센티미터나 미리미터 차원에서도 이미 대칭이 깨지고 있고 자연계에서 기계로 찍은 듯한 대칭은 없다는 것이 사실일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장부가 좌우 한쌍씩 다 대칭을 이루며 존재하지도 않기에 여자의 가슴과 남자의 고환도 대칭을 이루지 않는다. 거의 다 짝 가슴에 짝 고환이라는 말이다. 인간의 얼굴도 이미 저작(씹는)활동을 좌우로 균등히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얼굴의 좌우 완벽한 대칭은 없고 손과 다리의 사용에서도 그러하기에 팔의 길이나 다리의 길이 역시 좌우 완벽한 대칭은 없다. 중국의 태극권을 보더라도 대부분의 태극권 기세가 대칭을 이루며 손을 내리고 있지만 진씨 태극권 중 진정뢰 노사의 가르침을 보면 기를 느끼며 비대칭으로 자연스레 기세를 취한다. 자연계에서 대칭이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것은 대강 보기에 그런 것이지 실제 정밀하게 검증하자면 완벽한 대칭이 없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한국의 미의식이 갖는 비대칭성은 자연스러움을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몬드리안의 나무 연작과 겸재 정선의 그림들을 비교하며 서양은 기하학에 기반하고 있지만 동양은 주역에 기반하고 있다고 서양은 고정된 것으로 진리를 이해하고 동양은 변화를 기반으로 세계와 진리를 이해한다는 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누군가의 말로 이해를 더하는 데 ‘변화하지 않는 것은 죽은 것’이라는 말이다. 한국의 그림과 관 장식과 향로와 범종들에서 보이는 비대칭성과 역동성은 살아있는 힘을 구현하려는 것이었고 이것은 ‘한’과 함께 한국인의 정서를 지배하는 ‘신명’난다는 그 살아 맥동하는 미적 쾌감이 구현된 것이라고 이해되었다.


본서는 한국의 미의식을 논하는 데서 엿보이듯 한국 역사와 한국 미술 전반을 다루며 근현대까지의 미술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통해 신명이라는 미의식이 어떻게 구현되어왔는지 설명하고 있다. 숙독하기보다는 속독하며 읽어서 깊은 이해보다는 대강만 이해하게 되었는데 그럼에도 가치있는 독서였다는 감상이 드는 책이다. 서양 미술책은 많지만 동양미술, 더욱이 한국의 미술과 한민족의 미의식을 논하는 책은 드물지 않나 싶다. 그렇기에 더욱 빛나는 책이지 않은가 싶다.


#미술로보는한국의미의식 #신명 #최광진 #미술문화 #한민족정서 #한국인미의식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3.04.26

댓글 2

  1. 대표사진

    추억책방

    작성일
    2025. 5. 15.

  2. 대표사진

    이하라

    작성일
    2025. 5. 15.

    @추억책방

이하라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25.5.15

    좋아요
    댓글
    2
    작성일
    2025.5.15
  2.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4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20
  3. 작성일
    2025.5.12

    좋아요
    댓글
    4
    작성일
    2025.5.12

사락 인기글

  1.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171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4
    좋아요
    댓글
    139
    작성일
    2025.5.14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5.13
    좋아요
    댓글
    66
    작성일
    2025.5.13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