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Archive
- 작성일
- 2021.2.19
아니 땐 굴뚝에 연기는
- 글쓴이
- 아시자와 요 저
arte(아르테)
'아니 땐 굴뚝에 연기는' 이라는 제목을 보았을 때 일본에도 우리와 같은 뜻의 속담이 있는건지 아니면 제목을 의역한 것인지 궁금했다. 그런데 일본어를 잘 알지는 못하지만 책 표지의 원제를 보니, '불이 없는 곳에 연기가' 이런 식으로 해석되는 것 같다. 우리나라 속담과 많이 비슷하다는 것에 흥미가 생겼고, 특별한 원인 없이도 어떤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궁금해졌다.
이 소설은 언뜻 보기에는 6개의 비교적 짧은 괴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하나씩 가볍게 읽으면 되겠다고 생각했으나 다 읽고 나니 그런 것이 아니었다. 소제목처럼 얼룩, 저주, 망언, 악몽, 인연, 금기는 제목에 맞는 주제로 으슬으슬한 느낌을 주는 이야기가 진행이 되고 예상치 못한 반전이 있다. 다섯번 째 이야기인 인연을 읽을 때만 해도 이야기에 나오는 일부 인물이 겹치기는 하지만 그것은 현실감을 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이고 아무튼 소제목에 맞는 각각의 괴담이라고 생각하며 읽었다.
그런데 진짜 괴담은 여섯 번 째 이야기인 '금기'에서 나온다. 지금까지 이야기는 각각 별개의 괴담이 아니고 다 그럴만한 연결고리가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는데 약간 소름이 돋는 느낌이었다. 5개의 이야기까지는 조금 으스스해도 참고 읽을 만했는데, 마지막 이야기를 읽고 나서는 앞의 모든 이야기가 결코 단순한 괴담이 아니었던 것이다. 진정한 작가의 역량은 마지막 이야기 '금기'에서 폭발하는 느낌이다. 5개의 이야기까지는 내 마음의 별점을 3, 4점 주었다면 금기까지 다 읽은 후로는 별점이 5점 만점으로 변했다.
`악몽'과 '인연'에 나왔던 영능력자 무속인인 진나이씨는 액막이 기도를 할 때 같이 마음 속으로 기도하는 화자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 혼령과 연을 맺고 싶은 게 아니라면 무람없이 말을 걸어서는 안됩니다. 아무 관계도 없는 고인에게 기도를 올리면 그때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연을 스스로 만드는 셈입니다.''
화자는 자신의 괴담들을 정리하며 이런 생각을 떠올린다.
'생각해보면 이 단편들에는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가 아주 많다. 영능력자, 부적, 액막이, 괴이 현상, 연......보통 단편 소설집에 이렇게까지 모티브가 겹치면 문제가 됐을 것이다. 하지만, 괴담이니까 그렇겠지, 하고 아무도 마음에 두지 않았다.'
과연 이 모든 괴담들의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이 책을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읽다 보면 소름이 돋을 정도로 놀라운 결말을 알 수 있다. 과연 아니 땐 굴뚝에 연기가 난 것일까? 이를 해석한 부분에서 작가의 역량이 느껴진다.
일본 작가 중에는 나름 히가시노 게이고의 팬이라 거의 모든 작품을 읽었고 최고의 작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책의 작가인 아시자와 요도 꼭 기억해야 할 것 같다.
*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