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해안문화기행

강나루
- 공개여부
- 작성일
- 2007.5.14
- 영화처럼 재미있는 동해안 문화 기행(11)
강릉시 주문진읍은 두 가지로 크게 유명한 곳이다. 하나는 오징어이며 또 하나는 활기로 가득한 주문진항이다. 주문진항은 대게, 털게를 비롯한 갑각류와 명태, 도루묵의 어류, 그리고 각종 해산물이 총집결되어 있는 곳이다. 그래서 외지에서 수산물을 사러온 상인들과 그들을 상대로 흥정을 벌이는 수산물업자들로 인해 하루 종일 붐비는 곳이다. 또한 그들의 호주머니를 노리는 분홍빛 유흥시설들이 휘황한 불빛 아래 고혹적인 미소를 짓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주문진항에는 보랏빛 활기와 푸른 유혹이, 홧홧한 생명력이 당겨진 활시위처럼 팽팽하게 농익어 있다.

저녘 어스름의 주문진항
김주영의 소설 <아라리 난장>은 바로 이 주문진을 주요 무대로 한 소설이다. IMF시대에 신문에 연재되기 시작한 이 소설에는 전국 각지의 장터를 현장 취재한 작가의 치열한 노력이 눅진하게 배어 있다. 서울에서 실직한 한창범이라는 인물이 동해안에서 다시 삶의 활기를 되찾는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아라리난장>은 삶의 희망을 잃고 방황하던 수많은 가장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던 소설이었다.
그런데 이 주문진항의 끝에 가면 소돌항이라는 작고 아담한 항구가 하나 있다. 주문진항이 어머니의 항구라면 소돌항은 아들 항구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귀여우면서도 한적한 항구이다. 이 항구는 마을의 형상이 소의 모습이라서 그런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는 민초들의 남아선호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작은 공원 하나를 만날 수 있다. 이름 하여 ‘아들바위공원’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우선 아들바위공원에는 동해안의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기괴한 바위 덩어리들을 볼 수 있다. 소 바위, 코끼리 바위, 아들바위 등에는 천만겁의 세월이 만들어 놓은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움푹 들어간 모습은 마치 해골 같은 괴기스러움을 안겨주고, 숭숭 뚫린 구멍사이로는 바람의 긴 궤적이 흘러간다.

아들바위 공원
아들바위 공원은 바다에 떠 있는 작은 공원이라고 할 정도로 아늑한 느낌을 안겨주는 곳이다. 수많은 세월 동안 바다에 잠겨 있던 바위들을 화강석으로 곱다시 연결한 매무새가 무척 정겹고, 고추를 내놓고 나 좀 봐라 하며 시위하는 갓난 아들 이 슬며시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그래서 아들바위 공원에는 기묘하면서도 정겨운 분위기가 동시에 풍기는 것이다.
아들바위 공원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민족가수 배호의 노래비이다. 1971년 29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한 배호는 한의 정서가 담긴 노래를 애절하게 불렀다는 평가를 받는 가수이다. 아들바위 공원에는 배호의 ‘파도’가 새겨진 노래비가 동해의 짙푸른 빛을 받은 채 서 있다. 그 배호를 못 잊어 매년 이곳에서는 배호 모창대회가 열린다고 한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아들바위’일까? 그렇게도 아들이 갖고 싶은 심리적 기저는 무엇일까? 일억 오천만년 전인 쥬라기 시대에 바다 속에 있다가, 지각변동으로 지상에 모습을 드러낸 저 바위가 도대체 무엇이기에 수많은 새댁들이 기도를 올렸던 것일까? 그 놈의 아들이 무엇이 길래.

풍성한 아들바위 공원
‘여성의 전 세계사적인 패배!’
이 말은 인류가 채집생활에서 수렵생활과 농경생활로 넘어가면서 여성이 남성에게 경제적 주도권을 빼앗긴 상황을 압축해서 표현한 것이다. 모계 중심 사회에서는 모든 경제력이 여성에게 있었다. 그러나 수렵생활로 접어들면서 동물을 사냥할 수 있는 남성이 여성을 추월하여 경제적 지배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제 여성은 남성의 생활력에 의존하게 되었던 것이다. ‘아들바위’는 이런 남성 중심 사상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가문의 대를 이어야 하는 아들에 대한 집착이 하나의 ‘사상’으로 굳어지게 된 것이다.
남아선호사상, 기자(祈子)신앙, 남근숭배사상은 겉보기에 다소 다르지만 뿌리는 동일한 문화적 현상이다. 특히 동해안에는 이런 문화적 현상이 전 마을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일부는 성황당으로, 일부는 자연물에 대한 경외심으로, 또 일부는 무속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기묘한 바위
소돌항의 아들바위 또한 이런 문화적 현상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언뜻 보면 아들바위라고 지칭되는 바위는 정작 아들보다는 딸의 형상을 더 닮은 바위이다. 풍성한 머리칼을 늘어뜨린 여인의 모습을 닮았기도 하고, 궁둥이가 펑퍼짐한 아낙의 모습을 닮았기도 하다. 이런 바위를 ‘딸 바위’라고 부르지 않고 ‘아들바위’라고 부른 백성들의 소박한 토속신앙이 그저 가엽게 느껴질 뿐이다.
주문진항에는 애틋한 전설 하나가 전해져 온다. 예전에 어느 현감이 ‘진이’라는 처녀에게 수청을 들라고 했다. 그러나 진이는 현감의 청을 거부하였고, 현감은 괘씸죄를 진이에게 덮어 씌워 좁고 어두운 방에 가두고 말았다. 얼마큼 긴 세월이 흘렀을까? 사람들이 방문을 열어보니 진이는 죽어 있고 그 곁에는 핏덩어리의 여린 몸이 있었다. 아이는 어미의 한을 품은 듯 푸른 살색을 가지고 있었다고 했지. 그 후, 진이의 한 때문인지 주문진에는 풍랑과 파도가 항시 몰려와 어민들이 조업을 하지 못했다.

고추를 내놓은 아들
어느 해인가, 새로 부임한 강릉부사가 이 이야기를 듣고 진이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바닷가 근처에 작은 사당 하나를 지어 해마다 제사를 지내 주었다. 그 후로 풍랑과 파도가 모두 사라져 어민들이 안심하고 고기잡이를 하게 되었다. 지금도 이 사당은 진이서낭이란 이름으로 불리면서 주문진항을 고즈넉하게 바라보고 있다.
형형색색의 포장마차들이 도루묵과 조개를 굽는 냄새를 풍기며 손님을 유혹하고 있는 소돌항. 그 항구를 벗어나 다시 주문진항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소돌항보다 더 크고 왁자지껄한 소리가 자가사리 끓듯 시끄럽게 들려온다. 활기와 생명이 넘치는 항구. 건어물 가게에서 풍겨 나오는 향긋한 수평선의 냄새. 그리고 억척스럽게 들려오는 강원도 아줌마들의 싱싱한 고함소리. 자세히 보니 주문진 항의 모든 수산물 가게 주인은 거개가 아줌마였다. 외지에서 온 손님들을 쥐었다 놓았다 하며 가격을 요리조리 흔들어 대는 품이 정신을 다 얼얼하게 한다. 그 여인네들의 억센 생기를 물씬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주문진항인 것이다.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