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사진
수산
  1. 기타

이미지

도서명 표기
이중나선
글쓴이
제임스 왓슨 저/최돈찬 역
궁리출판
평균
별점8.5 (19)
수산

3.5


 


220페이지, 23줄, 27자.


 


대학교를 다닐 때 어느 강좌인가에서 독후감을 제출하라고 하여 읽었던 책입니다. 벌써 30년이 지났네요. 당시엔 아마도 4*6판이었던 것 같습니다. 얇은 비닐 커버가 있었던 것인데, 책이 상당히 작아서 자칫 힘이 빠지면 덮여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30여 년 만에 다시 읽게 되었습니다. 이 책도 사둔 지 좀 되었는데 전에 한번 읽었던 터라 손에 잡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러다가 잠시 시간이 나서(을 내서?) 읽게 되었습니다.


 


노벨 상을 탄 다음에 탈고된 책이니 아마도 시대의 조류에 편승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옛날에 읽었을 당시에도 저자의 일부 서술이 다른 이의 말과 다르다는 이야기가 어딘가에 봤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뭐 인간 세상에서는 서로가 각자 자기의 사고로 자기에게 좀더 유리한 사고를 하는 것은 당연하니까 구체적인 것보다는 흐름만 읽는다는 접근법을 사용한다면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옛날엔 좀 지겹다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었는데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부담이 없어서일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점이 달라져서일 수도 있겠습니다.


 


오히려, 50년대 초반의 느슨했던 연구풍토가 더 눈에 들어옵니다. 연전에 읽었던 누군가의 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최근의 지나친 경색 분위기보다는 옛날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물론, 지나간 것은 조금 윤색되기 마련이겠지만요. 미국에서 유럽으로 어떤 분야를 공부하겠노라고 장학금을 받고 갔다가 불과 15년쯤 뒤에 사실은 딴 짓을 햇어요 하는 책을 낼 수 있다는 게 유쾌합니다. 노벨상을 받았기에 용서가 되었을 수도 있겠지요. 글중에 나오는 다른 학자들의 연구가 지금에 와서는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여지지만 당시엔 오랫동안 고민하며 정립한 것을 보면 감회가 새롭기도 합니다. 학생이었을 때 교수님들의 연구도 현 시점에서는 아주 오래된, 빛이 바랜 것이 대부분이니까요. 인간 사회가 발전하는 것은 지식의 축적 때문이라고 하는 주장이 옳아 보입니다.


 


141112-141112/14111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23.04.26

댓글 0

빈 데이터 이미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

수산님의 최신글

  1. 작성일
    2017.9.22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9.22
  2. 작성일
    2017.6.1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6.16
  3. 작성일
    2017.6.16

    좋아요
    댓글
    0
    작성일
    2017.6.16

사락 인기글

  1. 별명
    사락공식공식계정
    작성일
    2025.6.25
    좋아요
    댓글
    98
    작성일
    2025.6.25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2.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6.26
    좋아요
    댓글
    122
    작성일
    2025.6.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3. 별명
    리뷰어클럽공식계정
    작성일
    2025.6.26
    좋아요
    댓글
    135
    작성일
    2025.6.26
    첨부된 사진
    첨부된 사진
    20
예스이십사 ㈜
사업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