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마도 책을 읽는다.

책방꽃방
- 작성일
- 2022.10.4
아니 근데 그게 맞아?
- 글쓴이
- 이진송 저
상상출판
누군가의 행동이나 말한마디에 웃고 떠들다가 문득 이게 정말 웃어야하는 일일까하고 한번쯤 생각해 본적이 있다면 어쩌면 격하게 맞장구 치게 되고 혹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라도 한번쯤 생각하게 만드는 책!??
평소 무심코 웃고 넘어가던 나를 콕콕 찌르는 글들에 정말 당황하게 된다. 내가 정말 아무 생각없이 살고 있구나 하는 자아반성까지 하게 된다. 누군가의 웃긴 포즈나 어눌한 말에 그저 재밌다고 웃었을뿐 정작 그런 사람의 입장은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고 무서워서 설설 기는 사람이 번지점프를 해내거나 귀신의 집을 통과하는 과정을 보며 즐기고 있었을뿐 겁많은 내가 그런 순간에 닥쳤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조차 하지못했다. 남이 하면 코미디인데 내가 하면 현실이 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그저 웃고 떠들고 즐기기에 급급했던 나 자신이 참 한심하다는 생각까지 한다.
‘나는 그냥 나다. 나는 나대로 살아가고 너는 너대로 살아가면 된다.‘
누구나 한번쯤 즐겨 보았을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이야기를 하고 있어 더 흥미로운지도 모른다. 따뜻하고 정많고 순수한 시골 이미지로만 그려지는 [갯마을 차차차]의 이야기를 들어 결코 낭만적이기만 한 시골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들의 블루스]의 원치않는 임신을 한 영주를 통해 여자에게만 지어지는 죄책감과 낙태죄폐지에 대한 문제점을, 사랑도 하지만 일할때는 확실한 정금자식 직장내 로맨스 드라마 [하이에나]를 통해 공식같은 틀을 깨고도 얼마든지 즐거울 수 있음을!
‘그렇게 서로에게 다가가며, 속속들이 알지 못하더라도 사랑하고 존중하면서 공존할 수 있다.‘
여자라는 이유로 사관이 되지 못했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신입사관 구혜령]의 이야기로 차별금지법에 대해, 재주 많은 덕임과 정조의 로맨스를 그린 [옷소매 붉은 끝동]를 통해 결혼과 비혼에 대해, 출산을 누아르로 다룬 [산후조리원]을 통해 진정 엄마가 된다는 것에 대해, 박나래 한혜진 화사의 [여은파]를 통해 형아우가 아닌 누구누구라인도 아닌 미녀 어쩌구도 아닌 그저 자신들만의 개성을 맘껏 표출하고 즐길줄 아는 것에 대해, [스우파]를 통해 좋아하는 것을 하며 서로를 챙기고 동고동락하는 댄서들과 함께 울고 웃을 수 있다는 것을, 남자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축구를 하는 [골때리는그녀들]을 통해 스포츠의 남녀차별적인 편견이 사라질 수 있음을!
‘진짜 이상한것은 무엇일까? 세상에는 사람과 사랑이 이렇게 많은데, 왜 우리는 서로 다른 성별만이 사랑하는 이야기가 자연스럽다고 배웠을까? ‘
특히 성소수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장에서 그동안 가지고 있던 내 안의 편견을 되돌아보게 된다. 어쩌면 우리는 사랑을 차별적으로 해오고 바라보고 있는것은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세상에는 정말 많고 많은 사람이 있고 그 많은 사람들이 각자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똑같이 사랑할 수 있을까? 또한 건강한 몸이 정답인것처럼 이야기하는 사회 인식에 딴지를 걸며 아픔을 잘 통과하며 살아가는 이야기와 노화는 비극이 아니며 늙어가는건 나의 역사이므로 나의 몸에 한뼘 더 너그러워지라는 말에 은근 위안을 얻게 된다. 더 많은 궁금한 이야기들은 책으로 만나보시길!
평소 무심코 웃고 넘어가던 나를 콕콕 찌르는 글들에 정말 당황하게 된다. 내가 정말 아무 생각없이 살고 있구나 하는 자아반성까지 하게 된다. 누군가의 웃긴 포즈나 어눌한 말에 그저 재밌다고 웃었을뿐 정작 그런 사람의 입장은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고 무서워서 설설 기는 사람이 번지점프를 해내거나 귀신의 집을 통과하는 과정을 보며 즐기고 있었을뿐 겁많은 내가 그런 순간에 닥쳤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조차 하지못했다. 남이 하면 코미디인데 내가 하면 현실이 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그저 웃고 떠들고 즐기기에 급급했던 나 자신이 참 한심하다는 생각까지 한다.
‘나는 그냥 나다. 나는 나대로 살아가고 너는 너대로 살아가면 된다.‘
누구나 한번쯤 즐겨 보았을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이야기를 하고 있어 더 흥미로운지도 모른다. 따뜻하고 정많고 순수한 시골 이미지로만 그려지는 [갯마을 차차차]의 이야기를 들어 결코 낭만적이기만 한 시골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들의 블루스]의 원치않는 임신을 한 영주를 통해 여자에게만 지어지는 죄책감과 낙태죄폐지에 대한 문제점을, 사랑도 하지만 일할때는 확실한 정금자식 직장내 로맨스 드라마 [하이에나]를 통해 공식같은 틀을 깨고도 얼마든지 즐거울 수 있음을!
‘그렇게 서로에게 다가가며, 속속들이 알지 못하더라도 사랑하고 존중하면서 공존할 수 있다.‘
여자라는 이유로 사관이 되지 못했던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신입사관 구혜령]의 이야기로 차별금지법에 대해, 재주 많은 덕임과 정조의 로맨스를 그린 [옷소매 붉은 끝동]를 통해 결혼과 비혼에 대해, 출산을 누아르로 다룬 [산후조리원]을 통해 진정 엄마가 된다는 것에 대해, 박나래 한혜진 화사의 [여은파]를 통해 형아우가 아닌 누구누구라인도 아닌 미녀 어쩌구도 아닌 그저 자신들만의 개성을 맘껏 표출하고 즐길줄 아는 것에 대해, [스우파]를 통해 좋아하는 것을 하며 서로를 챙기고 동고동락하는 댄서들과 함께 울고 웃을 수 있다는 것을, 남자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축구를 하는 [골때리는그녀들]을 통해 스포츠의 남녀차별적인 편견이 사라질 수 있음을!
‘진짜 이상한것은 무엇일까? 세상에는 사람과 사랑이 이렇게 많은데, 왜 우리는 서로 다른 성별만이 사랑하는 이야기가 자연스럽다고 배웠을까? ‘
특히 성소수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장에서 그동안 가지고 있던 내 안의 편견을 되돌아보게 된다. 어쩌면 우리는 사랑을 차별적으로 해오고 바라보고 있는것은 아닌가 생각하게 된다. 세상에는 정말 많고 많은 사람이 있고 그 많은 사람들이 각자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똑같이 사랑할 수 있을까? 또한 건강한 몸이 정답인것처럼 이야기하는 사회 인식에 딴지를 걸며 아픔을 잘 통과하며 살아가는 이야기와 노화는 비극이 아니며 늙어가는건 나의 역사이므로 나의 몸에 한뼘 더 너그러워지라는 말에 은근 위안을 얻게 된다. 더 많은 궁금한 이야기들은 책으로 만나보시길!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