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카테고리

엘엘케이
- 작성일
- 2019.6.18
궁금했어, 인공지능
- 글쓴이
- 유윤한 저
나무생각
4차산업혁명 시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것이 인공지능이에요
도대체 인공지느응ㄴ 무엇이며
앞으로 인공지능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꿔 나갈까요?
아이들을 키우면서 이러한 궁금증은 커져만 가는데요
인간을 꼭 닮은 신화 속 자동인형부터
어느덧 우리 생활 속에 자리 잡은 인공지능의 다양한 모습까지 궁금했어, 인공지능 책을 통해서 배워보았어요
인공지능의 개념과 발전 역사 뿐만아니라 가능성과 어두운 미래를
우리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가르쳐주었어요
1970년대 미국의 수학자인 마빈 민스키는 사람의 뇌에 대해 관심이 많았는데
애니악의 엄청나게 빠른 계산 능력을 보고
컴퓨터에도 어떤 프로그램을 넣어 주는가에 따라 다양한 일을 할 것이라 추측을 했대요
민스키는 컴퓨터의 부품들을 인간의 뇌를 이루는 세포들 처럼 연결시키는 기계를 상상했다고 해요
컴퓨터의 전자 부품들을 뇌세포처럼 연결시키고 적절한 프로그램을 넣어 주면 뇌와 비슷한 활동ㅇ르 하게 되ㅣ리라 확신했던 거죠
민스키는 사람의 두뇌처럼 활동할 수 있는 이 지능을 인간이 만들어 낸 지능이란 의미로
인공지능이라 이름 붙였다고 해요
앞으로 10년안에 사람만큼 똑독한 기계가 나타날것이다
이 기계는 우스갯소리도 하고 문서도 척척 만들어 내며 학습 속도도 빨리 곧 천재 수준의 지능에 이를것이고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발전할것이라고 말했어요
그렇다면 인류 역사에 최초로 나타난 인공지능은 뭐였을까요?
그건 바로 계산기 였어요
이 계산기로 독일군의 암호를 풀었다니 감탄이 절로 나오더라고요
콜로서스라는 복잡한 암호들의 규칙을 찾아내기 위해 빠른 계산을 해내는 기계였는데
콜로서스 덕ㅜㄴ에 연합군이 독일군을 이길 수 있었다고 하네요
슈퍼커뮤터는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하는 기능을 가질 만큼 뛰어난 인공지능이며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는 것을 기계가 공부한다라는 뜻으로 머신 러닝이라고 했대요
그런데 요즘은 슈퍼컴퓨터들은 머신 러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아주 깊이 공부한다는 뜻으로
딥 러닝을 하고 있다고 해요
이세돌을 이긴 알파고도 딥 러닝이라는 방법으로 학습을 거듭한 뒤 독독해진 인공지능이고
퀴즈 프로그램인 제퍼디에서 무수한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한 인공지능 왓슨도 딥 러닝 방식으로 스스로 공부를 했다고 해요
딥 러닝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은 사람이 일일이 프로그램을 짜 넣지 않아도 스스로 필요한 프로그램을 활용해 지식을 쌓을 수 있다고 하니
딥 러닝을 하는 인공지능은 하루가 다르게 더 똑똑해 지고 있겠구나 싶었어요
진짜 이렇게 딥러닝을 하는 인공지능이 너무 똑똑해져서
영화에서처럼 인간을 지배하게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문득 들어 인공지능로봇이 괜히 무서워졌어요
요즘 우리 주위에는 어떤 인공지능들이 있을까요?
지을 오래 비워서 동물을 키울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반려동물 로봇이 있었어요
일본 소니사에서 만든 강아지 로봇 아이보,
저희 아이들도 동물을 너무 좋아하는데 집에 있는 시간이 적다보니 챙겨주지 못할것 같아 아예 키울 생각을 않고 있는데
이렇게 여건이 안되는 집에서는 강아지 로봇이 훨씬 좋을것 같았어요
강아지 로봇에 이어서 아기 물범 모양의 로봇도 있고 점점 더 인공지능 동물 로봇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고 하네요
2020년쯤 되면 인공지능은 여러 분야에서 사람보다 뛰어난 계산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이며 눈부시게 활약을 하게 될거라고 해요
또 과학자들은 조만간 양자 컴퓨터의 시대가 찾아 올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하네요
기술의 발전이 정말 놀랍도록 빠르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간다낳ㄴ 법률 문제에 대해서 처리해주는 인공지능 변호사, 엄청나게 많은 의료 논문을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왓슨,
약사를 대신하는 로봇..등
많은 학자들은 30년 안에 전 셰게 직업 중 절반 이상을 인공지능이 대신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했어요
특히 엄청나게 많은 자료를 기억해야 하거나 정확하게 처리해야하는 일은 대부분 로봇이 하게 될것 같다고 했어요
하지만 인공지능 로봇이 대신하기 어려운 직업도 있어요
영화감독, 작가, 작곡과, 내과의사, 운동선수 코치, 유치원 교사, 지휘자,간병인, 피부 미용사,레크레이션 강사, 상담 전문가,성직자 등등..
사람만이 느끼는 감성을 다루어야 할때는 인공지능이 힘들어 하기 때문에 이런 분야의 직업은ㅇ ㅏ주 강한 인공지능이 나오지 않는 이상 여전히 사람이 맡아 해야할거라고 하네요
결국 앞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가르쳐야할건 감성, 그리고 공감능력이 아닐까 싶었어요
공부로는, 두뇌로는 딥러닝을 하는 인공지능 로봇을 이길 수 가 없을테니까요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4차산업혁명 시대와 인공지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배워볼 수 있었던
궁금햐ㅐㅆ어, 인공지능
인공지능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지금 현재 인공지능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면서 인공지능시대가 멀다고만 느꼈는데
성큼 다가왔다는것을 깨달았어요
인공지능 로봇들과 살아야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앞으로 어떤 직업을 가지고 살아야할지 잘 몰라서 조언도 못해주었는데
척에서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을 대신할 수 없는 직업들도 가르쳐주다보니 아이들에게 공부공부만 이야기할게 아니라
또래 경쟁자들과의 경쟁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로봇과의 경쟁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아이들만의 고유 능력ㅇ르 키워줘야겠다 싶었어요
감성을 다루는 일이 무엇일지 곰곰이 생각해보고 아이들의 진로코칭을 도와야겠다 싶었네요
- 좋아요
- 6
- 댓글
- 0
- 작성일
- 2023.04.26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남겨보세요.